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질문이 있습니다.

저는 버섯의 자실체로부터 추출한 sample의 분자량을 측정하려고 합니다. 지금 버섯 sample은 투석까지 했구요 수용성 입니다. 간단하게 column에 걸어본 결과 (이 조건에서 column은 CL-6B이구요 120 Fraction에 35drop) 최고 피크가 31쯤에서 나왔네요 근데 다른 standar를 걸어보니 잡피크가 넘 많이 나와서요... 분자량 분석이 늦어지고 있네요. 저는 그냥 단순히 분자량을 분석 하려고 하니 수용성 GPC나 아님 분자량 분석의 다른 방법으로 분자량을 분석해주는 회사나 대학이 있으면 알려주세요. 다시 말씀드리지만 단순히 최고 피크지점를 standar와 비교하여 대충의 분자량을 알려고 하는것입니다. 분자량 분석을 의뢰할만한 곳을 알려주세요.
  • molecular weight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6
  • 답변

    김범수님의 답변

    >저는 버섯의 자실체로부터 추출한 >sample의 분자량을 측정하려고 합니다.>지금 버섯 sample은 투석까지 했구요>수용성 입니다.>간단하게 column에 걸어본 결과 (이 조건에서 column은 CL-6B이구요 120 Fraction에 35drop)>최고 피크가 31쯤에서 나왔네요>근데 다른 standar를 걸어보니 잡피크가 넘 많이 나와서요...>분자량 분석이 늦어지고 있네요.>저는 그냥 단순히 분자량을 분석 하려고 하니>수용성 GPC나 아님 분자량 분석의 다른 방법으로 >분자량을 분석해주는 회사나 대학이 있으면 알려주세요.>다시 말씀드리지만 단순히 최고 피크지점를>standar와 비교하여 대충의 분자량을 알려고 하는것입니다.>분자량 분석을 의뢰할만한 곳을 알려주세요. 각 지역의 기초과학지원센테에 의뢰하시면 될 듯합니다. 근데 GPC는 실험실적으로 간단 가능한데요. ^^
    >저는 버섯의 자실체로부터 추출한 >sample의 분자량을 측정하려고 합니다.>지금 버섯 sample은 투석까지 했구요>수용성 입니다.>간단하게 column에 걸어본 결과 (이 조건에서 column은 CL-6B이구요 120 Fraction에 35drop)>최고 피크가 31쯤에서 나왔네요>근데 다른 standar를 걸어보니 잡피크가 넘 많이 나와서요...>분자량 분석이 늦어지고 있네요.>저는 그냥 단순히 분자량을 분석 하려고 하니>수용성 GPC나 아님 분자량 분석의 다른 방법으로 >분자량을 분석해주는 회사나 대학이 있으면 알려주세요.>다시 말씀드리지만 단순히 최고 피크지점를>standar와 비교하여 대충의 분자량을 알려고 하는것입니다.>분자량 분석을 의뢰할만한 곳을 알려주세요. 각 지역의 기초과학지원센테에 의뢰하시면 될 듯합니다. 근데 GPC는 실험실적으로 간단 가능한데요.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김용욱님의 답변

    >저는 버섯의 자실체로부터 추출한 >sample의 분자량을 측정하려고 합니다. >지금 버섯 sample은 투석까지 했구요 >수용성 입니다. >간단하게 column에 걸어본 결과 (이 조건에서 column은 CL-6B이구요 120 Fraction에 35drop) >최고 피크가 31쯤에서 나왔네요 >근데 다른 standar를 걸어보니 잡피크가 넘 많이 나와서요... >분자량 분석이 늦어지고 있네요. >저는 그냥 단순히 분자량을 분석 하려고 하니 >수용성 GPC나 아님 분자량 분석의 다른 방법으로 >분자량을 분석해주는 회사나 대학이 있으면 알려주세요. >다시 말씀드리지만 단순히 최고 피크지점를 >standar와 비교하여 대충의 분자량을 알려고 하는것입니다. >분자량 분석을 의뢰할만한 곳을 알려주세요. 저분자 물질을 제외한 버섯추출시료는 다양한 다당류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standard로 사용되는 Dextran의 경우 그 순도가 많이 떨어지는 것이 사실입니다. 버섯 다당체의 경우 colume을 이용하여 단일 pick를 분리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 봅니다. 버섯 다당류의 특성상 잔피크가 나오는 것은 피할 수 없을 것입니다.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방법 중 하나는 RI detector와 Shodex OHpack column serise가 장착된 high performance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님께서 적합한 columen만 구비하신다면 기존의 HPLC를 이용하여 쉽게 측정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저도 이 장비를 이 컬럼을 이용하여 분자량 분석을 수행하였습니다. 따라서 이 컬럼을 보유하고 있는 그룹을 알아보시는 것이 좋을 듯 싶습니다. 미력하나마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저는 버섯의 자실체로부터 추출한 >sample의 분자량을 측정하려고 합니다. >지금 버섯 sample은 투석까지 했구요 >수용성 입니다. >간단하게 column에 걸어본 결과 (이 조건에서 column은 CL-6B이구요 120 Fraction에 35drop) >최고 피크가 31쯤에서 나왔네요 >근데 다른 standar를 걸어보니 잡피크가 넘 많이 나와서요... >분자량 분석이 늦어지고 있네요. >저는 그냥 단순히 분자량을 분석 하려고 하니 >수용성 GPC나 아님 분자량 분석의 다른 방법으로 >분자량을 분석해주는 회사나 대학이 있으면 알려주세요. >다시 말씀드리지만 단순히 최고 피크지점를 >standar와 비교하여 대충의 분자량을 알려고 하는것입니다. >분자량 분석을 의뢰할만한 곳을 알려주세요. 저분자 물질을 제외한 버섯추출시료는 다양한 다당류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standard로 사용되는 Dextran의 경우 그 순도가 많이 떨어지는 것이 사실입니다. 버섯 다당체의 경우 colume을 이용하여 단일 pick를 분리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 봅니다. 버섯 다당류의 특성상 잔피크가 나오는 것은 피할 수 없을 것입니다.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방법 중 하나는 RI detector와 Shodex OHpack column serise가 장착된 high performance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님께서 적합한 columen만 구비하신다면 기존의 HPLC를 이용하여 쉽게 측정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저도 이 장비를 이 컬럼을 이용하여 분자량 분석을 수행하였습니다. 따라서 이 컬럼을 보유하고 있는 그룹을 알아보시는 것이 좋을 듯 싶습니다. 미력하나마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임종민님의 답변

