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COD(chemical oxygen demand) 측정할려고 합니다.

배양액을 이용하여 COD를 측정할려고 합니다. COD실험 프로토콜을 구하기가 너무 어렵네요.. 혹시 COD 측정 프로토콜을 가지고 계시면 도움을 좀 부탁드려도 될까요? 초보라서 설명을 대충 해주시면 잘 몰를것 같아요.. 죄송합니다.... 부탁드립니다..^^
  • COD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김병훈님의 답변

    첨부화일 참고하세요 >배양액을 이용하여 COD를 측정할려고 합니다. > >COD실험 프로토콜을 구하기가 너무 어렵네요.. > >혹시 COD 측정 프로토콜을 가지고 계시면 도움을 좀 부탁드려도 될까요? > >초보라서 설명을 대충 해주시면 잘 몰를것 같아요.. > >죄송합니다.... > >부탁드립니다..^^
    첨부화일 참고하세요 >배양액을 이용하여 COD를 측정할려고 합니다. > >COD실험 프로토콜을 구하기가 너무 어렵네요.. > >혹시 COD 측정 프로토콜을 가지고 계시면 도움을 좀 부탁드려도 될까요? > >초보라서 설명을 대충 해주시면 잘 몰를것 같아요.. > >죄송합니다.... > >부탁드립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김중재님의 답변

    환경부고시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을 첨부합니다. 해당 부분만 잘라서 올릴까 하다가 다른 부분도 공부가 될만한 부분이 있을 것 같아 전문을 올립니다. 참고하세요. 그리고 아래는. 환경부에서 답변한 COD 측정관련 자료입니다. 혹시 관심있으시면 도서관에서 자료 찾아 보세요. ① 우리나라 COD 측정법은 수질환경보전법 제7조의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에서 규정하고 있으며, 동 시험방법은 우리부 홈페이지(www.me.go.kr - 부서마당 - 수질보전국 - 간행물원본 - 23번, 제4장, 제6항 화학적산소용구량)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② 일본의 경우는 “JIS K 0102 공업배수시험방법“으로 정하고 있으며 동 자료는 http://www.jsa.or.jp에서 구하거나, 도서관 등에서 “JIS handbook 환경측정“의 책자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③ 미국의 경우는 “EPA method 410.1 - 410.4“가 COD측정방법이며, 도서관 등에서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의 책자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④ 그 외 국가에 대해서는 해당 국가의 환경부나 표준규격을 다루는 기관으로부터 자료를 구하시기 바라며, 위 내용중 좀 더 자세한 사항은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을 연구하는 “국립환경연구원 수질화학과(T.032-560-7420∼21)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끝 (http://web2.me.go.kr/kor/civil/civil_ge_view.jsp?no=58039)
    환경부고시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을 첨부합니다. 해당 부분만 잘라서 올릴까 하다가 다른 부분도 공부가 될만한 부분이 있을 것 같아 전문을 올립니다. 참고하세요. 그리고 아래는. 환경부에서 답변한 COD 측정관련 자료입니다. 혹시 관심있으시면 도서관에서 자료 찾아 보세요. ① 우리나라 COD 측정법은 수질환경보전법 제7조의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에서 규정하고 있으며, 동 시험방법은 우리부 홈페이지(www.me.go.kr - 부서마당 - 수질보전국 - 간행물원본 - 23번, 제4장, 제6항 화학적산소용구량)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② 일본의 경우는 “JIS K 0102 공업배수시험방법“으로 정하고 있으며 동 자료는 http://www.jsa.or.jp에서 구하거나, 도서관 등에서 “JIS handbook 환경측정“의 책자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③ 미국의 경우는 “EPA method 410.1 - 410.4“가 COD측정방법이며, 도서관 등에서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의 책자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④ 그 외 국가에 대해서는 해당 국가의 환경부나 표준규격을 다루는 기관으로부터 자료를 구하시기 바라며, 위 내용중 좀 더 자세한 사항은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을 연구하는 “국립환경연구원 수질화학과(T.032-560-7420∼21)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끝 (http://web2.me.go.kr/kor/civil/civil_ge_view.jsp?no=58039)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익환님의 답변

    >배양액을 이용하여 COD를 측정할려고 합니다. > >COD실험 프로토콜을 구하기가 너무 어렵네요.. > >혹시 COD 측정 프로토콜을 가지고 계시면 도움을 좀 부탁드려도 될까요? > >초보라서 설명을 대충 해주시면 잘 몰를것 같아요.. > >죄송합니다.... > >부탁드립니다..^^ 논문 한편을 소개합니다. 참고자료가 되었으면 합니다.
    >배양액을 이용하여 COD를 측정할려고 합니다. > >COD실험 프로토콜을 구하기가 너무 어렵네요.. > >혹시 COD 측정 프로토콜을 가지고 계시면 도움을 좀 부탁드려도 될까요? > >초보라서 설명을 대충 해주시면 잘 몰를것 같아요.. > >죄송합니다.... > >부탁드립니다..^^ 논문 한편을 소개합니다. 참고자료가 되었으면 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유용규님의 답변

    배양액을 이용해서 화학적 산소요구량을 측정하실때 꼭 Chloride의 양을 고려하시는게 좋습니다... 토양이나.... 담수미생물이야 별 상관은 없겠지만... 경우에 따라서 해양미생물을 이용한 실험에서는 Chloride가 많아서 화학적산소요구량을 측정하기가 어려워집니다. 그리고 측정방법은 적정법과 흡광법이 있는데..... 흡광법이 편하실꺼에요..... www.knmrrc.or.kr에 가시면 화학적산소요구량 측정에 관련된 자료가 잘 나와있습니다. >배양액을 이용하여 COD를 측정할려고 합니다. > >COD실험 프로토콜을 구하기가 너무 어렵네요.. > >혹시 COD 측정 프로토콜을 가지고 계시면 도움을 좀 부탁드려도 될까요? > >초보라서 설명을 대충 해주시면 잘 몰를것 같아요.. > >죄송합니다.... > >부탁드립니다..^^
    배양액을 이용해서 화학적 산소요구량을 측정하실때 꼭 Chloride의 양을 고려하시는게 좋습니다... 토양이나.... 담수미생물이야 별 상관은 없겠지만... 경우에 따라서 해양미생물을 이용한 실험에서는 Chloride가 많아서 화학적산소요구량을 측정하기가 어려워집니다. 그리고 측정방법은 적정법과 흡광법이 있는데..... 흡광법이 편하실꺼에요..... www.knmrrc.or.kr에 가시면 화학적산소요구량 측정에 관련된 자료가 잘 나와있습니다. >배양액을 이용하여 COD를 측정할려고 합니다. > >COD실험 프로토콜을 구하기가 너무 어렵네요.. > >혹시 COD 측정 프로토콜을 가지고 계시면 도움을 좀 부탁드려도 될까요? > >초보라서 설명을 대충 해주시면 잘 몰를것 같아요.. > >죄송합니다.... > >부탁드립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