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바이러스 particle수 측정하는 방법

ATCC에서 바이러스 표준물질을 구입을 했는데 DATA SHEET에 보니깐 바이러스 샘플에 SDS를 처리해서 260nm에서 측정해서 바이러스 particle수를 정했다고 하는데 자세한 방법을 알고싶습니다 알려주세요
  • virus
  • 260nm/SDS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허광래님의 답변

    >ATCC에서 바이러스 표준물질을 구입을 했는데 >DATA SHEET에 보니깐 >바이러스 샘플에 SDS를 처리해서 260nm에서 측정해서 >바이러스 particle수를 정했다고 하는데 > >자세한 방법을 알고싶습니다 > >알려주세요 > ^^; 1) SDS를 처리하면 (단백질껍질+핵산 염색물질)로 구성된 바이러스의 껍질이 제거되겠지요. 그럼 핵산만 남겠고요. 2) 260 nm에서 Spec으로 측정하면 핵산의 전체 양을 알수 있겠찌요.. 핵산이 RNA인지 DNA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통상 DNA라고 가정하면..... 환산표에 의해서 OD값---> ug으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제 기억에 의하면 1 OD= 40~50 ug?) (NEB 카탈로그 같은 곳의 부록을 보면 환산표 자료 많습니다) 3) 바이러스의 염색체 크기는 알려져 있을터이니, 분자량 알 수있고.. 예를 들어서 10 kb double-stranded DNA면, 10,000 bp X 660g/bp / Avogadro No (=6 X 10E23) = 계산은 직접 해 보셔요 4) 최종적으로 “2) 정량치 / 3) 염색체 분자량 = 바이러스 갯수“ 가 됩니다. ^^ 이상입니다.
    >ATCC에서 바이러스 표준물질을 구입을 했는데 >DATA SHEET에 보니깐 >바이러스 샘플에 SDS를 처리해서 260nm에서 측정해서 >바이러스 particle수를 정했다고 하는데 > >자세한 방법을 알고싶습니다 > >알려주세요 > ^^; 1) SDS를 처리하면 (단백질껍질+핵산 염색물질)로 구성된 바이러스의 껍질이 제거되겠지요. 그럼 핵산만 남겠고요. 2) 260 nm에서 Spec으로 측정하면 핵산의 전체 양을 알수 있겠찌요.. 핵산이 RNA인지 DNA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통상 DNA라고 가정하면..... 환산표에 의해서 OD값---> ug으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제 기억에 의하면 1 OD= 40~50 ug?) (NEB 카탈로그 같은 곳의 부록을 보면 환산표 자료 많습니다) 3) 바이러스의 염색체 크기는 알려져 있을터이니, 분자량 알 수있고.. 예를 들어서 10 kb double-stranded DNA면, 10,000 bp X 660g/bp / Avogadro No (=6 X 10E23) = 계산은 직접 해 보셔요 4) 최종적으로 “2) 정량치 / 3) 염색체 분자량 = 바이러스 갯수“ 가 됩니다. ^^ 이상입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