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아크릴 수지의 경화 촉진

실험하다가 잘 안되는게 있어서 도움 부탁드립니다.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에 저온 중합개시제를 넣어(α,α'-azobisisobutyronitrile , AIBN) 90도 정도로 가열교반하여 겔 상태로 만들었습니다. 이것을 몰딩에 넣고 열을 가하며 경화시켰는데 경화시간이 너무 오래 걸립니다. (약 20시간) 얇게 펴서 경화하면 반나절만에도 경화가 되는데 일정두께가 넘으면 경화가 너무 더뎌서 몰딩 한 자체가 무의미 해 지는데 이 경화시간을 단축 시키는 방법이 없습니까? 첨가 약품이나 아니면 공정상 빠뜨린 내용이 있는지 전문가분들의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참고로 저는 화학을 전공하지 않은 사람이라 어려운 말은 모르지만 고등학교때 화학은 배워서 기초적인 용어정도만 압니다.
  • acryl
  • harden
  • plastic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배영한님의 답변

    일반적으로 경화제를 함께 첨가하여 경화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MMA와 PMMA를 함께 사용하고 경화제로 Benzoyl Peroxide나 Di Butyl Phthalate를 넣어 경화해보세요. 사용량은 정확히 기억이 안나네요. 예전에 배운 것인데 저도 정확히 모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경화제를 함께 첨가하여 경화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MMA와 PMMA를 함께 사용하고 경화제로 Benzoyl Peroxide나 Di Butyl Phthalate를 넣어 경화해보세요. 사용량은 정확히 기억이 안나네요. 예전에 배운 것인데 저도 정확히 모르겠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강병언님의 답변

    >실험하다가 잘 안되는게 있어서 도움 부탁드립니다. >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에 저온 중합개시제를 >넣어(α,α'-azobisisobutyronitrile , AIBN) 90도 정도로 가열교반하여 >겔 상태로 만들었습니다. 이것을 몰딩에 넣고 열을 가하며 경화시켰는데 >경화시간이 너무 오래 걸립니다. (약 20시간) 얇게 펴서 경화하면 >반나절만에도 경화가 되는데 일정두께가 넘으면 경화가 너무 더뎌서 >몰딩 한 자체가 무의미 해 지는데 이 경화시간을 단축 시키는 방법이 >없습니까? > >첨가 약품이나 아니면 공정상 빠뜨린 내용이 있는지 전문가분들의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 >참고로 저는 화학을 전공하지 않은 사람이라 어려운 말은 모르지만 >고등학교때 화학은 배워서 기초적인 용어정도만 압니다. > > 일반적으로 모노머에는 보관성을 높이기 위해 경화억제제가 들어있습니다. 이를 정제하여 사용하시거나 혹은 고순도의 MMA를 사용하시면 반응이 촉진될 것입니다. 혹은 당량이 최적화되지 않아 고분자 chain이 아닌 다량의 oligomer가 발생하였기 때문일 수도 있으니, 당량을 조절하여 실험해 보심이 좋을 듯 합니다. 다른 답변에서와 같이 다른 경화제를 사용할 수도 있겠는데, 특정 온도에서 반감기가 빠른 것을 선택하거나, 특정 시간에서 낮은 온도에서 반응하는 것을 선택하시면 될 것입니다.
    >실험하다가 잘 안되는게 있어서 도움 부탁드립니다. >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에 저온 중합개시제를 >넣어(α,α'-azobisisobutyronitrile , AIBN) 90도 정도로 가열교반하여 >겔 상태로 만들었습니다. 이것을 몰딩에 넣고 열을 가하며 경화시켰는데 >경화시간이 너무 오래 걸립니다. (약 20시간) 얇게 펴서 경화하면 >반나절만에도 경화가 되는데 일정두께가 넘으면 경화가 너무 더뎌서 >몰딩 한 자체가 무의미 해 지는데 이 경화시간을 단축 시키는 방법이 >없습니까? > >첨가 약품이나 아니면 공정상 빠뜨린 내용이 있는지 전문가분들의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 >참고로 저는 화학을 전공하지 않은 사람이라 어려운 말은 모르지만 >고등학교때 화학은 배워서 기초적인 용어정도만 압니다. > > 일반적으로 모노머에는 보관성을 높이기 위해 경화억제제가 들어있습니다. 이를 정제하여 사용하시거나 혹은 고순도의 MMA를 사용하시면 반응이 촉진될 것입니다. 혹은 당량이 최적화되지 않아 고분자 chain이 아닌 다량의 oligomer가 발생하였기 때문일 수도 있으니, 당량을 조절하여 실험해 보심이 좋을 듯 합니다. 다른 답변에서와 같이 다른 경화제를 사용할 수도 있겠는데, 특정 온도에서 반감기가 빠른 것을 선택하거나, 특정 시간에서 낮은 온도에서 반응하는 것을 선택하시면 될 것입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