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4-23
org.kosen.entty.User@2545400f
김한나(gkssk3618)
- 1
한국과 일본의 포스트게놈 생명공학에 대한 레포트를 쓰려고 하는데요
포스트게놈이란 무엇인가요??
정확한 뜻을 모르겠어요..
그냥 게놈과는 다른건가요?
한국과 일본의 포스트게놈에 관련된
논문이나 레포트 아니면
자료를 찾을수 있는 싸이트나
책이 있으면 추천좀 해주세요 ^ㅡ^
P.S 일본에서 생명공학과 식품공학쪽으로 이슈가 되는것이 있다면
무엇인지 알려주세요
- genome
- biotechnology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배우철님의 답변
2006-04-24- 0
포스트 게놈은 Post genome 즉 게놈 프로젝트 이후라는 의미입니다.. 2004년인가요?? 인간의 유전체가 완전히 해독되는 인간 게놈 프로젝트가 완료되었지요... 이제는 그 게놈 정보를 이용해서 어떻게 연구할 까를 고민해야 할 상황입니다.. 너무 분야가 크기 때문에 설명해드리기가 상당히 어렵군요... 첨부할 자료는 포스트 게놈의 최신 동향이라는 자료인데요... 질문하신 분의 수준에 좀 높지 않나하는 생각도 듭니다.. 제 생각에는 리포트 목적이시라면 네이버와 같은 사이트를 이용하시는 편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아래는 한국일보 99년도 기사입니다... 이쪽이 이해하기 쉬우실 것 같네요.. 포스트 게놈시대를 준비하라 최근 인간의 22번 염색체의 염기서열이 완전히 밝혀졌다. 인간의 유전을 결정하는 23쌍의 염색체 중 22번 의 유전자암호가 풀린 것. 22번 염색체는 특히 관련 질병이 많아 중요한 것으로 평가된다. [인간 게놈 프로 젝트]가 종결될 2003년이면 인간 생체 내에서 유용한 기능을 하는 10만개 유전자를 비롯한 모든 염기서열 의 지도가 그려질 전망이다. 3, 000메가바이트, 책 수천권 분량의 이 정보를 밝히면 어떻게 사람이 사람 모 양으로 생겨나는지, 어떤 유전자변이로 인해 질병이 생기는 지를 알 수 있다. 그러나 지도를 확보했다고 목 적지에 도달하는 것은 아니다. 이제 [포스트 게놈시대]가 다가온다. ■유전자의 기능 분석 유전자의 염기서열이 밝혀지면 그 다음은 이 유전자가 어떤 기능을 갖는 가가 관심사다. 이를 [기능유전체 연구]라 한다. 이를 위한 방대한 정보를 분석하기 위해 DNA칩이 등장했다. 95년 미국 스탠포드대학이 처음 가로 세로 1㎝ 안에 2, 000~3, 000개의 유전자가 붙은 칩을 만든 후 어피매트릭스, 나노젠 등 실리콘밸리 의 벤처회사가 나섰다. 이러한 칩을 이용하면 수백~수만개의 유전자가 어떤 질병에 관련되는지, 또는 어떤 돌연변이가 생기는지를 알 수 있다. 지금까지 하듯 하나의 유전자를 조작, 쥐에 발현시켜 봐서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를 살펴보는 방식대로 한다면 수년이 걸릴 일이 단 며칠만에 밝혀질 수 있는 것이다. 이 같은 기능유전체연구에 앞서가 기 위해선 DNA칩을 만드는 재료 즉 염기서열이 밝혀진 유전자를 많이 확보하는 일이 필수적이다. ■생명정보는 누구의 것? 그러나 이 같은 생명정보가 질병치료로 직결되면서 게놈연구는 제약회사, 사설연구소등의 산업전으로 비화 하고 있다. 9~10월 일본 헬릭스연구소와 미국 셀레라 게노믹사는 각각 인간 유전자 6, 000여개에 대한 특허 를 신청했다. 미국 벤처회사 인사이트사는 하나의 단백질을 만드는 데 기여하는 유전자의 일부 조각까지 모 두 포함해 120만개의 특허를 신청하기도 했다. 이쯤되고 보니 국제공조와 정보공유라는 게놈프로젝트 초기의 기치는 무색하게 됐다. 현재 셀레나 게노믹스 사는 미 국립보건원의 유전자은행에 있는 유전자정보보다 훨씬 많은 정보를 확보, 감춰두고 있는 것으로 알 려져 있다. 미· 일등의 세계적 제약회사들이 매년 게놈연구에 1조 이상을 투입해 온 것이다. 우리 나라는 이에 비하면 특허건수가 극히 적다. 수년~수십년 뒤 유전자치료가 일반화하면 우리는 막대한 유전자 사용료를 지불해야 할 판이다. ■비교유전학 결국 우리 같은 후발주자가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은 게놈을 횡적으로 연구하는 일이다. 서구인을 중심으 로 밝혀지고 있는 유전자정보를 다른 나라의 유전자와 비교하는 [비교유전학]이 그것이다. 인종마다 특이 한 유전자를 비교하는 일은 특정국가의 사람들에게 많은 질병유전자를 찾는 결정적인 단서가 된다. 결국 한 국인에게 많이 발병하는 질환 관련유전자를 확보하는 데 주력해야 하는 것이다. 생명공학연구소 이대실박사는 [우리 나라의 경제규모로 봐서 산업적으로 중요한 것은 미생물 유전자]라고 덧붙인다. 인간 유전자 분석에 드는 돈의 100분의 1만 들여도 실용화가 가능한 유전자를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국일보 1999. 12. 06) >한국과 일본의 포스트게놈 생명공학에 대한 레포트를 쓰려고 하는데요 > >포스트게놈이란 무엇인가요?? > >정확한 뜻을 모르겠어요.. > >그냥 게놈과는 다른건가요? > >한국과 일본의 포스트게놈에 관련된 > >논문이나 레포트 아니면 > >자료를 찾을수 있는 싸이트나 > >책이 있으면 추천좀 해주세요 ^ㅡ^ > > >P.S 일본에서 생명공학과 식품공학쪽으로 이슈가 되는것이 있다면 >무엇인지 알려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