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1-22
org.kosen.entty.User@6c87cc69
dlwlgns(nfk0000)
- 1
일반적으로 CNT의 wall (MWCNT의 경우)이 파괴 (wall이 단절되거나 구불구불해지거나.)
될 경우 CNT의 어떤 변화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ball milling을 통해 분산정도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실지로 용액상에서 초음파처리후 24시간 이상되어도 침전되지는 않았습니다.
TEM확인을 해보니 wall이 파괴가 일어난것 같으며(자료검색으로 볼밀링에 따른 defect는
없다고 한 논문이 있음) CNT표면의 profile을 보니 거칠기가 증가되는거 같습니다.
거칠기의 증가는 CNT표면적의 증가로 볼수있을것이며 아마도 이런점이 장점이 될수 있지 않을까 하는 궁금점이 생깁니다.
또한 볼밀링으로 인한 어떠한 화학적 변화가 올수도 있는지요?
기존 논문에서 팁이 열린다는 내용은 보았습니다만 그외 다른변화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답변에 미리감사드립니다
- ball milling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이정아님의 답변
2009-01-22- 0
CNT의 wall이 파괴되는 경우 electrical structure (DOS)등에 변화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확인은 pristine CNT와 파괴된 CNT에 대한 Raman data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죠. 예를 들어 FED에 CNT를 적용한 경우 argon 표면처리를 통해 wall에 변화를 유도하는 경우 전반적인 emission 상태가 향상된다는 논문들도 많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CNT의 wall (MWCNT의 경우)이 파괴 (wall이 단절되거나 구불구불해지거나.) >될 경우 CNT의 어떤 변화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ball milling을 통해 분산정도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실지로 용액상에서 초음파처리후 24시간 이상되어도 침전되지는 않았습니다. >TEM확인을 해보니 wall이 파괴가 일어난것 같으며(자료검색으로 볼밀링에 따른 defect는 >없다고 한 논문이 있음) CNT표면의 profile을 보니 거칠기가 증가되는거 같습니다. >거칠기의 증가는 CNT표면적의 증가로 볼수있을것이며 아마도 이런점이 장점이 될수 있지 않을까 하는 궁금점이 생깁니다. >또한 볼밀링으로 인한 어떠한 화학적 변화가 올수도 있는지요? >기존 논문에서 팁이 열린다는 내용은 보았습니다만 그외 다른변화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 >답변에 미리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