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DCC 및 NHS 를 이용한 PLGA activation

고분자 PLGA의 COOH 에다 NHS를 붙인 다음 NHS를 이용하여 NH2 그룹을 갖는 물질을 conjugation하고 싶습니다. PLGA-COOH를 DMSO, 틸아세테이트, 다이옥산, 혹은 다이메틸클로라이드 등에 녹여서 PLGA : DCC : NHS = 1 : 2 : 2 로 첨가해서 반응을 진행하고자 시도 하였습니다. 많은 논문에서 이러한 반응의 결과 insoluble diclohexylurea가 생기고 이걸 필터로 제거한다고 나옵니다. 그런데 아무리 용매를 바꾸고 PLGA : DCC : NHS ratio를 바꾸어도 Urea가 생기질 않는군요.. 딱 한번 얼떨결에 다이옥산 조건에서 상당량의 urea 결정이 형성되어 반응에 성공한듯 했으나 동일 조건으로 재시행시 역시 urea가 생기질 않았습니다.. 습도가 높으면 NHS 반응이 잘 안간다고 해서 PLGA : DCC : NHS를 메니폴드에 수 시간 연결했다가 질소 조건에서 반응을 해 보았지만 역시 안되네요 ㅠ.ㅜ 반응 조건은 PLGA를 솔벤트에 녹이고, 플라스크 내의 공기를 제거하고 질소 풍선을 연결해서 stirring 하면서 DCC , NHS 를 첨가하고 있습니다.. 뭐가 잘못된건지 도움을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NMR 말고 PLGA-NHS가 붙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이 뭐가 있을까요.. TLC 조건이라든가.. 이상 일반화학도 잘 모르는 생물학도 였습니다.. ㅠ,ㅠ
  • DCC
  • NHS
  • PLGA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이영삼님의 답변

    제 옛날 경험으로는 dicyclohexylurea는 상당히 천천히 침전되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4도 냉장고에 하룻밤 넣어놓으면 침전물 생기는 것을 볼 수 있을 겁니다. 완전히 제거하고 싶으시면 위의 과정을 한두번 더 반복하기도 하고요. >고분자 PLGA의 COOH 에다 NHS를 붙인 다음 NHS를 이용하여 NH2 그룹을 갖는 물질을 conjugation하고 싶습니다. > >PLGA-COOH를 DMSO, 틸아세테이트, 다이옥산, 혹은 다이메틸클로라이드 등에 녹여서 PLGA : DCC : NHS = 1 : 2 : 2 로 첨가해서 반응을 진행하고자 시도 하였습니다. > >많은 논문에서 이러한 반응의 결과 insoluble diclohexylurea가 생기고 이걸 필터로 제거한다고 나옵니다. > >그런데 아무리 용매를 바꾸고 PLGA : DCC : NHS ratio를 바꾸어도 Urea가 생기질 않는군요.. > >딱 한번 얼떨결에 다이옥산 조건에서 상당량의 urea 결정이 형성되어 반응에 성공한듯 했으나 동일 조건으로 재시행시 역시 urea가 생기질 않았습니다.. > >습도가 높으면 NHS 반응이 잘 안간다고 해서 PLGA : DCC : NHS를 메니폴드에 수 시간 연결했다가 질소 조건에서 반응을 해 보았지만 역시 안되네요 ㅠ.ㅜ > >반응 조건은 PLGA를 솔벤트에 녹이고, 플라스크 내의 공기를 제거하고 질소 풍선을 연결해서 stirring 하면서 DCC , NHS 를 첨가하고 있습니다.. > >뭐가 잘못된건지 도움을 부탁드립니다. > >그리고 NMR 말고 PLGA-NHS가 붙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이 뭐가 있을까요.. >TLC 조건이라든가.. > >이상 일반화학도 잘 모르는 생물학도 였습니다.. ㅠ,ㅠ >
    제 옛날 경험으로는 dicyclohexylurea는 상당히 천천히 침전되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4도 냉장고에 하룻밤 넣어놓으면 침전물 생기는 것을 볼 수 있을 겁니다. 완전히 제거하고 싶으시면 위의 과정을 한두번 더 반복하기도 하고요. >고분자 PLGA의 COOH 에다 NHS를 붙인 다음 NHS를 이용하여 NH2 그룹을 갖는 물질을 conjugation하고 싶습니다. > >PLGA-COOH를 DMSO, 틸아세테이트, 다이옥산, 혹은 다이메틸클로라이드 등에 녹여서 PLGA : DCC : NHS = 1 : 2 : 2 로 첨가해서 반응을 진행하고자 시도 하였습니다. > >많은 논문에서 이러한 반응의 결과 insoluble diclohexylurea가 생기고 이걸 필터로 제거한다고 나옵니다. > >그런데 아무리 용매를 바꾸고 PLGA : DCC : NHS ratio를 바꾸어도 Urea가 생기질 않는군요.. > >딱 한번 얼떨결에 다이옥산 조건에서 상당량의 urea 결정이 형성되어 반응에 성공한듯 했으나 동일 조건으로 재시행시 역시 urea가 생기질 않았습니다.. > >습도가 높으면 NHS 반응이 잘 안간다고 해서 PLGA : DCC : NHS를 메니폴드에 수 시간 연결했다가 질소 조건에서 반응을 해 보았지만 역시 안되네요 ㅠ.ㅜ > >반응 조건은 PLGA를 솔벤트에 녹이고, 플라스크 내의 공기를 제거하고 질소 풍선을 연결해서 stirring 하면서 DCC , NHS 를 첨가하고 있습니다.. > >뭐가 잘못된건지 도움을 부탁드립니다. > >그리고 NMR 말고 PLGA-NHS가 붙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이 뭐가 있을까요.. >TLC 조건이라든가.. > >이상 일반화학도 잘 모르는 생물학도 였습니다.. ㅠ,ㅠ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