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PEG 에 관한 질문입니다.

PEG (polyethlene glycol) 를 항체에 conjugation 시키면 항체의 half life 를 증가시킨다는 논문을 봤습니다. PEG 는 단백질이 아닌데 항체에 어떻게 부착을 시킬 수 있는 건가요? 부탁드립니다.
  • PEG
  • antibody
  • conjugatio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김범수님의 답변

    >PEG (polyethlene glycol) 를 항체에 conjugation 시키면 항체의 half life 를 증가시킨다는 논문을 봤습니다. PEG 는 단백질이 아닌데 항체에 어떻게 부착을 시킬 수 있는 건가요? 부탁드립니다. 파일 첨부합니다.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출처 : http://phypha.chonnam.ac.kr/lesson/%EC%83%9D%EB%AC%BC%EC%86%A1%EB%8B%AC/chap6.ppt
    >PEG (polyethlene glycol) 를 항체에 conjugation 시키면 항체의 half life 를 증가시킨다는 논문을 봤습니다. PEG 는 단백질이 아닌데 항체에 어떻게 부착을 시킬 수 있는 건가요? 부탁드립니다. 파일 첨부합니다.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출처 : http://phypha.chonnam.ac.kr/lesson/%EC%83%9D%EB%AC%BC%EC%86%A1%EB%8B%AC/chap6.ppt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임채진님의 답변

    설명을 약간 더 해 드린다면.. PEG 자체는 반응성이 없습니다. 다만 이를 modification시켜서 amine이나 sulfhydryl이나 carboxyl기 등과 결합할 수 있는 modified PEG을 단백질 등에 붙이는 것이지요.. 예를들어 maleimide-PEG이라는 것은 PEG에 sulfhydryl과 결합할 수 있는 maleimide기를 가지고 있어서 cystein이 있는 물질에 pegylation시킬 수 있지요..
    설명을 약간 더 해 드린다면.. PEG 자체는 반응성이 없습니다. 다만 이를 modification시켜서 amine이나 sulfhydryl이나 carboxyl기 등과 결합할 수 있는 modified PEG을 단백질 등에 붙이는 것이지요.. 예를들어 maleimide-PEG이라는 것은 PEG에 sulfhydryl과 결합할 수 있는 maleimide기를 가지고 있어서 cystein이 있는 물질에 pegylation시킬 수 있지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배우철님의 답변

    PEG는 단백질과 잘 결합하는 물질입다.. 꼭 항체가 아니더라도 다른 단백질 약품에 PEG에 결합한 제품들이 다수 임상시험 중입니다. 또 'IFNα-2b'에 'PEG를 결합시킨 페그인트론이라는 제품도 판매 중입니다. 단백질을 구성하는 여러 아미노산의 amine, carbocxyl, hydroxyl, thiol, N-terminal에서 모두 peglyation( PEG의 결합)이 이루어집니다. >PEG (polyethlene glycol) 를 항체에 conjugation 시키면 항체의 half life 를 증가시킨다는 논문을 봤습니다. PEG 는 단백질이 아닌데 항체에 어떻게 부착을 시킬 수 있는 건가요? 부탁드립니다.
    PEG는 단백질과 잘 결합하는 물질입다.. 꼭 항체가 아니더라도 다른 단백질 약품에 PEG에 결합한 제품들이 다수 임상시험 중입니다. 또 'IFNα-2b'에 'PEG를 결합시킨 페그인트론이라는 제품도 판매 중입니다. 단백질을 구성하는 여러 아미노산의 amine, carbocxyl, hydroxyl, thiol, N-terminal에서 모두 peglyation( PEG의 결합)이 이루어집니다. >PEG (polyethlene glycol) 를 항체에 conjugation 시키면 항체의 half life 를 증가시킨다는 논문을 봤습니다. PEG 는 단백질이 아닌데 항체에 어떻게 부착을 시킬 수 있는 건가요? 부탁드립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풍석님의 답변

    드물게 한국에서 PEGylation을 전문으로 하는 회사가 있습니다. 가시면 다양한 종류의 PEG는 물론 님께서 궁금해 하시는 PEGylation의 효과 또는 원리에 대한 설명을 보실 수 있습니다. 회사명은 Sunbio Corporation 입니다. 웹주소는 http://www.sunbio.co.kr (또는 http://sunbio.co.kr) 입니다. >PEG (polyethlene glycol) 를 항체에 conjugation 시키면 항체의 half life 를 증가시킨다는 논문을 봤습니다. PEG 는 단백질이 아닌데 항체에 어떻게 부착을 시킬 수 있는 건가요? 부탁드립니다.
    드물게 한국에서 PEGylation을 전문으로 하는 회사가 있습니다. 가시면 다양한 종류의 PEG는 물론 님께서 궁금해 하시는 PEGylation의 효과 또는 원리에 대한 설명을 보실 수 있습니다. 회사명은 Sunbio Corporation 입니다. 웹주소는 http://www.sunbio.co.kr (또는 http://sunbio.co.kr) 입니다. >PEG (polyethlene glycol) 를 항체에 conjugation 시키면 항체의 half life 를 증가시킨다는 논문을 봤습니다. PEG 는 단백질이 아닌데 항체에 어떻게 부착을 시킬 수 있는 건가요? 부탁드립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