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풍력발전에 대하여

안녕하십니까? 온실가스 저감의 일환으로 풍력에너지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자료를 수집하던 중 궁금한 사항에 있어 질문을 드립니다. 여러가지 자료를 보구 Study를 하던 중 바람의 세기에 따른 발전량을 산출하는 방법에 대한 자료가 없어서요... 물론, 설비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는 있을 것으로 봅니다만 그렇다 하더라도 일반적이 계산법은 있지 않을까 해서 이렇게 글을 남깁니다. 제가 이 분야는 잘 몰라서요 혹시 잘 아시는 분이 계시다면 답변 부탁드립니다. 수고하십시요....
  • 풍력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안녕하십니까? >온실가스 저감의 일환으로 풍력에너지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자료를 수집하던 중 >궁금한 사항에 있어 질문을 드립니다. >여러가지 자료를 보구 Study를 하던 중 바람의 세기에 따른 발전량을 산출하는 방법에 대한 자료가 없어서요... >물론, 설비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는 있을 것으로 봅니다만 그렇다 하더라도 일반적이 계산법은 있지 않을까 해서 이렇게 글을 남깁니다. >제가 이 분야는 잘 몰라서요 >혹시 잘 아시는 분이 계시다면 답변 부탁드립니다. >수고하십시요.... 참고자료
    >안녕하십니까? >온실가스 저감의 일환으로 풍력에너지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자료를 수집하던 중 >궁금한 사항에 있어 질문을 드립니다. >여러가지 자료를 보구 Study를 하던 중 바람의 세기에 따른 발전량을 산출하는 방법에 대한 자료가 없어서요... >물론, 설비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는 있을 것으로 봅니다만 그렇다 하더라도 일반적이 계산법은 있지 않을까 해서 이렇게 글을 남깁니다. >제가 이 분야는 잘 몰라서요 >혹시 잘 아시는 분이 계시다면 답변 부탁드립니다. >수고하십시요.... 참고자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최정철님의 답변

    바람의 운동에너지는 0.5 * 질량 * 속도^2 입니다. 발전량은 이를 시간으로 나누므로 0.5 * 밀도 * 로터 면적 * 속도^3 이 됩니다. 따라서 발전량 = 상수 * 속도^3 으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상수는 power coefficient 에 따라 달라지고 제어시스템은 tip speed ratio를 조절하여 최대의 power coefficient에 머무르려고 합니다. 결국 앞 식의 상수는 더이상 상수가 아니게 됩니다. 그리고 이 식은 어디까지나 정격출력 이하일 때만 작용하고 이 이상의 풍속에서는 일정한 발전량을 나타냅니다. >안녕하십니까? >온실가스 저감의 일환으로 풍력에너지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자료를 수집하던 중 >궁금한 사항에 있어 질문을 드립니다. >여러가지 자료를 보구 Study를 하던 중 바람의 세기에 따른 발전량을 산출하는 방법에 대한 자료가 없어서요... >물론, 설비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는 있을 것으로 봅니다만 그렇다 하더라도 일반적이 계산법은 있지 않을까 해서 이렇게 글을 남깁니다. >제가 이 분야는 잘 몰라서요 >혹시 잘 아시는 분이 계시다면 답변 부탁드립니다. >수고하십시요....
    바람의 운동에너지는 0.5 * 질량 * 속도^2 입니다. 발전량은 이를 시간으로 나누므로 0.5 * 밀도 * 로터 면적 * 속도^3 이 됩니다. 따라서 발전량 = 상수 * 속도^3 으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상수는 power coefficient 에 따라 달라지고 제어시스템은 tip speed ratio를 조절하여 최대의 power coefficient에 머무르려고 합니다. 결국 앞 식의 상수는 더이상 상수가 아니게 됩니다. 그리고 이 식은 어디까지나 정격출력 이하일 때만 작용하고 이 이상의 풍속에서는 일정한 발전량을 나타냅니다. >안녕하십니까? >온실가스 저감의 일환으로 풍력에너지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자료를 수집하던 중 >궁금한 사항에 있어 질문을 드립니다. >여러가지 자료를 보구 Study를 하던 중 바람의 세기에 따른 발전량을 산출하는 방법에 대한 자료가 없어서요... >물론, 설비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는 있을 것으로 봅니다만 그렇다 하더라도 일반적이 계산법은 있지 않을까 해서 이렇게 글을 남깁니다. >제가 이 분야는 잘 몰라서요 >혹시 잘 아시는 분이 계시다면 답변 부탁드립니다. >수고하십시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