2006-03-12
org.kosen.entty.User@3705b8ed
박진우(jinu1115)
- 1
K+ ion channel (KcsA) 의 구조를 밝힌 Roderick MacKinnon (2003년 노벨화학상 수상)의 Science 논문을 보니깐 Streptomyces Lividans에서 추출(?)한 칼륨 이온 채널이라는데...
Streptomyces Lividans가 무엇인가요? 미생물인 것 같은데..
제 전공이 Biophysics 쪽이 아니라 이런 용어 이해하는게 어렵네요.
어디 좋은 사이트나 참고할 만한 문헌 등도 아신다면 알려주세요.
- ion channel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정철웅님의 답변
2006-03-12- 0
>K+ ion channel (KcsA) 의 구조를 밝힌 Roderick MacKinnon (2003년 노벨화학상 수상)의 Science 논문을 보니깐 Streptomyces Lividans에서 추출(?)한 칼륨 이온 채널이라는데... > >Streptomyces Lividans가 무엇인가요? 미생물인 것 같은데.. > >제 전공이 Biophysics 쪽이 아니라 이런 용어 이해하는게 어렵네요. > >어디 좋은 사이트나 참고할 만한 문헌 등도 아신다면 알려주세요. 자세한 종에 대한 자료는 잘 못 찾겠군요 대략적으로 말씀 드리면 Streptomyces는 토양에 사는 미생물 중 하나입니다. 토양 방선균 들 중 대표적인 속인 Streptomyces는 원핵생물이고 0.5∼1.0㎛의 크기를 가집니다. 방선균은 토양 전 미생물 개체군의 10∼50%를 구성하고 있다. 대부분의 방선균은 유기물을 분해하며 생육하는 부생성 생물이다. 정원이나 들판의 흙에서 나는 냄새는 방선균이 분비하는 물질인 지오스민 geosmins에 의한 것이다. 방선균은 부숙퇴비에서도 발견되지만 대부분은 토양에 서식하고 있다. 방선균은 토양 1그람당 105∼108의 개체군을 이루어 토양에서 세균 다음으로 많은 수로 분포하고 있다. 방선균은 산소를 요구하는 호기성이므로 습한 곳에서는 잘 자라지 않는다. 방선균은 한발에 내성을 가지고 있지 않지만, 방선균이 만드는 포자는 한발에 견딜 수 있다. 그래서 한발 후에 회복되는 방선균은 전체 미생물 개체의 30%에서 90%에 이르기도 한다. 방선균은 알카리조건에 내성이 있다. 토양에서 발견되는 방선균의 일부 중요한 속은 Nocardia, Streptomyces과 Thermoactinomyces속 등이다. 결핵균인 Mycobacterium tuberculosis와 감자 더뎅이병균인 Streptomyces scabie처럼 일부 방선균은 동식물에 병원성이지만, 대부분의 방선균은 일반적으로 무해한 토양 생물이다. Frankia속에 속하는 방선균은 목본 관목 및 나무와 군집을 형성하여 질소를 고정하기도 한다. 토양 방선균의 90%는 Streptomyces이다. 방선균에서 동정되는 항생물질 중 약 76%가 Streptomyces 속에서 나온다고 합니다. FEMS Microbiol Lett. 1993 Dec 1;114(2):121-8. 을 보니 단백질 발현을 위해서도 사용 되던 균주인것 같습니다. 위 실험에서는 채널 단백질의 발현을 위해 사용한 것 같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