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8-02
org.kosen.entty.User@4a3e12b5
이현정(endeavor821)
- 1
안녕하세요.
이번에도 실험하다 궁금한 점이 있어 이렇게 달려왔어요.
다름이 아니라 제가 yeast two hybrid system을 이용해 screening을 하는데요. 현재 sequencing 의뢰해서 결과를 받은 상태입니다.
그런데 sequencing 결과가 좀 아리송해서요.
sequencing 의뢰하기 전에 enzyme cutting으로 vector/insert 확인하고 보냈는데도 결과가 제대로 안 나왔어요.
대충 sequencing 결과를 말씀드리자면, 제대로 읽지 못하는 nucleotide가많았고 그리고 제대로 읽혔다고 하는 것도 enzyme site 다음에 20~30 bp 이후에 ATG가 있구요, ATG 뒤에 15개 nucleotide가 더 읽혀지고 바로 stop codon이 있어요. 뭐가 잘못된 건가요??
그리고 blast search를 할때 insert(screening 해서 얻은 clone)가 library vector에 insertion된 enzyme site 이후의 nucleotide를 이용해서 해야 하나요?? 아님 enzyme site 이후 ATG를 찾아서 ATG를 포함한 그 이후의 nucleotide를 긁어서 blast search 해야 하나요???
제가 알기론 cDNA library screeing을 해서 찾은 clone이 full gene 뿐만 아니라 partial도 존재한다고 들었는데 full gene이 아닌 경우, 즉 partial로 존재시에도 ATG를 포함하고 있나요???
제가 의미전달을 제대로 했는지 모르겠네요.
제 질문에 대한 속 시원한 답변을 듣고 싶어요~~
가능하면 빠른 시일내에.... 그럼 부탁드립니다.
요즘 날씨가 상당히 후텁지근한데 더위 조심하시구요,
음식도 조심하세요~~!!!!
그럼 빠른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 yeast screening
- yeast two hybrid
- sequencing analysis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전주홍님의 답변
2006-08-03- 0
일단 library 제조 과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Clontech 제품을 사용하신다면 회사 홈페이지에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expression vector에 cDNA library를 cloning을 하면 in-frame cloning이 될 확률이 1/6입니다. Clonetech의 경우 자사의 독창적인 재조합 핵산 기술을 이용하여 1/3의 확률인 yeast two-hybrid (Y2H) 용 library를 제조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full-length일수도 있지만 partial fragment도 많습니다. ATG가 있다고 해서 반드시 starting codon으로 이해되지는 않습니다. internal ATG 일수도 있죠... 그러므로 sequencing 결과를 가지고 반드시 확인을 해야하는 것이 과연 in-frame cloning이 되어 있는지를 체크해야합니다. 이는 pACT2와 같은 prey vector의 MCS에서부터 target gene 서열시작지점까지 codon의 배열이 in-frame인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것을 말합니다. out-frame로 cloning이 되면 일반적으로 굉장히 빨리 stop codon이 나오게 됩니다. 그렇더라도 일부의 아미노산이 합성될 수 있기 때문에 transactivation domain뒤에 작은 사이즈의 단백질 혹은 펩타이드가 퓨전된 재조합 단백질이 만들어 집니다. 이러한 비정상적인 단백질이 bait와 결합해서 false-positive signal을 만드는 경우는 흔히 존재합니다. 그리고 종종 5'-UTR region이 translation되어 false-positive signal이 나오기도 합니다. Blast search에서 ATG를 반드시 찾을 이유도 없습니다. 행여 vector sequence가 조금 포함되더라도 blast search에서 크게 문제될 게 없습니다. 어차피 search 결과에서 match되는 sequence를 확인할 수 있으니까요... blast search 후에는 앞서 말했듯이 반드시 in-frame cloning인지 아닌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번에도 실험하다 궁금한 점이 있어 이렇게 달려왔어요. > >다름이 아니라 제가 yeast two hybrid system을 이용해 screening을 하는데요. 현재 sequencing 의뢰해서 결과를 받은 상태입니다. >그런데 sequencing 결과가 좀 아리송해서요. >sequencing 의뢰하기 전에 enzyme cutting으로 vector/insert 확인하고 보냈는데도 결과가 제대로 안 나왔어요. > >대충 sequencing 결과를 말씀드리자면, 제대로 읽지 못하는 nucleotide가많았고 그리고 제대로 읽혔다고 하는 것도 enzyme site 다음에 20~30 bp 이후에 ATG가 있구요, ATG 뒤에 15개 nucleotide가 더 읽혀지고 바로 stop codon이 있어요. 뭐가 잘못된 건가요?? > >그리고 blast search를 할때 insert(screening 해서 얻은 clone)가 library vector에 insertion된 enzyme site 이후의 nucleotide를 이용해서 해야 하나요?? 아님 enzyme site 이후 ATG를 찾아서 ATG를 포함한 그 이후의 nucleotide를 긁어서 blast search 해야 하나요??? > >제가 알기론 cDNA library screeing을 해서 찾은 clone이 full gene 뿐만 아니라 partial도 존재한다고 들었는데 full gene이 아닌 경우, 즉 partial로 존재시에도 ATG를 포함하고 있나요??? > >제가 의미전달을 제대로 했는지 모르겠네요. >제 질문에 대한 속 시원한 답변을 듣고 싶어요~~ >가능하면 빠른 시일내에.... 그럼 부탁드립니다. > >요즘 날씨가 상당히 후텁지근한데 더위 조심하시구요, >음식도 조심하세요~~!!!! > >그럼 빠른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