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XRD분석시 peak 이 split 되는 경우에..

XRD분석시 peak 이 split 되는 경우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그리고 관련자료가 있다면 좀 얻고싶습니다..
  • XRD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손삼익님의 답변

    구조가 바뀌는 경우에 peak split이 일어나겠지요 대칭성이 낮은 구조로 가면 peak split이 일어납니다.
    구조가 바뀌는 경우에 peak split이 일어나겠지요 대칭성이 낮은 구조로 가면 peak split이 일어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김철홍님의 답변

    피크가 split이 된다면, 결정성이 가장 큰 문제이겠지요. 상분리 및 상전이가 발생해도 나타납니다. 그냥 경험적 지식인데요, 동일한 샘플을 찍더라도 샘플 처리에 따라 split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더라구요, 이 경우 peak normalzing을 하니까, 데이터 처리는 가능하더라구요.
    피크가 split이 된다면, 결정성이 가장 큰 문제이겠지요. 상분리 및 상전이가 발생해도 나타납니다. 그냥 경험적 지식인데요, 동일한 샘플을 찍더라도 샘플 처리에 따라 split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더라구요, 이 경우 peak normalzing을 하니까, 데이터 처리는 가능하더라구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손삼익님의 답변

    peak split이 특정 peak에서만 일어나고 다른 peak은 동일하다면 시료의 상전이(낮은 대칭성)로 생각됩니다. 상태도등에서 동일화학식에서 가능한 동질이상이나 가능한 화학반응(제 생각에 이 경우는 peak split 보다는 다른 peak도 만을 듯)물을 찾아보세요. 대칭성이 높은 경우 cubic에서는 (100),(010),(001) 등이 동이한 위치에서 나타나지만 같은 물질이 대칭성이 낮은 tetragonal로 전이된 경우 (100),(010)은 같은 위치에서 peak이 나타나지만 (001)은 약간 다른 곳에서 보입니다.
    peak split이 특정 peak에서만 일어나고 다른 peak은 동일하다면 시료의 상전이(낮은 대칭성)로 생각됩니다. 상태도등에서 동일화학식에서 가능한 동질이상이나 가능한 화학반응(제 생각에 이 경우는 peak split 보다는 다른 peak도 만을 듯)물을 찾아보세요. 대칭성이 높은 경우 cubic에서는 (100),(010),(001) 등이 동이한 위치에서 나타나지만 같은 물질이 대칭성이 낮은 tetragonal로 전이된 경우 (100),(010)은 같은 위치에서 peak이 나타나지만 (001)은 약간 다른 곳에서 보입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