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3-28
org.kosen.entty.User@2032e682
오정영(ojy780913)
- 1
저는 지금 고등균류에서 생성된 생물고분자(다당)의 분리 및 분자량을 측정해야하는 학생입니다..
그런데...오픈컬럼을 통해 분리를 해서 분자량을 측정하려는데...이동상에 생물고분자인 다당을 용해시키기가 어렵습니다..낮은 농도로 용해는 가능하지만 gelation(겔링화)가 일어나 오픈컬럼에 로딩하기전에 filteration 이 되지를 않네요...되어도 너무 낮은 농도구요...
그래서 다당의 결합을 파괴하지 않으면서 겔링화를 일으키지 않는 용매를 찾습니다...혹은 방법적으로 접근도 괜찮고요..
저는 DIW,0.1M NaCl, 0.1M NaOH 로 용해시켜보았으며 DMSO로 가능성을 보았습니다..(DMSO로 용해했을때..다당의 결합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겠죠..?)
여튼 겔링화 되는 생물고분자(다당)을 용해하는 방법을 아시는분이나 이렇게 하면 되지않을까 싶으신분 답글부탁드립니다....!!! ^^
- exopolysaccharide
- solubility
- gelatio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배우철님의 답변
2006-03-29- 0
에전에 여러 버섯류에서 다당류를 추출했습니다.. 저는 주로 열수나 알카리로 추출을 한 후에 UF하고 필요하면 column으로 분리해서 실험에 이용했습니다... 저희 실험에서는 알카리 추출 쪽이 열수 쪽보다 더 효과가 높았기 때문에.. 분자량 측정을 위해서는 0.3N NaOH에 용해시켜서 gel filtration을 했습니다.. 물론 잘 녹구요.. 그 이상 농도(0.5N)까지 올려도 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리고 DMSO도 컬럼에 영향이 없다면 분자량 측정에는 별 문제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NMR로 H나 C를 분석할 때 DMSO에 녹여서 분석했거든요... >저는 지금 고등균류에서 생성된 생물고분자(다당)의 분리 및 분자량을 측정해야하는 학생입니다.. > >그런데...오픈컬럼을 통해 분리를 해서 분자량을 측정하려는데...이동상에 생물고분자인 다당을 용해시키기가 어렵습니다..낮은 농도로 용해는 가능하지만 gelation(겔링화)가 일어나 오픈컬럼에 로딩하기전에 filteration 이 되지를 않네요...되어도 너무 낮은 농도구요... > >그래서 다당의 결합을 파괴하지 않으면서 겔링화를 일으키지 않는 용매를 찾습니다...혹은 방법적으로 접근도 괜찮고요.. > >저는 DIW,0.1M NaCl, 0.1M NaOH 로 용해시켜보았으며 DMSO로 가능성을 보았습니다..(DMSO로 용해했을때..다당의 결합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겠죠..?) > >여튼 겔링화 되는 생물고분자(다당)을 용해하는 방법을 아시는분이나 이렇게 하면 되지않을까 싶으신분 답글부탁드립니다....!!!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