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12-14
org.kosen.entty.User@228c58bd
강지영(blue30901)
- 1
저는 human fibroblast cell인 IMR-90 cell로 SA-beta-gal staining을 하고 있습니다.
cell에 아무처리도 하지 않고 PD가 높아질때 까지 키워서 stainig하기도 하고 H2O2로 노화를 유도해 staining하기도 합니다.
그런데 staining 효율이 너무 안좋은것 같습니다..
즉, staining이 되는 cell수가 너무 적다는 것이죠..
예전에는 같은 조건에서도 staining이 잘됐었는데 말이죠..
도대체 뭐가 문제인지 알고 싶습니다..
복잡한 protocol이 있는 실험도 아닌데..
저의 protocol은
1. 배지 버리고 PBS로 3회 washing
2. 3% formaldehyde에 5~10min, R.T에서 incubation
3. formaldehyde버리고 PBS로 2회 washing
4. staining solution 750ul~1ml 넣고 2day CO2 없는 incubator에서 2day incubation
staining solution 조성
1mg/ml x-gal(in DMF)
5mM ferricyanide
5mMferrocyanide
2mM MgCl2
150mM NaCl
40mM citrate-phosphate buffer(pH6.0)
staining solution 만들때 처음 5가지 녛고 나머지를 40mM citrate-phosphate buffer(pH6.0)로 채워서 total volume맞추구여..
그리고 최후의 수단으로 kit사용까지 고려하고 있는데 혹시 써보신분들은 어느 회사 kit 가 좋은지도 답변부탁드려요..
꼭!!! 좋은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모두 수고하세요~
- SA-beta-gal staining
- senescenc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김수정님의 답변
2006-12-15- 0
이 키트 추천합니다. 일정한 결과를 줍니다. >저는 human fibroblast cell인 IMR-90 cell로 SA-beta-gal staining을 하고 있습니다. >cell에 아무처리도 하지 않고 PD가 높아질때 까지 키워서 stainig하기도 하고 H2O2로 노화를 유도해 staining하기도 합니다. > >그런데 staining 효율이 너무 안좋은것 같습니다.. >즉, staining이 되는 cell수가 너무 적다는 것이죠.. > >예전에는 같은 조건에서도 staining이 잘됐었는데 말이죠.. > >도대체 뭐가 문제인지 알고 싶습니다.. >복잡한 protocol이 있는 실험도 아닌데.. > >저의 protocol은 >1. 배지 버리고 PBS로 3회 washing >2. 3% formaldehyde에 5~10min, R.T에서 incubation >3. formaldehyde버리고 PBS로 2회 washing >4. staining solution 750ul~1ml 넣고 2day CO2 없는 incubator에서 2day incubation >staining solution 조성 >1mg/ml x-gal(in DMF) >5mM ferricyanide >5mMferrocyanide >2mM MgCl2 >150mM NaCl >40mM citrate-phosphate buffer(pH6.0) >staining solution 만들때 처음 5가지 ?隔?나머지를 40mM citrate-phosphate buffer(pH6.0)로 채워서 total volume맞추구여.. > >그리고 최후의 수단으로 kit사용까지 고려하고 있는데 혹시 써보신분들은 어느 회사 kit 가 좋은지도 답변부탁드려요.. >꼭!!! 좋은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모두 수고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