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8-30
org.kosen.entty.User@77d3836c
유용진(jamesyyj)
- 4
고등학교에서 수행하는 실험으로 크게 정밀도를 요하거나
정확한 측정치를 얻으려는 목적이 아님을 알려드리며 제가
해야할 실험에 대한 질문을 드리겠습니다.
먼저 저희는 E.Coli를 이용하여 어떤 물질의 항균효과를 증명해내는
실험을 설계했습니다.
LB배지는 넉넉히 만들었으나 E.Coli를 순수하게 얻을 수 있는 방법이
없는 상황입니다.
외부 기관에 의뢰해서 균주를 분양받기엔 시간이 너무 촉박하고요...
그래서 첫번째 질문입니다.
1. 주위에서 쉽게 E.Coli를 채취하여 배지에 접종할 수 있는 방법이
없나요?
또한 항균효과를 증명하기 위해 원판확산법을 이용한 항생제 감수성
시험방법을 이용하려고 합니다.
두번째 질문입니다.
2. 보통 Muiller Hinton 배지를 disk diffusion method에 사용한다고
하던데 지금 사정상 LB배지 밖에 없는 상황에서 LB배지를 사용해도
원판확산법을 수행할 수 있나요?
마지막 질문입니다.
3. 항생제의 경우 직경 6mm의 disk에 묻힌 다음 건조시킨후 원판확산법을
이용하면 배지의 수분에 의해 항생제가 녹아서 퍼져나가는 원리를
이용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제가 할 시료는 항생제가 아니기때문에 항생제와 동일하게
배지에 녹아 퍼져나갈지에 대한 확신을 할 수 없습니다.
이때 그냥 항생제 감수성 시험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해도 무방
하며 시료에 대한 autoclave를 수행하지 않아도 되는건가요?
(참고로 항균효과를 검증할 시료는 액체입니다.)
- E.Coli
- LB
- disk diffusion method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김병용님의 답변
2007-08-31- 0
E.coli를 일반환경에서 수집 배양하는것은 가능할 수 있으나, 실험상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균주 보존기관에서 균주를 받아서 실험해야 합니다. 농촌진흥청 농업미생물자원센터(http://kacc.rda.go.kr)에 요청하시면 무료로 받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 >고등학교에서 수행하는 실험으로 크게 정밀도를 요하거나 > >정확한 측정치를 얻으려는 목적이 아님을 알려드리며 제가 > >해야할 실험에 대한 질문을 드리겠습니다. > >먼저 저희는 E.Coli를 이용하여 어떤 물질의 항균효과를 증명해내는 > >실험을 설계했습니다. > >LB배지는 넉넉히 만들었으나 E.Coli를 순수하게 얻을 수 있는 방법이 > >없는 상황입니다. > >외부 기관에 의뢰해서 균주를 분양받기엔 시간이 너무 촉박하고요... > >그래서 첫번째 질문입니다. > >1. 주위에서 쉽게 E.Coli를 채취하여 배지에 접종할 수 있는 방법이 > >없나요? > >또한 항균효과를 증명하기 위해 원판확산법을 이용한 항생제 감수성 > >시험방법을 이용하려고 합니다. > >두번째 질문입니다. > >2. 보통 Muiller Hinton 배지를 disk diffusion method에 사용한다고 > 하던데 지금 사정상 LB배지 밖에 없는 상황에서 LB배지를 사용해도 > 원판확산법을 수행할 수 있나요? > >마지막 질문입니다. > >3. 항생제의 경우 직경 6mm의 disk에 묻힌 다음 건조시킨후 원판확산법을 > 이용하면 배지의 수분에 의해 항생제가 녹아서 퍼져나가는 원리를 > 이용한다고 합니다. > 하지만 제가 할 시료는 항생제가 아니기때문에 항생제와 동일하게 > 배지에 녹아 퍼져나갈지에 대한 확신을 할 수 없습니다. > 이때 그냥 항생제 감수성 시험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해도 무방 > 하며 시료에 대한 autoclave를 수행하지 않아도 되는건가요? > (참고로 항균효과를 검증할 시료는 액체입니다.) -
답변
김중재님의 답변
