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5-31
org.kosen.entty.User@277c5f0c
최순범(beom8649)
- 2
3L jar fermentor로 E. coli DH5@를 배양하고 있습니다.
Batch culture라 할지라도 fermentor로 배양을 하면 플라스크에서 배양하는것과 달리 air의 주입, pH-control, mixing, 온도 control이 좋아서 플라스크에 비해 10배 이상 cell density가 나온다고 들었는데요. 지금 growth curve를 보면 flask하고 별 차이가 없네요(final OD: 1.0~1.3)
배양조건은
1. LB 배지를 이용하였으며
2. 온도는 37도로 셋팅 하였고
3. 공기로 airation을 하였고
4. 1N HNO3, 1N NaOH를 사용하여 pH 7로 조절하였고
5. 실리콘소포제를 10배 희석하여 anti-foamer로 사용하였고...
이렇습니다. 도대체 왜그럴까요...
배양실험은 배운적이 없습니다. 잘 가르쳐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fermentation
- cultivation
- E coli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배우철님의 답변
2007-05-31- 0
일반적으로 발효조 배양은 수율이 높다고 알려져 있지만.. 이는 굉장이 최적화(optimization) 되어 있을 때를 기준으로 합니다.. 실제로 scale up 할때(10배 씩)에도 각각의 최적화를 할 수 밖에 없습니다.. 일존의 이론과 현실의 차이입니다... 질문하신 분의 조건을 본다면... 플라스크 배양 때 산소가 얼마나 공급이 되는지 정확하게 모르실 것입니다.. 반면에 발효조에서는 어떤 조건으로 설정을 하셨을 것이구요..산소가 부족해도 못자라고 많아도 못자랍니다.. mixing도 플라스크는 shaking 이지만 발효조에서는 내부의 임펠러가 담당합니다.. 이것도 적어도 잘 성장하지 못하고..과도하게 빠르게 돌리면 오히려 셀에 스트레스가 됩니다.. >3L jar fermentor로 E. coli DH5@를 배양하고 있습니다. >Batch culture라 할지라도 fermentor로 배양을 하면 플라스크에서 배양하는것과 달리 air의 주입, pH-control, mixing, 온도 control이 좋아서 플라스크에 비해 10배 이상 cell density가 나온다고 들었는데요. 지금 growth curve를 보면 flask하고 별 차이가 없네요(final OD: 1.0~1.3) >배양조건은 >1. LB 배지를 이용하였으며 >2. 온도는 37도로 셋팅 하였고 >3. 공기로 airation을 하였고 >4. 1N HNO3, 1N NaOH를 사용하여 pH 7로 조절하였고 >5. 실리콘소포제를 10배 희석하여 anti-foamer로 사용하였고... >이렇습니다. 도대체 왜그럴까요... >배양실험은 배운적이 없습니다. 잘 가르쳐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답변
최기섭님의 답변
2007-06-01- 0
제가 생각할때 초기 배지조건은 문제가 없는것 같습니다. fermentation parameter(aeration, agitation ...)을 표기해 주셨으면 좋았을 텐데요. 일반적으로 flask의 온도,배지,초기 pH등은 그대로 발효조에 적용되구요. pH조절은 NaOH와 phosphoric acid, HCl을 적당히 희석해서 조절합니다. 문제는 Fermentation 최적화를 어떻게 하느냐가 문제인데요. 우선은 논문을 찾아서 가장 적당한 값을 가지고 위, 아래로 변화시켜 보는 것이 가장 쉬운 방법입니다. 일단은 aeration( 약 0.5 vvm ~ 1.0 vvm)을 고정하고, rpm을 400, 500, 600의 조건으로 실험해 보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그 결과를 보면 trend가 나타날 것이구요. 그 결과를 보고 aeration을 올릴 것인지, agitation을 올릴 것인지 판단하면 됩니다. 그 후에 배지 성분을 조절해서 optimize하면 될겁니다. DO probe 꼭 setting하고, 배양기간동안의 DO변화를 monitoring해서 oxygen limitation이 있는지 확인하시구요. * Fermentor에 연결된 computer에 나타나는 rpm, DO 그리고 중간중간에 sampling해서 얻게되는 cell OD를 잘 비교해 보셔야 합니다. 좋은 결과 얻으시길 바랍니다. >3L jar fermentor로 E. coli DH5@를 배양하고 있습니다. >Batch culture라 할지라도 fermentor로 배양을 하면 플라스크에서 배양하는것과 달리 air의 주입, pH-control, mixing, 온도 control이 좋아서 플라스크에 비해 10배 이상 cell density가 나온다고 들었는데요. 지금 growth curve를 보면 flask하고 별 차이가 없네요(final OD: 1.0~1.3) >배양조건은 >1. LB 배지를 이용하였으며 >2. 온도는 37도로 셋팅 하였고 >3. 공기로 airation을 하였고 >4. 1N HNO3, 1N NaOH를 사용하여 pH 7로 조절하였고 >5. 실리콘소포제를 10배 희석하여 anti-foamer로 사용하였고... >이렇습니다. 도대체 왜그럴까요... >배양실험은 배운적이 없습니다. 잘 가르쳐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