    >저는 버섯의 자실체로부터 추출한 >sample의 분자량을 측정하려고 합니다. >지금 버섯 sample은 투석까지 했구요 >수용성 입니다. >간단하게 column에 걸어본 결과 (이 조건에서 column은 CL-6B이구요 120 Fraction에 35drop) >최고 피크가 31쯤에서 나왔네요 >근데 다른 standar를 걸어보니 잡피크가 넘 많이 나와서요... >분자량 분석이 늦어지고 있네요. >저는 그냥 단순히 분자량을 분석 하려고 하니 >수용성 GPC나 아님 분자량 분석의 다른 방법으로 >분자량을 분석해주는 회사나 대학이 있으면 알려주세요. >다시 말씀드리지만 단순히 최고 피크지점를 >standar와 비교하여 대충의 분자량을 알려고 하는것입니다. >분자량 분석을 의뢰할만한 곳을 알려주세요. 전 버섯의 균사체 배양을 통한 다당류를 공부하였습니다. 추출한 다당류를 다양한 방법으로 분석하였습니다 그중에서 분자량 측정도 있었구요 가장 간단한 분자량 측정은 CL-6B를 가지고 계시면 분자량별로 나누어진 텍스트린을 구매하여 컬럼을 통과시켜 standar 선을 그을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 샘플을 컬럼에 통과시켜 standar을 통해서 분자량을 측정할수 있죠 두번째는 SEC/MALLS system을 이용하여 분자량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두번째는 장치를 가진 곳에서 분석 가능합니다. 대구대학교 공과대학 생명공학과 윤종원 교수님 홈페이지(http://cms.daegu.ac.kr/jwyun/) 논문(영문)보시거나 논문검색에서 저자 jong won yun 검색하시면 위의 두가지 실험에 대한 방법등이 논문에 서술되어 있습니다.
    >저는 버섯의 자실체로부터 추출한 >sample의 분자량을 측정하려고 합니다. >지금 버섯 sample은 투석까지 했구요 >수용성 입니다. >간단하게 column에 걸어본 결과 (이 조건에서 column은 CL-6B이구요 120 Fraction에 35drop) >최고 피크가 31쯤에서 나왔네요 >근데 다른 standar를 걸어보니 잡피크가 넘 많이 나와서요... >분자량 분석이 늦어지고 있네요. >저는 그냥 단순히 분자량을 분석 하려고 하니 >수용성 GPC나 아님 분자량 분석의 다른 방법으로 >분자량을 분석해주는 회사나 대학이 있으면 알려주세요. >다시 말씀드리지만 단순히 최고 피크지점를 >standar와 비교하여 대충의 분자량을 알려고 하는것입니다. >분자량 분석을 의뢰할만한 곳을 알려주세요. 전 버섯의 균사체 배양을 통한 다당류를 공부하였습니다. 추출한 다당류를 다양한 방법으로 분석하였습니다 그중에서 분자량 측정도 있었구요 가장 간단한 분자량 측정은 CL-6B를 가지고 계시면 분자량별로 나누어진 텍스트린을 구매하여 컬럼을 통과시켜 standar 선을 그을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 샘플을 컬럼에 통과시켜 standar을 통해서 분자량을 측정할수 있죠 두번째는 SEC/MALLS system을 이용하여 분자량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두번째는 장치를 가진 곳에서 분석 가능합니다. 대구대학교 공과대학 생명공학과 윤종원 교수님 홈페이지(http://cms.daegu.ac.kr/jwyun/) 논문(영문)보시거나 논문검색에서 저자 jong won yun 검색하시면 위의 두가지 실험에 대한 방법등이 논문에 서술되어 있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홍동호님의 답변

