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박리현상

그라파이트 시트 위에 점착제를 도포하고 이형지를 점착제 위에 덮어 씌우는데, 작업초기에는 이형지가 잘 벗겨지는데 24시간 이상 지나서 이형지를 박리시키면 그라파이트 시트 표피층이 점착제와 함께 묻어 나옵니다. 점착제는 점도가 5000cp, 아크릴계열을 사용하며, 점착도포 두께는 15~20미그론 정도 점착 처리합니다. 개선책이 없을까요?
  • peel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송준희님의 답변

    아마도 점착제와 이형지간의 반응이 이루어진 듯합니다. 이형지를 덮기전에 스프레이식 이형제가 있으니 이형제를 도포한 후 이형지를 덮어보세요. 이형제의 재질을 바꿔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구요. >그라파이트 시트 위에 점착제를 도포하고 이형지를 점착제 위에 덮어 >씌우는데, 작업초기에는 이형지가 잘 벗겨지는데 24시간 이상 지나서 >이형지를 박리시키면 그라파이트 시트 표피층이 점착제와 함께 묻어 >나옵니다. 점착제는 점도가 5000cp, 아크릴계열을 사용하며, 점착도포 >두께는 15~20미그론 정도 점착 처리합니다. >개선책이 없을까요?
    아마도 점착제와 이형지간의 반응이 이루어진 듯합니다. 이형지를 덮기전에 스프레이식 이형제가 있으니 이형제를 도포한 후 이형지를 덮어보세요. 이형제의 재질을 바꿔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구요. >그라파이트 시트 위에 점착제를 도포하고 이형지를 점착제 위에 덮어 >씌우는데, 작업초기에는 이형지가 잘 벗겨지는데 24시간 이상 지나서 >이형지를 박리시키면 그라파이트 시트 표피층이 점착제와 함께 묻어 >나옵니다. 점착제는 점도가 5000cp, 아크릴계열을 사용하며, 점착도포 >두께는 15~20미그론 정도 점착 처리합니다. >개선책이 없을까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고상운님의 답변

    >그라파이트 시트 위에 점착제를 도포하고 이형지를 점착제 위에 덮어 >씌우는데, 작업초기에는 이형지가 잘 벗겨지는데 24시간 이상 지나서 >이형지를 박리시키면 그라파이트 시트 표피층이 점착제와 함께 묻어 >나옵니다. 점착제는 점도가 5000cp, 아크릴계열을 사용하며, 점착도포 >두께는 15~20미그론 정도 점착 처리합니다. >개선책이 없을까요? 우선,앞서 jeensan님 께서 설명하신 부분을 검토 후 반응성이 아니라고 판단되시면 점도를 2000cp 정도로 낮추는 것이 좋을 듯 하네요.. 물론 점착력이 동일하다는 전제하에서 입니다. 점도를 낮추게 되면 코팅 두께가 다소 얇아 집니다. 또 한가지 방법은 이형지의 실리콘 부분을 엠보싱 처리하는 방법도 좋은 방법입니다.
    >그라파이트 시트 위에 점착제를 도포하고 이형지를 점착제 위에 덮어 >씌우는데, 작업초기에는 이형지가 잘 벗겨지는데 24시간 이상 지나서 >이형지를 박리시키면 그라파이트 시트 표피층이 점착제와 함께 묻어 >나옵니다. 점착제는 점도가 5000cp, 아크릴계열을 사용하며, 점착도포 >두께는 15~20미그론 정도 점착 처리합니다. >개선책이 없을까요? 우선,앞서 jeensan님 께서 설명하신 부분을 검토 후 반응성이 아니라고 판단되시면 점도를 2000cp 정도로 낮추는 것이 좋을 듯 하네요.. 물론 점착력이 동일하다는 전제하에서 입니다. 점도를 낮추게 되면 코팅 두께가 다소 얇아 집니다. 또 한가지 방법은 이형지의 실리콘 부분을 엠보싱 처리하는 방법도 좋은 방법입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