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11-28
org.kosen.entty.User@e19f6d3
안우영(wy711)
- 1
현재 당사에서는 Beckman coulter입도분석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시료가 어떤 물질인지 알고 있을 경우에는 굴절률 인덱스에 나와있는
굴절률을 입력하여 사용하면 되지만, 입도에 따라서 굴절률이 다른
경우도 있고 대부분 미지시료를 측정하는 경우라 굴절률을 선택하기가
용이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경우 임의 굴절률을 지정해놓고
측정하게 되는데 굴절률에 따라 입도차이가 많이나서 데이타를
신뢰하기 어렵습니다. 매번 굴절률을 따로 측정하여 적용해야하는 것인지
아니면 측정을 여러차례실시하면서 값을 확인해야 하는 것인지
입도분석기를 사용해보신 분들의 답변 부탁드립니다.
- 입도분석기
- 굴절률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이정아님의 답변
2008-11-28- 2
제 경우를 말씀드리면 미지시료에 대한 굴절률을 측정하는 것은 사전 데이타 준비단계에서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입도분석기의 원리 측면에서 scattering을 통해서 입자의 사이즈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니까요. 또한 측정을 하실 때는 반복 측정을 많이 하시기를 권하고 싶네요. 왜냐하면 입자들이 균일하다고 해도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침전되는 부분들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죠. >현재 당사에서는 Beckman coulter입도분석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시료가 어떤 물질인지 알고 있을 경우에는 굴절률 인덱스에 나와있는 >굴절률을 입력하여 사용하면 되지만, 입도에 따라서 굴절률이 다른 >경우도 있고 대부분 미지시료를 측정하는 경우라 굴절률을 선택하기가 >용이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경우 임의 굴절률을 지정해놓고 >측정하게 되는데 굴절률에 따라 입도차이가 많이나서 데이타를 >신뢰하기 어렵습니다. 매번 굴절률을 따로 측정하여 적용해야하는 것인지 >아니면 측정을 여러차례실시하면서 값을 확인해야 하는 것인지 >입도분석기를 사용해보신 분들의 답변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