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hepatocyte 배양법

안녕하세요.. 간세포를 배양해서 알코올 독성실험을 하려고 하는데.. 관련 논문이 거의 없네요..논문이나 자료있음 좀....^^ 1. 간세포를 분리하지 않고 세포를 구입해서 배양/실험할 생각인데.. 대부분 직접 분리(primary culture)해서 실험했더라구요...꼭 그렇게 해야하는 이유가 있나요? 세포를 구입해서 sample 처리하면 안되나요..그런식으로 한 논문있남요? 2. ethanol 처리에 대한 hepatoprotective활성을 볼려구 하구여.. 3. 물론 실험은 in vitro구여.. 이렇게 하거나..유사한 방식의 논문 and 자료들 있으면 좀 보내주시던가.. 아님 이런 식으로 실험해보신 분들의 도움을 요청하는바 입니다.. 그럼 모두덜 행복하세요..
  • hepatocyte
  • ethanol
  • hepatoprotectiv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배우철님의 답변

    HepG2 세포주와 primary culture를 병용하시는 편이 좋을 것 같네요.. 이전의 실험에서 간세포를 세포주화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primary culture 또는 human hepatoblastoma인 HepG2가 이용되었습니다. 아래가 해당 논문입니다.. Biochem Biophys Res Commun. 1985 Apr 30;128(2):767-74. Ethanol inhibits hormone stimulated hepatocyte DNA synthesis. Insulin, glucagon, and epidermal growth factor (EGF) addition stimulated DNA synthesis in primary hepatocyte cell cultures prepared from adult rat liver. The addition of ethanol (20-200mM) to the culture medium resulted in a substantial reduction in DNA synthesis as measured by 3H-thymidine incorporation and autoradiography. This effect was specific for differentiated hepatocytes compared to fibroblasts and two other human hepatoma cell lines. These studies demonstrate in a cell culture system that one of the major properties of ethanol is the inhibition of hepatocyte DNA synthesis. Biochem Biophys Res Commun. 1993 Dec 15;197(2):932-41. In vitro assessment of the ethanol-induced hepatotoxicity on HepG2 cell line. Alcohol Clin Exp Res. 2002 Aug;26(8 Suppl):32S-37S. Acetaldehyde-induced growth retardation and micro-heterogeneity of the sugar chain in transferrin synthesized by HepG2 cells. 아직까지도 primary culture가 대세이지만 일부 논문들에서 최근에 세포주(WIF-B)를 확립한 것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논문발표를 위해서는 편집자가 primary culture 결과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Biochem Pharmacol. 2004 Jun 1;67(11):2167-74. WIF-B cells as a model for alcohol-induced hepatocyte injury. Life Sci. 2005 Apr 15;76(22):2569-79. Differential effect of interleukin-10 on hepatocyte apoptosis. >안녕하세요.. >간세포를 배양해서 알코올 독성실험을 하려고 하는데.. >관련 논문이 거의 없네요..논문이나 자료있음 좀....^^ >1. 간세포를 분리하지 않고 세포를 구입해서 배양/실험할 생각인데.. > 대부분 직접 분리(primary culture)해서 실험했더라구요...꼭 그렇게 해야하는 이유가 있나요? > 세포를 구입해서 sample 처리하면 안되나요..그런식으로 한 논문있남요? >2. ethanol 처리에 대한 hepatoprotective활성을 볼려구 하구여.. >3. 물론 실험은 in vitro구여.. > >이렇게 하거나..유사한 방식의 논문 and 자료들 있으면 좀 보내주시던가.. >아님 이런 식으로 실험해보신 분들의 도움을 요청하는바 입니다.. > >그럼 모두덜 행복하세요.. >