    >저는 버섯의 자실체로부터 추출한 >sample의 분자량을 측정하려고 합니다. >지금 버섯 sample은 투석까지 했구요 >수용성 입니다. >간단하게 column에 걸어본 결과 (이 조건에서 column은 CL-6B이구요 120 Fraction에 35drop) >최고 피크가 31쯤에서 나왔네요 >근데 다른 standar를 걸어보니 잡피크가 넘 많이 나와서요... >분자량 분석이 늦어지고 있네요. >저는 그냥 단순히 분자량을 분석 하려고 하니 >수용성 GPC나 아님 분자량 분석의 다른 방법으로 >분자량을 분석해주는 회사나 대학이 있으면 알려주세요. >다시 말씀드리지만 단순히 최고 피크지점를 >standar와 비교하여 대충의 분자량을 알려고 하는것입니다. >분자량 분석을 의뢰할만한 곳을 알려주세요. 분석 전문기관은 바이오코아 아이바이오팜 이라는 곳이 있습니다. 연락해 보세요.
    >저는 버섯의 자실체로부터 추출한 >sample의 분자량을 측정하려고 합니다. >지금 버섯 sample은 투석까지 했구요 >수용성 입니다. >간단하게 column에 걸어본 결과 (이 조건에서 column은 CL-6B이구요 120 Fraction에 35drop) >최고 피크가 31쯤에서 나왔네요 >근데 다른 standar를 걸어보니 잡피크가 넘 많이 나와서요... >분자량 분석이 늦어지고 있네요. >저는 그냥 단순히 분자량을 분석 하려고 하니 >수용성 GPC나 아님 분자량 분석의 다른 방법으로 >분자량을 분석해주는 회사나 대학이 있으면 알려주세요. >다시 말씀드리지만 단순히 최고 피크지점를 >standar와 비교하여 대충의 분자량을 알려고 하는것입니다. >분자량 분석을 의뢰할만한 곳을 알려주세요. 분석 전문기관은 바이오코아 아이바이오팜 이라는 곳이 있습니다. 연락해 보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저는 버섯의 자실체로부터 추출한 >sample의 분자량을 측정하려고 합니다.>지금 버섯 sample은 투석까지 했구요>수용성 입니다.>간단하게 column에 걸어본 결과 (이 조건에서 column은 CL-6B이구요 120 Fraction에 35drop)>최고 피크가 31쯤에서 나왔네요>근데 다른 standar를 걸어보니 잡피크가 넘 많이 나와서요...>분자량 분석이 늦어지고 있네요.>저는 그냥 단순히 분자량을 분석 하려고 하니>수용성 GPC나 아님 분자량 분석의 다른 방법으로 >분자량을 분석해주는 회사나 대학이 있으면 알려주세요.>다시 말씀드리지만 단순히 최고 피크지점를>standar와 비교하여 대충의 분자량을 알려고 하는것입니다.>분자량 분석을 의뢰할만한 곳을 알려주세요. MALS(multi angle light scattering)를 사용해 보시길 권장합니다. 다당류의 절대분자량을 측정하는데 좋은 분석기기 입니다.
    >저는 버섯의 자실체로부터 추출한 >sample의 분자량을 측정하려고 합니다.>지금 버섯 sample은 투석까지 했구요>수용성 입니다.>간단하게 column에 걸어본 결과 (이 조건에서 column은 CL-6B이구요 120 Fraction에 35drop)>최고 피크가 31쯤에서 나왔네요>근데 다른 standar를 걸어보니 잡피크가 넘 많이 나와서요...>분자량 분석이 늦어지고 있네요.>저는 그냥 단순히 분자량을 분석 하려고 하니>수용성 GPC나 아님 분자량 분석의 다른 방법으로 >분자량을 분석해주는 회사나 대학이 있으면 알려주세요.>다시 말씀드리지만 단순히 최고 피크지점를>standar와 비교하여 대충의 분자량을 알려고 하는것입니다.>분자량 분석을 의뢰할만한 곳을 알려주세요. MALS(multi angle light scattering)를 사용해 보시길 권장합니다. 다당류의 절대분자량을 측정하는데 좋은 분석기기 입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한국화학시험연구원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설명을 포함하여 잘 해주고 있습니다.
    한국화학시험연구원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설명을 포함하여 잘 해주고 있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