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5-01
org.kosen.entty.User@45c84d41
김소이(yes3m)
- 3
논문에서 이해가지 않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처리 물질의 해당 농도에서 세포 독성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으로 MTT assay를 수행하였는데요.
샘플 처리 군이 무처리군(control)에 비해서 95% 의 신뢰도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습니다.
결과 그래프를 보면 control과 DMSO 의 % of DMSO가 각 각 107.7 , 100 으로 나와있고 샘플처리군은 control과 비슷한것도 있고 DMSO와 비슷한것도 있는데요
원래 MTT 실험에서 formazan을 DMSO에 녹여서 생성된양의 흡광도를 ELISA 리더기로 측정하여
세포의 성장을 측정하는것으로 알고있는데.
왜 제가 보고있는 논문에서는 흡광도가 나오지 않고 % of DMSO가 나오는지 궁금합니다.
- MTT
- 세포독성
- 세포성장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윤철희님의 답변
2007-05-01- 0
아마도 에세이 자체에 대해서는 잘 이해하고 계신 듯 합니다.. 그래프를 직접보지 않아서 정확하지는 않지만.. 설명을 보니 아마도 100으로 나온 것이 측정하고자하는 베이스라인 인 듯 합니다. 즉, % of DMSO를 100으로 하였을때의 값을 구하여 비교한 것이라 판단됩니다.. 좋은발표되세요.. >논문에서 이해가지 않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처리 물질의 해당 농도에서 세포 독성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으로 MTT assay를 수행하였는데요. >샘플 처리 군이 무처리군(control)에 비해서 95% 의 신뢰도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습니다. > >결과 그래프를 보면 control과 DMSO 의 % of DMSO가 각 각 107.7 , 100 으로 나와있고 샘플처리군은 control과 비슷한것도 있고 DMSO와 비슷한것도 있는데요 >원래 MTT 실험에서 formazan을 DMSO에 녹여서 생성된양의 흡광도를 ELISA 리더기로 측정하여 >세포의 성장을 측정하는것으로 알고있는데. > >왜 제가 보고있는 논문에서는 흡광도가 나오지 않고 % of DMSO가 나오는지 궁금합니다. -
답변
배우철님의 답변
2007-05-02- 0
OD 값으로 표현하기도 하지만, %가 사람들이 쉽기 때문에 OD값을 %로 환산하여 많이 사용합니다. 항암제의 세포독성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IC50이라는 수치도 OD값에서 환산해서 이용되고 있습니다. -
답변
김문무님의 답변
2007-05-08- 0
다른 한가지 이유는 평균과 편차를 고려해야하는데 Optical density 만으로 표시할 경우 실험시 마다 O.D값이 달라져 편차가 크짐으로 %로 표시하면 편차를 줄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