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막단백질의 orientation은?

single spanning된 막단백질일 경우 ER에서 N terminal이 cytosol쪽으로 가있을때 plasma membrane으로 translocation된 후의 orientation은 어떻게 되나요? 그냥 똑같은 것 같기도 하고 flip-flop이 일어나는 것 같기도 하고.. 암튼 헷갈리네요.
  • 막단백질
  • orientatio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허수학님의 답변

    phospholipid의 크기, Å의 거리 차이, 아미노기의 양, 분자량등에 따라 다른데 일단 transverse diffusion(flip-flop)은 diffusion distance가 45-55Å 이상일때 발생하고 반응속도가 느린(수시간 이상) 경우, 아미노기의 양이 많은 경우에 발생합니다.. 그외에는 일정한 lateral diffusion을 합니다.. 만약, 실험중이시라면 형광dye를 사용하셔서 방향성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single spanning된 막단백질일 경우 ER에서 N terminal이 cytosol쪽으로 가있을때 plasma membrane으로 translocation된 후의 orientation은 어떻게 되나요? 그냥 똑같은 것 같기도 하고 flip-flop이 일어나는 것 같기도 하고.. 암튼 헷갈리네요.
    phospholipid의 크기, Å의 거리 차이, 아미노기의 양, 분자량등에 따라 다른데 일단 transverse diffusion(flip-flop)은 diffusion distance가 45-55Å 이상일때 발생하고 반응속도가 느린(수시간 이상) 경우, 아미노기의 양이 많은 경우에 발생합니다.. 그외에는 일정한 lateral diffusion을 합니다.. 만약, 실험중이시라면 형광dye를 사용하셔서 방향성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single spanning된 막단백질일 경우 ER에서 N terminal이 cytosol쪽으로 가있을때 plasma membrane으로 translocation된 후의 orientation은 어떻게 되나요? 그냥 똑같은 것 같기도 하고 flip-flop이 일어나는 것 같기도 하고.. 암튼 헷갈리네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