    HepG2 세포주와 primary culture를 병용하시는 편이 좋을 것 같네요.. 이전의 실험에서 간세포를 세포주화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primary culture 또는 human hepatoblastoma인 HepG2가 이용되었습니다. 아래가 해당 논문입니다.. Biochem Biophys Res Commun. 1985 Apr 30;128(2):767-74. Ethanol inhibits hormone stimulated hepatocyte DNA synthesis. Insulin, glucagon, and epidermal growth factor (EGF) addition stimulated DNA synthesis in primary hepatocyte cell cultures prepared from adult rat liver. The addition of ethanol (20-200mM) to the culture medium resulted in a substantial reduction in DNA synthesis as measured by 3H-thymidine incorporation and autoradiography. This effect was specific for differentiated hepatocytes compared to fibroblasts and two other human hepatoma cell lines. These studies demonstrate in a cell culture system that one of the major properties of ethanol is the inhibition of hepatocyte DNA synthesis. Biochem Biophys Res Commun. 1993 Dec 15;197(2):932-41. In vitro assessment of the ethanol-induced hepatotoxicity on HepG2 cell line. Alcohol Clin Exp Res. 2002 Aug;26(8 Suppl):32S-37S. Acetaldehyde-induced growth retardation and micro-heterogeneity of the sugar chain in transferrin synthesized by HepG2 cells. 아직까지도 primary culture가 대세이지만 일부 논문들에서 최근에 세포주(WIF-B)를 확립한 것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논문발표를 위해서는 편집자가 primary culture 결과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Biochem Pharmacol. 2004 Jun 1;67(11):2167-74. WIF-B cells as a model for alcohol-induced hepatocyte injury. Life Sci. 2005 Apr 15;76(22):2569-79. Differential effect of interleukin-10 on hepatocyte apoptosis. >안녕하세요.. >간세포를 배양해서 알코올 독성실험을 하려고 하는데.. >관련 논문이 거의 없네요..논문이나 자료있음 좀....^^ >1. 간세포를 분리하지 않고 세포를 구입해서 배양/실험할 생각인데.. > 대부분 직접 분리(primary culture)해서 실험했더라구요...꼭 그렇게 해야하는 이유가 있나요? > 세포를 구입해서 sample 처리하면 안되나요..그런식으로 한 논문있남요? >2. ethanol 처리에 대한 hepatoprotective활성을 볼려구 하구여.. >3. 물론 실험은 in vitro구여.. > >이렇게 하거나..유사한 방식의 논문 and 자료들 있으면 좀 보내주시던가.. >아님 이런 식으로 실험해보신 분들의 도움을 요청하는바 입니다.. > >그럼 모두덜 행복하세요..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강효찬님의 답변

    저희 랩에서 primary culture 정리해서 둔게 있습니다. 하지만, 역시 비용이 만만치 않습니다. collagenase 가격이 젤 비쌉니다. 메일 주시면 정리해서 드리죠...^^ 그리고 아래 논문이 도움이 될까 싶네요...*^^*
    저희 랩에서 primary culture 정리해서 둔게 있습니다. 하지만, 역시 비용이 만만치 않습니다. collagenase 가격이 젤 비쌉니다. 메일 주시면 정리해서 드리죠...^^ 그리고 아래 논문이 도움이 될까 싶네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홍동호님의 답변

