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4-08
org.kosen.entty.User@8de70f7
조은재(cej1018)
- 1
논문을 보니 대부분 방사선 동위원소를 가지고 실험을 하더군요.
그런데 다음과 같이 실험해도 다른 사람들에게 인정 받을 수 있나요?
1.Cell에 배지를 교체한 후 일정 시간 incubation 시킨다.
2.Cell을 제거하고 배양액 속에 glucose를 "glucose kit"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3.흡광도를 측정하여 추출물을 처리한 cell과 처리하지 않은 cell의 배양액의 glucose 잔류량을 측정한다.
혹시 이런방법을 사용한 논문이 없나요?
아님 동위원소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으로 "실험 하신 분"이 있다면 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glucose uptake
- glucose kit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배우철님의 답변
2006-04-08- 0
첫번째로... 동이원소를 쓰는 이유의 대부분은 일반적인 방법으로 검출이 어려울 정도로 미량이 이용되기 때문입니다...그래서 실험하셨을 때...배양액에 남겨진 glucose 농도에 아주 미미한 차이(편차 내)만 확인될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실험하시는 Cell이 3T3여서 glucose uptake가 잘 발생하기 때문에...아마도 일반 glucose assy kit(비동이원소)을 사용해도 어느정도 결과는 나올 것으로 생각은 듭니다.. 아래 사이트는 rabbit muscle cell에서 insulin, chromium 등을 첨가하고 glucsoe uptake를 향상시키는 미국 고등학교 시험법입니다...이 경우에도 glucose assay kit를 사용하여 glucose 잔존량에서 uptake를 간접 환산하고 있습니다.. http://www.woodrow.org/teachers/bi/1998/glucose/ 두번째로 배양액에서 제거된 glucose양을 측정하여 초기농도에서 줄어든 나머지 양은 cell에서 uptake 했다고 이해하는 방식이 문제가 됩니다...우선 다른 요인(cell uptake 이외의)에 의하여 제거될 수도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현재 glucose uptake 시험의 거의 대부분이 동이원소 시험을 하고 있기 때문에...논문을 목적으로 하신다면... 편집위원들이 동이원소 시험 결과를 당연히 요구할 것입니다.. 그래서 최종적으로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초기 시험에서는 생각하신 방법을 이용하셔도 되지만.. 어느 정도 결과를 내신 후에 논문을 작성하시기 위해서는 확립된 방법으로 최소한 1번은 동이원소를 사용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논문을 보니 대부분 방사선 동위원소를 가지고 실험을 하더군요. > >그런데 다음과 같이 실험해도 다른 사람들에게 인정 받을 수 있나요? > >1.Cell에 배지를 교체한 후 일정 시간 incubation 시킨다. > >2.Cell을 제거하고 배양액 속에 glucose를 “glucose kit“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 >3.흡광도를 측정하여 추출물을 처리한 cell과 처리하지 않은 cell의 배양액의 glucose 잔류량을 측정한다. > >혹시 이런방법을 사용한 논문이 없나요? >아님 동위원소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으로 “실험 하신 분“이 있다면 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