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11-28
org.kosen.entty.User@6dfc6042
김경윤(k2k2y1)
- 2
platelet aggregation pathway을 할고 싶습니다.
어떠한 원리로 응고가 되는지 해법을 찾는다면 어떠한 것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paper을 알고 계시거나 잘 알고 계시면 답변을 부탁 드립니다.
스킨에서 상처가 생기므로 인해 응고가 된다고 한다면
어떠하게 일어나는지 알고 싶습니다.
자세히 나온 논문이나 싸이트를 알고 계시면 답변 부탁드립니다.
- platelet
- aggregation
- pathway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윤철희님의 답변
2006-11-28- 0
>platelet aggregation pathway을 할고 싶습니다. >어떠한 원리로 응고가 되는지 해법을 찾는다면 어떠한 것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 >paper을 알고 계시거나 잘 알고 계시면 답변을 부탁 드립니다. >스킨에서 상처가 생기므로 인해 응고가 된다고 한다면 >어떠하게 일어나는지 알고 싶습니다. >자세히 나온 논문이나 싸이트를 알고 계시면 답변 부탁드립니다. 답변이 될련지 모르겠네요.. 참고하세요.. 혈소판 - 포유동물 이하의 동물에서는 혈전세포(thrombocyte)라 하고 핵이 있으며, 포유동물에서는 핵이 없고 혈소판(platelet)이라 하지만 혼용하여 사용됨 - 혈관의 손상으로 출혈이 있을 때 혈액응고에 관여함 혈소판 수 : 정확하게 표시하기는 어려우나, 혈류 중에 대략 200,000 – 800,000 정도 혈소판의 기능 혈소판은 다량의 세로토닌,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 히스타민, ATP 등을 함유 ① 혈소판의 점착성과 집합성(aggregation)에 의한 지혈작용 : 손상된 혈관벽에 점착하는 성질이 있으며, 혈소판 덩어리를 만들어 혈소판 혈전을 일으켜 국소혈관벽의 손상부위를 막아줌 ② 손상부위 국소혈관 수축작용 : 혈소판으로 부터 유리된 세로토닌이 작용하여 손상부위 혈관을 수축시켜 지혈되도록 함 ③ 혈액응고 촉진작용 : 혈소판 제3인자(트롬보플라스틴을 생성)와 제 4인자(헤파린의 중화작용을 갖는 인자)가 관여하여 혈액응고를 촉진 ④ 혈병의 퇴축작용 : 응고된 혈병은 혈소판에 포함되어 있는 인자에 의해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퇴축되어 혈청의 분리가 일어남 ⑤ 섬유소용해 억제작용 : 섬유소안정인자(fibrin stabilizing factor)와 섬유소용해 억제인자(anti-fibrinolysin)가 섬유소용해 억제작용을 함. 혈소판의 생성과 사멸 - 혈소판의 성숙과정 : 혈소판계 간세포 à 거핵아구(megakaryoblast) à 전거핵구 (promegakaryocyte) à 거핵구(megakaryocyte) à 혈소판 - 혈소판의 수명은 비교적 짧으며 순환혈액 중에서 8 – 11일이며, 반감 수명은 2 – 3일 각종 혈액 응고인자의 특성 ① Ⅰ 인자(fibrinogen); 트롬빈에 의해 섬유소원 분자가 중합하여 섬유소로 된다. ② Ⅱ 인자(prothrombin); 간장에서 생산되어 칼슘이온의 존재하에 활성화된 X인자의 작용으로 트롬빈이 된다. ③ 트롬빈; 트롬빈과 섬유소원의 반응은 트롬빈 농도에 정비례하여 촉진되며, 혈액 응고 시간이 단축된다. 순환혈액 중에서도 양이 많아지면 응고를 초래한다. ④ Ⅲ 인자(thromboplastin); 손상된 혈관벽과 부근 조직으로부터 유리되는 물질로 칼슘이온 존재 하에 Ⅶ인자를 활성화 하여 X 인자를 활성화 시킨다. ⑤ IV 인자(calcium ion); 혈액 응고인자가 칼슘이온의 존재 하에서 활성화 되어 작용을 한다. ⑥ V 인자(proaccelerin 또는 labile factor); 프로트롬빈이 트롬빈으로 전환하는데 필요한 인자. ⑦ VII 인자(proconvertin 또는 stable factor); 비타민K의 존재 하에 간장에서 합성되며, 트롬보 플라스틴이 X인자를 활성화 하는데 필요한 인자이다. ⑧ VIII인자(antihemophilic factor; AHF); 활성화된 IX인자가 X인자를 활성화 시킬 때 관여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⑨ IX인자(christmas factor); 활성화된 XI인자에 의해서 활성화 되며 X인자를 활성화 시키는 역할을 한다. ⑩ X인자(stuart factor); 응고과정에서 트롬보플라스틴이나 활성화 크리스마스 인자에 의해 활성화 되어 프로트롬빈을 트롬빈으로 전환시킨다. ⑪ XI인자(plasma thromboplastin antecedent; PTA); 칼슘이온 존재하에 크리스마스 인자를 활성시키는 인자이다. ⑫ XII인자(Hageman factor 또는 contact factor); 유리관 등 이물에 접촉하면 활성화 되어 XI인자를 활성화 XI인자로 전환시킨다. ⑬ XIII인자(fibrin stabilizing factor); 섬유소를 안정성 있게 유지시키는 혈청 인자이다. ⑭ 혈소판; 세로토닌을 방출하여 국소혈관을 수축시키고, 점착성과 집합성으로 혈소판 혈전을 일으켜 지혈하는 작용과 혈액 응고에 필요한 인지질을 유지시킨다. 좋은 실험되세요.. -
답변
강효찬님의 답변
2006-11-29- 0
도움이 되실지... 관련 싸이트도 하나 드립니다... http://www.chelationtherapyonline.com/GarryGordon/KarlLorenResearch/p32.html 더 필요하신게 있으시면 멜 주세요....^^ >platelet aggregation pathway을 할고 싶습니다. > >어떠한 원리로 응고가 되는지 해법을 찾는다면 어떠한 것이 있는지 > >알고 싶습니다. > >paper을 알고 계시거나 잘 알고 계시면 답변을 부탁 드립니다. > >스킨에서 상처가 생기므로 인해 응고가 된다고 한다면 > >어떠하게 일어나는지 알고 싶습니다. > >자세히 나온 논문이나 싸이트를 알고 계시면 답변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