    >안녕하세요.. >간세포를 배양해서 알코올 독성실험을 하려고 하는데.. >관련 논문이 거의 없네요..논문이나 자료있음 좀....^^ >1. 간세포를 분리하지 않고 세포를 구입해서 배양/실험할 생각인데.. > 대부분 직접 분리(primary culture)해서 실험했더라구요...꼭 그렇게 해야하는 이유가 있나요? > 세포를 구입해서 sample 처리하면 안되나요..그런식으로 한 논문있남요? >2. ethanol 처리에 대한 hepatoprotective활성을 볼려구 하구여.. >3. 물론 실험은 in vitro구여.. > >이렇게 하거나..유사한 방식의 논문 and 자료들 있으면 좀 보내주시던가.. >아님 이런 식으로 실험해보신 분들의 도움을 요청하는바 입니다.. > >그럼 모두덜 행복하세요.. > 간세포 배양 ① 흰쥐의 간세포는 Berry와 Friend의 방법을 약간 수정한 2단계 collagenase 관 류법을 이용하여 분리 ② 간세포를 얻기 위하여 urethane (1g/kg body weight)으로 마취시키고 70% ethanol로 복부를 소독한 후 개복 ③ 간문맥에 21 gauge catheter를 삽관 (canulation)하고 하대정맥을 잘라 혈액 을 제거 ④ HBSS 150mL를 perfusion 한 후 흉강을 열어 상대정맥에 18 gauge catheter를 삽관한 다음 하대정맥을 묶어서, 소화용액이 상대정맥을 통하여 공급용기로 되돌아오는 재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함 ⑤ CO2와 O2의 혼합기체를 공급해주면서 HBSS 95mL과 collagenase 5mL (10mg/mL HBSS , final conc. 0.05%)로 구성된 소화용액으로 10분간 재순환 ⑥ 간세포가 소화된 후 간을 떼어내어 HBSS 60mL을 가한 후 간막을 가위로 열어 서 간세포가 유리되게 한 다음 lense paper로 여과 ⑦ 여액을 50에서 4분간 원심분리한 다음 상징액을 버리고, 다시 배양액으로 같 은 조건에서 원심분리한 후 세포 현탁액을 얻음 ⑧ 간세포 현탁액을 5×105 cells/mL 농도로 희석하여 collagen type I으로 미리 도포된 배양 용기 (Falcon, 35×10mm)에 이식 배양액으로는 Waymouth's MB 752/1 medium, 5% fetal bovine serum, 2.0mg/mL bovine serum albumin (fraction V), 10-6M dexamethasone, 10-7M insulin, 5.32 × 10-2M L-serine, 4.09 × 10-2M L-alanine, 2.67 × 10-2M NaHCO3, 100IU/mL penicillin, 100 IU/mL streptomycin, 5㎍/mL amphotericin B 또는 50㎍/mL gentamicin sulfate로 구성된 것을 사용 배양환경 일정한 습도와 온도가 유지되는 37℃ 배양기에서 산소 (95%)와 CO2 (5%)의 혼합기 체를 계속 공급하면서 세포를 배양
    >안녕하세요.. >간세포를 배양해서 알코올 독성실험을 하려고 하는데.. >관련 논문이 거의 없네요..논문이나 자료있음 좀....^^ >1. 간세포를 분리하지 않고 세포를 구입해서 배양/실험할 생각인데.. > 대부분 직접 분리(primary culture)해서 실험했더라구요...꼭 그렇게 해야하는 이유가 있나요? > 세포를 구입해서 sample 처리하면 안되나요..그런식으로 한 논문있남요? >2. ethanol 처리에 대한 hepatoprotective활성을 볼려구 하구여.. >3. 물론 실험은 in vitro구여.. > >이렇게 하거나..유사한 방식의 논문 and 자료들 있으면 좀 보내주시던가.. >아님 이런 식으로 실험해보신 분들의 도움을 요청하는바 입니다.. > >그럼 모두덜 행복하세요.. > 간세포 배양 ① 흰쥐의 간세포는 Berry와 Friend의 방법을 약간 수정한 2단계 collagenase 관 류법을 이용하여 분리 ② 간세포를 얻기 위하여 urethane (1g/kg body weight)으로 마취시키고 70% ethanol로 복부를 소독한 후 개복 ③ 간문맥에 21 gauge catheter를 삽관 (canulation)하고 하대정맥을 잘라 혈액 을 제거 ④ HBSS 150mL를 perfusion 한 후 흉강을 열어 상대정맥에 18 gauge catheter를 삽관한 다음 하대정맥을 묶어서, 소화용액이 상대정맥을 통하여 공급용기로 되돌아오는 재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함 ⑤ CO2와 O2의 혼합기체를 공급해주면서 HBSS 95mL과 collagenase 5mL (10mg/mL HBSS , final conc. 0.05%)로 구성된 소화용액으로 10분간 재순환 ⑥ 간세포가 소화된 후 간을 떼어내어 HBSS 60mL을 가한 후 간막을 가위로 열어 서 간세포가 유리되게 한 다음 lense paper로 여과 ⑦ 여액을 50에서 4분간 원심분리한 다음 상징액을 버리고, 다시 배양액으로 같 은 조건에서 원심분리한 후 세포 현탁액을 얻음 ⑧ 간세포 현탁액을 5×105 cells/mL 농도로 희석하여 collagen type I으로 미리 도포된 배양 용기 (Falcon, 35×10mm)에 이식 배양액으로는 Waymouth's MB 752/1 medium, 5% fetal bovine serum, 2.0mg/mL bovine serum albumin (fraction V), 10-6M dexamethasone, 10-7M insulin, 5.32 × 10-2M L-serine, 4.09 × 10-2M L-alanine, 2.67 × 10-2M NaHCO3, 100IU/mL penicillin, 100 IU/mL streptomycin, 5㎍/mL amphotericin B 또는 50㎍/mL gentamicin sulfate로 구성된 것을 사용 배양환경 일정한 습도와 온도가 유지되는 37℃ 배양기에서 산소 (95%)와 CO2 (5%)의 혼합기 체를 계속 공급하면서 세포를 배양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