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9-27
org.kosen.entty.User@718b9a0
송영일(syi25)
- 2
정말 급합니다.
고수님들,
percolation theory가 무엇인지 궁굼합니다.
저는 CNT random network을 만들었는데 percolation theory를 이용하여 설명을 하려 하는데... 잘 알지 못해 질문을 올렸습니다.
percolation theory란 random network의 connection에 대한 다양한 기술을
묘사한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이러한 정의만 보아서 알지 못하겠구요, 어떻게 이 이론을
바탕으로 해석을 하는지 자료나 책이나 그러한 힌트를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여러군데 찾아보았는데 자세하게 기술되어 있는곳을 찾지 못하였습니다.
고수님들 부탁드립니다.
- percolation
- percolation theory
- percolation threshold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김도형님의 답변
2006-10-01- 0
삼투이론은 나노튜브를 용매를 이용해서 분산시키는 등의 처리를 할 때 사용하는 이론으로 알고 있습니다. 화학 및 재료과학 등에서 언급되는 이론으로 용질이 나노튜브가 아니더라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에폭시 메트릭스에서 나노튜브의 분산과 전기전도도에 관한 논문입니다. J. Sandler et al., Polymer 40, 5967 (1999) > 여기 참고논문(reference) 3번에 관련 서적이 나와 있습니다. 삼투이론과 전도도에 대한 리뷰논문입니다. S. Kirkpatrick, Rev. Mod. Phys. 45, 574 (1973) 우선 첫 번째 Polymer 논문을 보시고 아래 Rev. Mod. Phys. 의 리뷰 논문을 보심이 어떠실지요. >정말 급합니다. > >고수님들, > >percolation theory가 무엇인지 궁굼합니다. > >저는 CNT random network을 만들었는데 percolation theory를 이용하여 설명을 하려 하는데... 잘 알지 못해 질문을 올렸습니다. > >percolation theory란 random network의 connection에 대한 다양한 기술을 >묘사한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이러한 정의만 보아서 알지 못하겠구요, 어떻게 이 이론을 >바탕으로 해석을 하는지 자료나 책이나 그러한 힌트를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여러군데 찾아보았는데 자세하게 기술되어 있는곳을 찾지 못하였습니다. > > >고수님들 부탁드립니다. -
답변
최영민님의 답변
2006-10-04- 0
말씀하신대로 percolation theory (스미기 이론, 스며들기 이론)은 매질에 제 2의 물질이 분산되어 있을 때 제 2상의 분산/응집정도에 따른 가스나 유체의 확산, 전기전도, 열전도, 포논전도 등을 설명할 때 사용하는 이론입니다. 요즘은 고분자 매질에 전도성 나노구조체를 분산시킨 복합체에서의 전기적 물성을 설명할때 많이들 사용합니다. 위에 표시한 화학공학포럼에 가시면 짧은 설명을 얻으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메일로 참고가 될만한 논문보냈습니다.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정말 급합니다. > >고수님들, > >percolation theory가 무엇인지 궁굼합니다. > >저는 CNT random network을 만들었는데 percolation theory를 이용하여 설명을 하려 하는데... 잘 알지 못해 질문을 올렸습니다. > >percolation theory란 random network의 connection에 대한 다양한 기술을 >묘사한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이러한 정의만 보아서 알지 못하겠구요, 어떻게 이 이론을 >바탕으로 해석을 하는지 자료나 책이나 그러한 힌트를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여러군데 찾아보았는데 자세하게 기술되어 있는곳을 찾지 못하였습니다. > > >고수님들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