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4-24
org.kosen.entty.User@326e853c
김병렬(env21)
- 2
FT-IR 을 이용하여 측정한 데이터 관련 질문입니다.
논문을 보니 " IR에 강한 흡수(1,745㎝-1) 밴드를 나타내며" 라는 문구가 있습니다. 여기서 "1,745㎝-1" 는 어떤 단위이며, 파장단위인 나노메터나 마이크로메터로 환산이 가능한지요? 어떻게 계산하는지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 IR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심용호님의 답변
2007-04-24- 0
>FT-IR 을 이용하여 측정한 데이터 관련 질문입니다. > >논문을 보니 “ IR에 강한 흡수(1,745㎝-1) 밴드를 나타내며“ 라는 문구가 있습니다. 여기서 “1,745㎝-1“ 는 어떤 단위이며, 파장단위인 나노메터나 마이크로메터로 환산이 가능한지요? 어떻게 계산하는지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1 은 파수 (wavenumber) 입니다. 이것의 역수가 파장입니다. 일반적으로 파수 = 10000/파장 (단위 계산 포함) 을 이용합니다. 즉 1745 = 10000/ 5.7306 (파장단위(㎛)) 가 됩니다. -
답변
고승학님의 답변
2007-04-26- 0
IR은 그냥 부르기 쉽게 줄여서 하다보니 IR이라고 적는 것이고 실제로 사용하는 정식 명칭은 FT-IR Spectrometer라고 해야 합니다.. 여기서 측정한것을 분석하는 방법을 표시한것이고 IR은 InfraRed의 약자로 적외선이져.. IR은 보통 어떤 화합물의 작용기를 확인하는데 주로 사용을 합니다... 작용기의 종류로는 탄소탄소 이중결합, 방향족, 탄소-수소의 결합(단일결합의 수소, 이중결합의 수소등), -CN, -OH, -COOH, -NH2등의 여러가지를 확인합니다. 확인하는 원리는 양자화된 에너지를 이용한것입니다. IR영역의 빛(대략 770nm~1000um 하지만 IR에서는 wavenumber라고 하여 cm(-1)의 단위를 사용합니다)을 샘플에 스캔을 합니다... 그리고 빛을 준 양과 샘플을 투과한 양을 비교하여 그래프로 나타내는 것이죠.. 만약 흡수한 빛이 없다면 빛의 투과율은 상당히 높게 나타나고 어떤 작용기가 빛을 흡수하였다면 빛이 사라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작은 양의 빛만이 나오게 되는 것이죠... 참고로 wavenumber는 10,000/빛의 파장(Cm) 으로 계산하면 됩니다.(Cm를 um로 환산하면 됩니다) 보통 측정영역은 400~4500 wavenumber정도 측정합니다. 간단한 몇가지 작용기의 peak는 -OH는 3000~3400에 넓고 크게 나타나며 -NH2는 -OH와 비슷하지만 sharp한 peak가 2개 있습니다. 그리고 탄소탄소 삼중결합에 붙은 수소는 3300에서 1개의 peak, 이중결합의 수소는 3200~3000사이 단일결합의 수소는 3000~2800사이에 나타나고 -C=O는 대략 1700근처에서 나타납니다... 이이외에도 수많은 작용기를 찾아낼수 있습니다. 보통 FT-IR은 정성분석용으로 많이 사용하지만 정량분석용으로도 사용가능합니다. 또한 시료의 샘플은 대부분 KBr과 같이 갈아서 Pelet을 만든후 사용합니다. 하지만 녹여서 사용하는 경우도 있고, 액체의 경우는 KBr 펠렛을 만든후 그 위에 묻히거나 또는 어떤 셀에 넣어서 측정하는 방법등 여러방법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KBr 펠렛을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죠... 또한 측정한 데이터를 처리할때 흡수한 빛을 보느냐, 투과된 빛을 보느냐 또는 반사된 빛을 보느냐에 따라 그래프의 형태가 바뀌기도 합니다.(peak가 변하는 것은 아니고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