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1-27
org.kosen.entty.User@4937c5e1
박초롱(nomess)
- 3
졸업논문 준비중인데 title 은
COMPARATIVE STUDY OF EFFECT OF Lentinula edodes (SHIITAKE MUSHROOM) AND Inonotus obliquus (CHAGA MUSHROOM)IN REDUCING BLOOD-GLUCOSE LEVEL OF STREPTOZOTOCIN-INDUCED ALBINO MICE 에요.
proposal 때문에 chapter 3 까지 작성 해야 하는데 기본 아이디어는 있지만 어떤종류의 쥐를 써야 하는지. 생후 얼마짜리를 써야 하는지, treatment 는 어느정도의 양을 투여해야 하는지 잘 모르겠네요.
담당 교수님이 요즘 너무 바쁘셔서 도무지 여쭤볼 겨를이 없어요
(졸업반 final defense 기간이라서요...)
T0 = (–) control group
T1 = (+) control group; 1.2mg streptozotocin per 20g body weight.
T2 = Chaga mushroom extract + 1.2mg streptozotocin per 20g body weight.
T3 = Shiitake mushroom extract + 1.2mg streptozotocin per 20g body weight.
정도로 생각 해 봤는데. 버섯은 120g 정도를 1리터의 물과 함께 달이려는 생각이구요. 이 extract 을 당뇨 유발 후 8시간 정도 금식 후에 하려고 하는데..
pure extract 이 아니라 treatment 양을 어느정도로 해야 할지 고민이에요.
혹시 다르게 extract 하는법 아시는분 있으시면 것도 답해주세요~
- streptozotocin
- inonotus obliquus extract
- diabetes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서형식님의 답변
2007-01-29- 1
내용으로 봐서는 당뇨 모델 유발을 위해 마우스를 사용하실것 같은데, adult인 경우에는 생각보다 strep를 투여해서 모델 유발이 잘 안됩니다. 유발율을 증가시키기위해서는 rat를 mating시켜서 생후 3-5일령되는 rat에 strep을 투여하면 유발율이 높아진답니다. IP로요. 그후의 방법은 천연물 투여량은 농도별로 투여할 방법밖에 없는것 같넹요. -
답변
한재석님의 답변
2007-01-30- 1
첫번째 albino mice라 하면 너무 광범위한 것 같네요. 특정 strain을 써주시는게 논문에 있어서는 낳을 것 같구요, albino 모델에서 저희 실험실은 NOD.scid 또는 Balb/c등을 씁니다. 또한 C57 black mice도 자주 이용하구요. NOD.scid는 비싸니까 다른 strain을 쓰시면 큰 문제는 없을 듯 합니다. 연령문제는, 저의 경우는 8-12 week-old mice를 주로 사용했습니다. 너무 어리면 저의 경우는 STZ를 넣었을 때 잘 죽더라구요. 그래서 좀 큰 놈을 사용합니다. 세번째, 버섯 extract는 윗 분 말씀대로 여러 포이트를 잡아서 해보시는 수 밖에 없을 듯 합니다. 미리 비슷한 실험이 되었다면 그것을 기본으로 양을 시험해보시는 것이 가장 좋을 듯 합니다. 물론 이미 발표된것이 positive control로 이용되겠지요. 발표된 것이 없다면 비슷한 천연물중에서 당뇨에 효과가 있는 것을 역시 positive control로 삼아 쓰셔야 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저희 실험실은 주로 150mg/kg body weight의 STZ를 찌릅니다. 만약 20g의 쥐라면 약 3mg의 STZ를 찌르는 셈이죠. 이것은 single injection일때고요, multiple의 경우는 질문하신 분 말씀대로 좀 줄여서 여러번 찔러서 diabetes를 유도합니다. STZ는 50mM citrate buffer (ph 4.2)에서 찌르기 바로 직전에 녹이셔야 합니다. 처리후 약 3-5일 후에 당뇨는 유발될 것입니다. 간단하게나마 적었구요, 더 도움이 필요하시면 언제든지 쪽지 주세요. -
답변
윤철희님의 답변
2007-01-30- 1
버섯의 extract를 만들어서 실험을 하신다면, boiling, ethanol extract등의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첨부하는 파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팁을 드리자면.. 나중에 논문투고를 할 때 이런 실험은 crude한 extract를 사용하는 것이므로 페이퍼 쓸 때 힘듭니다.. 따라서 한번 만들때 잘(?) 만들고, 많이 만들어서 실험간 또는 반복간 오차를 줄여주면 좋습니다. 또 하나는 성분분석을 하여서 논문투고를 하게되면 신뢰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좋은 실험되세요.. >졸업논문 준비중인데 title 은 >COMPARATIVE STUDY OF EFFECT OF Lentinula edodes (SHIITAKE MUSHROOM) AND Inonotus obliquus (CHAGA MUSHROOM)IN REDUCING BLOOD-GLUCOSE LEVEL OF STREPTOZOTOCIN-INDUCED ALBINO MICE 에요. > >proposal 때문에 chapter 3 까지 작성 해야 하는데 기본 아이디어는 있지만 어떤종류의 쥐를 써야 하는지. 생후 얼마짜리를 써야 하는지, treatment 는 어느정도의 양을 투여해야 하는지 잘 모르겠네요. >담당 교수님이 요즘 너무 바쁘셔서 도무지 여쭤볼 겨를이 없어요 >(졸업반 final defense 기간이라서요...) > > >T0 = (–) control group > >T1 = (+) control group; 1.2mg streptozotocin per 20g body weight. > >T2 = Chaga mushroom extract + 1.2mg streptozotocin per 20g body weight. > >T3 = Shiitake mushroom extract + 1.2mg streptozotocin per 20g body weight. > >정도로 생각 해 봤는데. 버섯은 120g 정도를 1리터의 물과 함께 달이려는 생각이구요. 이 extract 을 당뇨 유발 후 8시간 정도 금식 후에 하려고 하는데.. >pure extract 이 아니라 treatment 양을 어느정도로 해야 할지 고민이에요. > >혹시 다르게 extract 하는법 아시는분 있으시면 것도 답해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