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lenti virus를 infection 했을 때 cell이 죽는 현상

안녕하세요? 제가 요즘 lenti virus를 이용해서 HL-1이라는 mouse cardiac atrium cell line에 gene을 knockdown 하는 실험을 하고 있는데, lenti virus를 cell에다 infection 시키면 cell들이 infection후에 계속 죽어가고 있습니다. 그런데 더 문제가 되는것은 그게 knockdown sequence를 갖는 virus보다, scramble sequence를 갖는 virus를 infection 했을 때 cell이 죽는현상이 더 심하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생각한게 virus titer가 높아서 그런것은 아닐까 하는생각에 MOI를 낮춰서 infection을 했는데 여전히 셀들이 죽어갔습니다. 그리고 죽은 모양을 보면, 마치 necrosis가 일어나는 것처럼 cell들이 터져서 죽는 느낌이었고, 좀더 incubation을 하고 나서 보면, 미디어에 cell debris같은 물질들이 둥둥 떠다니는 것도 확인했습니다. 실험을 하다하다 안돼서 결국 여기까지 거슬러 오게되었습니다. 많은 선배님들의 조언부탁드립니다.
  • lenti
  • infectio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한재석님의 답변

    바이러스를 infection했을때 cell이 죽는 가장 큰 이유는 물론 titer이겠지요. MOI를 낮추었다고 하셨는데, 얼마나 낮추셨는지 궁금하네요. 이 바리러스 벡터를 예전에 사용하셨다면 optimal titer를 알고 계시겠지요. 그 정도의 titer를 이용하셨는데, 계속 cell이 죽는다면, 다음에 의심할 것은 물론 transgene의 toxicity인데 control virus에서도 똑같은 결과가 나온다니 그것도 아니죠. 그 다음 의심할 것은 prep과정에서의 contamiantion, 또는 viral titer가 적게 나왔을때 transducing과정에서 infection media를 과량으로 쓸때도 toxicity가 나올 수도 있습니다. 간단하게 답변을 드렸지만, 더 자세한 것은 정보가 부족하기때문에 생략하고요, 더 원하신다면 더 자세한 정보를 주시면 함께 discussion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럼 성공하시길 바라며, >안녕하세요? >제가 요즘 lenti virus를 이용해서 HL-1이라는 mouse cardiac atrium cell line에 gene을 knockdown 하는 실험을 하고 있는데, >lenti virus를 cell에다 infection 시키면 cell들이 infection후에 계속 죽어가고 있습니다. >그런데 더 문제가 되는것은 그게 knockdown sequence를 갖는 virus보다, >scramble sequence를 갖는 virus를 infection 했을 때 cell이 죽는현상이 더 심하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생각한게 virus titer가 높아서 그런것은 아닐까 하는생각에 MOI를 낮춰서 infection을 했는데 여전히 셀들이 죽어갔습니다. >그리고 죽은 모양을 보면, 마치 necrosis가 일어나는 것처럼 cell들이 터져서 죽는 느낌이었고, 좀더 incubation을 하고 나서 보면, 미디어에 cell debris같은 물질들이 둥둥 떠다니는 것도 확인했습니다. > >실험을 하다하다 안돼서 결국 여기까지 거슬러 오게되었습니다. >많은 선배님들의 조언부탁드립니다.
    바이러스를 infection했을때 cell이 죽는 가장 큰 이유는 물론 titer이겠지요. MOI를 낮추었다고 하셨는데, 얼마나 낮추셨는지 궁금하네요. 이 바리러스 벡터를 예전에 사용하셨다면 optimal titer를 알고 계시겠지요. 그 정도의 titer를 이용하셨는데, 계속 cell이 죽는다면, 다음에 의심할 것은 물론 transgene의 toxicity인데 control virus에서도 똑같은 결과가 나온다니 그것도 아니죠. 그 다음 의심할 것은 prep과정에서의 contamiantion, 또는 viral titer가 적게 나왔을때 transducing과정에서 infection media를 과량으로 쓸때도 toxicity가 나올 수도 있습니다. 간단하게 답변을 드렸지만, 더 자세한 것은 정보가 부족하기때문에 생략하고요, 더 원하신다면 더 자세한 정보를 주시면 함께 discussion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럼 성공하시길 바라며, >안녕하세요? >제가 요즘 lenti virus를 이용해서 HL-1이라는 mouse cardiac atrium cell line에 gene을 knockdown 하는 실험을 하고 있는데, >lenti virus를 cell에다 infection 시키면 cell들이 infection후에 계속 죽어가고 있습니다. >그런데 더 문제가 되는것은 그게 knockdown sequence를 갖는 virus보다, >scramble sequence를 갖는 virus를 infection 했을 때 cell이 죽는현상이 더 심하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생각한게 virus titer가 높아서 그런것은 아닐까 하는생각에 MOI를 낮춰서 infection을 했는데 여전히 셀들이 죽어갔습니다. >그리고 죽은 모양을 보면, 마치 necrosis가 일어나는 것처럼 cell들이 터져서 죽는 느낌이었고, 좀더 incubation을 하고 나서 보면, 미디어에 cell debris같은 물질들이 둥둥 떠다니는 것도 확인했습니다. > >실험을 하다하다 안돼서 결국 여기까지 거슬러 오게되었습니다. >많은 선배님들의 조언부탁드립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