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7-31
org.kosen.entty.User@3b23a3a7
정훈(sukisa78)
- 2
동물실험하시는 분들 중에 특히 지질실험 하시는 분들 부탁드립니다.
Rat의 배설물을 수거한 다음 담즙산의 배출 정도를 측정해야하는데
어떤 방법으로 측정해야하는지 방법 좀 알려주세요.
아님 정확한 방법이 나와 있는 논문이라도 좀 알려주세요.
제발 부탁드립니다.
- fecal bile acid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이종석님의 답변
2006-08-01- 0
제가 실험한것 중에 미생물이 4가지 bile acid들을 생산 하는것이 있었습니다.. 그때 저희는 LC-MS로 정량했었습니다.. 아마도 rat배설물에서 담즙산들을 추출하고, MS 분석을 하면 어떤 종류의 담즙산들이 얼마만큼 배출되는지도 알수 있을것입니다.. 참고로, 담즙산이 UV를 흡광하지 않아서 HPLC로는 분석이 어려웠습니다.. >동물실험하시는 분들 중에 특히 지질실험 하시는 분들 부탁드립니다. > >Rat의 배설물을 수거한 다음 담즙산의 배출 정도를 측정해야하는데 > >어떤 방법으로 측정해야하는지 방법 좀 알려주세요. > >아님 정확한 방법이 나와 있는 논문이라도 좀 알려주세요. > >제발 부탁드립니다. > -
답변
배우철님의 답변
2006-08-01- 0
GC로도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아래는 관련 논문입니다. Lipids. 1992 Dec;27(12):999-1004. Related Articles, Links Fecal bile acid excretion and composition in response to changes in dietary wheat bran, fat and calcium in the rat. Borum ML, Shehan KL, Fromm H, Jahangeer S, Floor MK, Alabaster O. Department of Medicine,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Medical Center, Washington, D.C. 20037. The effect and possible interactive influence of different dietary amounts of wheat bran, fat and calcium on the fecal excretion, concentration and composition of bile acids was studied in Fischer-344 rats. The fecal bile acids were analyzed using gas-liquid chromatography. Dietary wheat bran increased both total bile acid excretion and fecal weight without changes in fecal bile acid concentration. The proportion of fecal hyodeoxycholic acid decreased with increasing dietary fiber, whereas that of lithocholic and deoxycholic acid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fiber intake. The percent content of fecal chenodeoxycholic acid did not change. Increasing dietary fat led to an increase in bile acid excretion without changes in either fecal weight or bile acid concentration. In contrast, the level of dietary calcium did not affect the total excretion of bile acids. However, since calcium increased the fecal weight, it consequently diluted bile acids and decreased their fecal concentration. Dietary fat and calcium had no influence on fecal bile acid composition. There were no interactive effects of wheat bran, fat and calcium on fecal bile acids. The finding in this study that dietary fiber, fat and calcium induce significant changes in fecal bile acids may be of relevance to the potential of bile acids to promote carcinogenesis. >동물실험하시는 분들 중에 특히 지질실험 하시는 분들 부탁드립니다. > >Rat의 배설물을 수거한 다음 담즙산의 배출 정도를 측정해야하는데 > >어떤 방법으로 측정해야하는지 방법 좀 알려주세요. > >아님 정확한 방법이 나와 있는 논문이라도 좀 알려주세요. > >제발 부탁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