2007-08-31- 0
>1. 주위에서 쉽게 E.Coli를 채취하여 배지에 접종할 수 있는 방법이 >없나요? 환경시료 (분변 등이 유용함)로 부터 E. coli 를 분리하여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Macconkey agar 에 적당히 희석된 시료를 도말하시고 자란 콜로니 중 환을 형성하는 콜로니가 gram negative lactose fermentation microorganism 입니다. 대략 그람 음성 장내세균 정도로 생각하죠. 일반적인 대장균의 지표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 역시 며칠의 시간이 소요되니 균주를 분양 받는 것이 더 나은 방법일 수도 있습니다. 균주를 분양 받기 위해서는 첫번째로 균주분양기관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위의 분께서 말씀하신 기관 등에 연락하여 알아 보시면 되겠구요. 한국미생물보존센터 (http://www.kccm.or.kr/) 항생제내성균주은행 (http://www.ccarm.or.kr/) 한국농업미생물자원센터 (http://kacc.rda.go.kr/) 생물자원센터 (http://kctc.kribb.re.kr/) 또 한가지 방법은 가까운 대학의 미생물학과에 찾아가셔서 분양을 요청하는 것입니다. 미리 전화로 사정을 말씀하시고 분양을 요청하시면 웬만하면 분양해 주실거라 생각되네요. >2. 보통 Muiller Hinton 배지를 disk diffusion method에 사용한다고 > 하던데 지금 사정상 LB배지 밖에 없는 상황에서 LB배지를 사용해도 > 원판확산법을 수행할 수 있나요? 테스트를 하려는 대상 미생물이 자랄 수 있는 배지면 상관없으리라 판단됩니다. 유산균의 경우 그냥 유산균 배양 배지인 MRS 배지 사용합니다. >3. 항생제의 경우 직경 6mm의 disk에 묻힌 다음 건조시킨후 원판확산법을 > 이용하면 배지의 수분에 의해 항생제가 녹아서 퍼져나가는 원리를 > 이용한다고 합니다. > 하지만 제가 할 시료는 항생제가 아니기때문에 항생제와 동일하게 > 배지에 녹아 퍼져나갈지에 대한 확신을 할 수 없습니다. > 이때 그냥 항생제 감수성 시험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해도 무방 > 하며 시료에 대한 autoclave를 수행하지 않아도 되는건가요? > (참고로 항균효과를 검증할 시료는 액체입니다.) 테스트를 원하시는 물질이 열에 안정하다면 autoclave 를 한 뒤 실험하는 것이 좋을 것 같구요. 열에 안정하지 않다면 0.22 um 필터로 필터하신 뒤 사용하시면 될 것 같네요. 간혹 테스트를 할 용액 (디스크 페이퍼)에서 뭔가가 자라는 것을 본 적이 있거든요. 테스트 방법은 말씀하신 대로 해도 무방하리라 생각되며, 정확한 저해 농도를 알지 못하니까 다양한 농도별 디스크를 이용해 테스트해 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p/s 실험방법이 자세히 소개된 논문은 잘 없네요 .^^;; -
답변
김용석님의 답변
2007-08-31- 0
질문에 대한 답변을 드립니다. 1. 정확한 실험을 위해 균주는 표준 균주를 분양해 주는 기관에서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주변환경에서 분리하실려면 그것이 E.coli인지를 확인해야 하는 실험이 수반되야 하므로 많은 수고가 필요할 듯합니다. 2. 원판확산법의 원리와 그 결과 생기는 clear zone을 확인하는 것이 목저이라면 LB배지를 사용해 도 무관할 것 같습니다. 3. 항균력을 실험할 시료가 어떤 것인지 명확하지 않은데요... 시료의 상태가 액체라고 하셨는데 물에 녹인 것이 아닌가요? 물에 녹인 것이면 바로 원판법에 적용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만약 유기 용매에 녹인 것이라면 시료가 들어있지 않은 유기용매도 원판에 올려 항균력을 보셔야합 니다.그리고 시료가 항균력이 있다면 멸균은 생략해도 될 것 같습니다. 