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10-23
org.kosen.entty.User@28db2f5c
임석묵(johnlim7)
- 4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구동용 플라스틱 재료로서 OTFT가 실용화를 위해 필요한 요소는
무엇입니까? 이 부분에 문외한이라 쉽게 설명 부탁드립니다.
- OTFT MASS PRODUCTIO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이용욱님의 답변
2006-10-24- 0
위에 답변 쓰신 분처럼 안정성이 무엇보다 요구됩니다. 이와 아울러 몇가지 더 말씀드리면, 1. 양산 기술 확보 예를 들면 S/D의 경우, 현재 개발된 대부분의 OTFT가 특성 확보를 위해 S/D으로 Au등을 사용하는데 이는 실제 제품 생산 시 양산성이 별로 없습니다. (물론 Plastic Logic과 같은 회사에서는 Au를 사용해서 양산을 시도하고 있기는 합니다.) 그래서 비록 높은 이동도를 얻었다는 보고가 많이 나오고 있지만 실제 양산을 가정한 연구 개발이 아니므로 큰 의미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더욱이 안정성 측면에서 중요한 TFT passivation 관련 연구가 많이 미진하여 실제 실용화까지는 아직 먼 길이 남았다고 생각됩니다. (국내 대기업에서는 이렇게 양산성을 염두에 둔 실질적인 연구를 하고 있는 곳도 있습니다.) 2. 특성 균일도 (uniformity) 확보 논문에 주로 나오는 단일 jumbo TFT에서는 볼 수 없지만 실제 array를 제작하였을 때는 수백만개의 픽셀에서 특성 균일도가 확보되어야 하는데 현재 유기 TFT 수준은 이 균일도가 떨어집니다. 결과적으로 전반적인 얼룩 등으로 보이게 되며, 실제 상용화가 되는데 있어서 큰 걸림돌이 될 수 있는 부분입니다. 이외에도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우선 이 정도 설명드립니다. 그럼 참고하시고,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구동용 플라스틱 재료로서 OTFT가 실용화를 위해 필요한 요소는 >무엇입니까? 이 부분에 문외한이라 쉽게 설명 부탁드립니다. -
답변
최창선님의 답변
2006-10-24- 0
저도 정확히는 모르지만.. 그래도 아는 범위내에서 말씀 드리면, 일단 재료의 안정성입니다. 유기물이다보니 수분이나 산소에 대해 안정성이 떨어집니다. 이부분은 재료 특성을 개선해 나가야 합니다. 다음은...온도 안정성입니다. 역시 유기물이다보니 온도가 높으면 열화되기 쉽습니다. 물론 플렉시블이니 기판이 플라스틱이 사용되니 역시 온도에 민감하겠구요. 디스플레이용이라면 막의 투과정도도 고려되어야 합니다. 재료측면에서는 이정도 일 것 같습니다. 그리고, 온도 문제와 관련하여 어떠한 공정을 택할 것인가 하는 문제도 가지고 있으며, 어떠한 장비를 사용할 지에 대한 문제 정도가 있는 듯 합니다. 그럼 도움이 되었나 모르겠습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구동용 플라스틱 재료로서 OTFT가 실용화를 위해 필요한 요소는 >무엇입니까? 이 부분에 문외한이라 쉽게 설명 부탁드립니다. -
답변
조주웅님의 답변
2006-10-24- 0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구동용 플라스틱 재료로서 OTFT가 실용화를 위해 필요한 요소는 >무엇입니까? 이 부분에 문외한이라 쉽게 설명 부탁드립니다.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http://www.emdec.or.kr/cyber/cyber_view.asp?key=100&target=00# * 한국과학기술원 전자부품재료설계인력교육센터 교육자료 발표자 : 경상대학교 고분자공학과 분자공극재료연구실 권순기 교수 발표내용 : OTFT 재료의 개발동향 권순기 http://www.kcsnet.or.kr/main/k_announcement/k_a_search.htm?qpage=k_a_search * 대한화학회 : 검색방법 검색항목 : 공동저자 검색어 : 권순기 논문 내용 : OTFT 관련 -
답변
고상운님의 답변
2006-10-29- 0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구동용 플라스틱 재료로서 OTFT가 실용화를 위해 필요한 요소는 >무엇입니까? 이 부분에 문외한이라 쉽게 설명 부탁드립니다. 부연 설명 드립니다. OTFT의 실용화를 위해서는 증폭률이 크고, 높은 ON/OFF 전류비, ON 상태의 낮은 저항, 높은 동작주파수 등이 필요하며 이의 달성을 위한 핵심조건 중의 하나는 높은 캐리어 이동도를 가진 반도체 재료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