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bax에 관한 질문입니다.

endogenesis하게 발현되는 bax를 W/B으로 잡으려고 하는데 말끔하게 band가 하나도 안나옵니다. T.T antibody는 monoclonal 인데요. santa cruz껀데..요새 그쪽 항체들이 잘안된다고들 하는데.. 한두푼하는 항체도 아니고..속이탑니다. 혹시 bax가지고 실험하시는 분들.. 특별히 유의해야할 사항이 있는지 여쭤봅니다. blocking buffer라든가., lysis buffer라든가 여러가지 바꿔봤거든요.
  • kj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변해미님의 답변

    산타크루즈 안티바디 안 좋다는 건 이미 아신다니깐 말씀은 따로 드리지 않을께요. 저도 그 회사 안티바디 때문에 고생 좀 했거든요. 여러가지 조건을 바꾸어보셨다고 하셨는데. 그럼 웨스턴 하실때 positive control 확인하셨나요? 일단 안티바디 문제라면 안티바디가 작동안한다는 것을 증명할수있다면 구입처에 클레임을 걸 수 있으니깐요. 일단 샘플의 프로테인 농도를 높이시고 항체 희석 농도를 낮게 잡아서 (그러니깐 진하게..^^;;) 하는게 좋구요 positive control 확인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blocking과 washing은 너무 오래하지 마시구요.
    산타크루즈 안티바디 안 좋다는 건 이미 아신다니깐 말씀은 따로 드리지 않을께요. 저도 그 회사 안티바디 때문에 고생 좀 했거든요. 여러가지 조건을 바꾸어보셨다고 하셨는데. 그럼 웨스턴 하실때 positive control 확인하셨나요? 일단 안티바디 문제라면 안티바디가 작동안한다는 것을 증명할수있다면 구입처에 클레임을 걸 수 있으니깐요. 일단 샘플의 프로테인 농도를 높이시고 항체 희석 농도를 낮게 잡아서 (그러니깐 진하게..^^;;) 하는게 좋구요 positive control 확인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blocking과 washing은 너무 오래하지 마시구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