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SEM 샘플 제작시 샘플의 수축을 막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Gel의 표면을 SEM으로 관찰하기 위해 EtOH(35% 50% 70% 85% 95% 99.5%)와 HMDS를 이용해서 dehydrate시켰습니다. SEM으로 관찰을 해보니 현미경으로 보았던 모습과 달리 표면이 수축되어 모양이 변형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아마 dehydrate 과정에서 수축되면서 형태가 변형되는 것 같은데 이 문제는 어떻게 해결하는 것이 좋을까요? 경험자분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 SEM
  • dehydrate
  • 수축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Gel의 표면을 SEM으로 관찰하기 위해 EtOH(35% 50% 70% 85% 95% 99.5%)와 HMDS를 이용해서 dehydrate시켰습니다. SEM으로 관찰을 해보니 현미경으로 보았던 모습과 달리 표면이 수축되어 모양이 변형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아마 dehydrate 과정에서 수축되면서 형태가 변형되는 것 같은데 이 문제는 어떻게 해결하는 것이 좋을까요? 경험자분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EtOH로 dehydration시키는 방법도 있지만 freeze-dry(FD)treatment법을 사용해 보시는 방법도 있습니다.
    >Gel의 표면을 SEM으로 관찰하기 위해 EtOH(35% 50% 70% 85% 95% 99.5%)와 HMDS를 이용해서 dehydrate시켰습니다. SEM으로 관찰을 해보니 현미경으로 보았던 모습과 달리 표면이 수축되어 모양이 변형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아마 dehydrate 과정에서 수축되면서 형태가 변형되는 것 같은데 이 문제는 어떻게 해결하는 것이 좋을까요? 경험자분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EtOH로 dehydration시키는 방법도 있지만 freeze-dry(FD)treatment법을 사용해 보시는 방법도 있습니다.
    권건우(kkuex) 2009-01-21

    답변 감사합니다. 현재 실험실에 freeze-dry를 할 수 있는 장비가 없어서 EtOH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 답변

    이승우님의 답변

    Gel의 dehydrate가 SEM의 해상도 및 배율을 증진하기 위해서 수반되는 과정이라면 일정한 양의 수분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관찰 가능한 Environmental SEM으로 분석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듯 하네요. Envrionmental SEM에 대한 정보는 범부처장비, 기자재 공동활용서비스 http://nfec.ntis.go.kr/에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Gel의 표면을 SEM으로 관찰하기 위해 EtOH(35% 50% 70% 85% 95% 99.5%)와 HMDS를 이용해서 dehydrate시켰습니다. SEM으로 관찰을 해보니 현미경으로 보았던 모습과 달리 표면이 수축되어 모양이 변형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아마 dehydrate 과정에서 수축되면서 형태가 변형되는 것 같은데 이 문제는 어떻게 해결하는 것이 좋을까요? 경험자분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Gel의 dehydrate가 SEM의 해상도 및 배율을 증진하기 위해서 수반되는 과정이라면 일정한 양의 수분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관찰 가능한 Environmental SEM으로 분석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듯 하네요. Envrionmental SEM에 대한 정보는 범부처장비, 기자재 공동활용서비스 http://nfec.ntis.go.kr/에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Gel의 표면을 SEM으로 관찰하기 위해 EtOH(35% 50% 70% 85% 95% 99.5%)와 HMDS를 이용해서 dehydrate시켰습니다. SEM으로 관찰을 해보니 현미경으로 보았던 모습과 달리 표면이 수축되어 모양이 변형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아마 dehydrate 과정에서 수축되면서 형태가 변형되는 것 같은데 이 문제는 어떻게 해결하는 것이 좋을까요? 경험자분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Gel의 표면을 SEM으로 관찰하기 위해 EtOH(35% 50% 70% 85% 95% 99.5%)와 HMDS를 이용해서 dehydrate시켰습니다. SEM으로 관찰을 해보니 현미경으로 보았던 모습과 달리 표면이 수축되어 모양이 변형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아마 dehydrate 과정에서 수축되면서 형태가 변형되는 것 같은데 이 문제는 어떻게 해결하는 것이 좋을까요? 경험자분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EtOH대신 NMP를 사용하시고 시편 제작후 짧은 시간내에 SEM을 찍는 방법이 가장 좋습니다.
    >Gel의 표면을 SEM으로 관찰하기 위해 EtOH(35% 50% 70% 85% 95% 99.5%)와 HMDS를 이용해서 dehydrate시켰습니다. SEM으로 관찰을 해보니 현미경으로 보았던 모습과 달리 표면이 수축되어 모양이 변형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아마 dehydrate 과정에서 수축되면서 형태가 변형되는 것 같은데 이 문제는 어떻게 해결하는 것이 좋을까요? 경험자분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EtOH대신 NMP를 사용하시고 시편 제작후 짧은 시간내에 SEM을 찍는 방법이 가장 좋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