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7-06
org.kosen.entty.User@4b02fb75
윤광석(ksyun72)
- 1
안녕하세요.
전기를 통하는 oil (정확히 말하면 물과 섞이지 않는 액체, 수은 같은 liquid metal 은 제외) 이 있는지요?
또는 서로 섞이지 않으면서 모두 전기를 통하는 액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이론적으로 불가능한 것일까요?
감사합니다.
- conductive oil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박환서님의 답변
2007-07-20- 0
전기제품에는 스위치 라고하는 부품들이많이 있습니다. 이 부품에 조립되어 있는 단품중 “전기접점“이라는 Contact point가 있는데 표면에 oil 성분을(휘발성 또는 잔류성은 확인 못했음) 도포 시키기도 합니다. 인터넷에서는 접점보수제 (?)라는 명칭으로 검색할 수 있습니다. 전기를 잘 통한다는 기준은 구리의 전기전도도IACS 100%를 기준으로 할때 어느정도의 전도성이 요구 되는지요? 또한 강전인지 약전인지에 따라서 전도성 oil의 기능이 불필요 할 수도 있습니다. 전기접촉을 하는 부분에 도전성 oil을 도포 한다고 해도 금속(전극) 자체의 전기전도도 이상은 아닐것으로 사료 되며, 통전접촉부분에 oil이 있다는것은 Arc(전기를 on-off 시킬때 나타나는 불빛)와 반응하여 불연소 탄화물을 생성 시키기도 합니다. 또한 oil층이 전기를 통한다고 해도 그 유막층은 금속처럼 구조물의 기능이 없는 유체 이므로 ARC를 불안정 하게 하거나 접촉 부위의 소손(전이,소모속도)을 가속화 시킬 수 있습니다. 불연소 탄화물도 전기를 통하지만 계면저항이 증가되는 현상을 야기시켜서 도체의 저항을 증가 시킵니다. 저항이 증가 된다는 것은 주울열이 상승하게 되고 또다시 온도 상승에의한 저항이 증가되는 악순환의 고리로 연결 될수 있으며 최종적으로는 접촉하는 부위에 열화(전기조건과, 발열량, 열량흡수능력 등에 따라 다름)시키는 일들이 자주 나타 납니다. 선생님의 실험 목적과 조건을 알 수 없기에 답변은 촛점도 없고 관련 될수 있을 가능성을 열거 하다보니 길어지는 군요 ! 단, 한번의질문에서 흡족한 답변을 얻기 위해서는 상황을 전혀 모르는 미지의 답변자 에게 충분한 설명을 제공 할때 얻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건승 하십시요. > >전기를 통하는 oil (정확히 말하면 물과 섞이지 않는 액체, 수은 같은 liquid metal 은 제외) 이 있는지요? >또는 서로 섞이지 않으면서 모두 전기를 통하는 액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이론적으로 불가능한 것일까요? >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