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12-01
org.kosen.entty.User@45a07005
마보영(cclc)
- 2
불활성화 되어있는 enzyme을 활성화 시키는 방법과
activation이 되었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지가 궁금합니다.
도와주세요~
- 단백질
- enzym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박재봉님의 답변
2006-12-05- 0
>불활성화 되어있는 enzyme을 활성화 시키는 방법과 >activation이 되었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지가 궁금합니다. >도와주세요~ 효소에 따라 다르겠지요. 대개 효소의 활성을 잃어버리면 회복하기 어려운 것들이 많으니 효소가 불활성화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효소를 안정화 시키는 물질들: glycerol 10-20%, ethylene glycol 40-50%, 가끔식 위의 물질들이 효소반응에 영향을 준다면 0.1-1% BSA를 함께 넣어주기도 합니다. 효소의 산화를 막기 위하여 1mM DTT를 넣기도 합니다. 어떤 효소의 기질로 사용되는 리간드를 넣어주기도 합니다. 또한 함께 있을 가능성이 있는 단백질 분해효소를 저해하기 위하여 저해제를 넣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저해제로는 가장 흔히 쓰는 것이 1 mM PMSF (물에 안녹고 isopropanol에 녹음), aprotinin, leupeptin등을 섞어서 많이 씁니다. 얼렸다 녹였다를 반복하지 않기 위하여 작은 량의 분주를 많이 만들어 -20 혹은 -70도에 얼려 보관하고 사용할 때는 하나씩 꺼내어 사용합니다. (2) 활성화된 것을 알수 있는 방법: 그것은 특정 효소의 활성을 측정해 보는 수 밖에 없겠죠. -
답변
박재봉님의 답변
2007-10-24- 0
1. 불활성화 되어있는 enzyme을 활성화 시키는 방법 1) 만일 단백질이 zymogen과 같은 형태라면 이것을 가수분해 할 수 있는 것을 넣어 주어야 겠지요. 즉 trypsigen 이나 chymotrtypsinogen에는 각각 trypsin 이나 chymotrypsin등을 넣어 주어야 할 것 같습니다. 즉 단백질의 특정부위의 부분적인 가수분해가 일어나야만 활성화 됩니다. 2) 만일 효소가 메탈이 결합되어야 하는 것인데 효소의 완충용액에 EDTA등이 섞여 있다면 메탈 (Mg2+, Mn2+. Zn2+등)을 넣어주어야 겠지요. 3) 산화가 일어나서 효소가 불활성화 된 것이라면 DTT등을 넣어 환원형으로 유지를 시켜 주어야 합니다. 4) 단백질 비특이적으로 가수분해가 일어나지 않도록 완충액에 단백질 분해 효소의 저해제들 (leuepeptin, aprotinin, PMSF등)를 넣어 주어야 합니다. 5) 단백질 안정화 물질들 (glycerol, ethylene glycol등)을 넣어 주거나 다른 단백질 (BSA)등을 함께 넣어 보관합니다. 2. activation이 되었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지가 궁금합니다. 효소의 특이적 활성을 측정해 보아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