실험에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고등학교에서 수행하는 실험으로 크게 정밀도를 요하거나 > >정확한 측정치를 얻으려는 목적이 아님을 알려드리며 제가 > >해야할 실험에 대한 질문을 드리겠습니다. > >먼저 저희는 E.Coli를 이용하여 어떤 물질의 항균효과를 증명해내는 > >실험을 설계했습니다. > >LB배지는 넉넉히 만들었으나 E.Coli를 순수하게 얻을 수 있는 방법이 > >없는 상황입니다. > >외부 기관에 의뢰해서 균주를 분양받기엔 시간이 너무 촉박하고요... > >그래서 첫번째 질문입니다. > >1. 주위에서 쉽게 E.Coli를 채취하여 배지에 접종할 수 있는 방법이 > >없나요? > >또한 항균효과를 증명하기 위해 원판확산법을 이용한 항생제 감수성 > >시험방법을 이용하려고 합니다. > >두번째 질문입니다. > >2. 보통 Muiller Hinton 배지를 disk diffusion method에 사용한다고 > 하던데 지금 사정상 LB배지 밖에 없는 상황에서 LB배지를 사용해도 > 원판확산법을 수행할 수 있나요? > >마지막 질문입니다. > >3. 항생제의 경우 직경 6mm의 disk에 묻힌 다음 건조시킨후 원판확산법을 > 이용하면 배지의 수분에 의해 항생제가 녹아서 퍼져나가는 원리를 > 이용한다고 합니다. > 하지만 제가 할 시료는 항생제가 아니기때문에 항생제와 동일하게 > 배지에 녹아 퍼져나갈지에 대한 확신을 할 수 없습니다. > 이때 그냥 항생제 감수성 시험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해도 무방 > 하며 시료에 대한 autoclave를 수행하지 않아도 되는건가요? > (참고로 항균효과를 검증할 시료는 액체입니다.) -
답변
유용규님의 답변
2007-08-31- 0
>1. 주위에서 쉽게 E.Coli를 채취하여 배지에 접종할 수 있는 방법이 없나요? McConkey media를 이용하는것도 좋지만... 거기에는 E.coli이외에도 Salmonell, Shigella등의 다른 것들이 자랄 수 있습니다. EMB media또는 ENDO media를 추천합니다. 대장균이 자랄경우에는 둘다 금속광택이 나는 특징이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Difco manual을 보시면 어떤 광택이 나는지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보통 항균검사를 할 경우에는 E.coli ATCC 25922를 표준주로 사용합니다. >2. 보통 Muiller Hinton 배지를 disk diffusion method에 사용한다고 하던데 지금 사정상 LB배지 밖에 없는 상황에서 LB배지를 사용해도 원판확산법을 수행할 수 있나요? 사실 배지 조성의 차이에 따라서 확산된 원판환의 직졍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외부에 발표하는 실험이시라면 가급적 Muiller hinton media를 추천합니다. 만약에 Nutrient agar뿐이라면 Ampicillin 등과 같은 항생제를 Positive control군으로 해서 비교시키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3. 항생제의 경우 직경 6mm의 disk에 묻힌 다음 건조시킨후 원판확산법을 > 이용하면 배지의 수분에 의해 항생제가 녹아서 퍼져나가는 원리를 > 이용한다고 합니다. > 하지만 제가 할 시료는 항생제가 아니기때문에 항생제와 동일하게 > 배지에 녹아 퍼져나갈지에 대한 확신을 할 수 없습니다. > 이때 그냥 항생제 감수성 시험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해도 무방 > 하며 시료에 대한 autoclave를 수행하지 않아도 되는건가요? > (참고로 항균효과를 검증할 시료는 액체입니다.) 혹시 추출에 알코올과 같은 용매를 사용하신 상태라면 알코올 자체의 항균력도 고려를 하셔야 합니다. 보통 이럴경우에는 멸균증류수나 멸균 생리식염수등으로 희석해서 알코올성분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