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1-23
org.kosen.entty.User@4f2a843b
김현령(isabelle)
- 2
안녕하세요.
항체생산시 production cell 로서, CHO cell 이나 SP2/0를 사용하던데, 각 세포들을 선정할때 고려하는 factor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각 세포들의 장단점이 무엇인지 알고싶습니다.
답변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항체 생산
- host cell lin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장성재님의 답변
2009-01-24- 0
Humanized antibody의 생산시에 사용하는 cell line에 대한 질문이신 것 같군요. 새롭게 클로닝하여 만든 유전자 벡터를 세포에 도입하여 humanized antibody를 생산하는 세포주를 만들 경우에 생산된 항체를 주로 임상에 도입하여 치료제 등으로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재조합 단백질 혹은 기존의 단일클론항체 치료제의 생산에 사용할 수 있는 세포주를 선택한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유전자의 도입 효율과 항체의 생산성적인 측면 (배양기술 및 생산된 단백질 의약품의 validation 등)에도 좋다고 볼 수 있습니다. CHO 세포주의 경우 재조합 단백질의 생산에 예전부터 많이 사용하던 세포주이므로 안전성이 확립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마우스의 SP2/0 myeloma cell line의 경우에도 hybridoma의 확립에 사용되어온 세포주이므로 안전성이 확립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즉, 제품 개발시의 허가적인 측면도 중요한 부분이므로 고려해야할 사항이겠지요. 따라서, 님께서 언급하신 위의 두 가지 세포주가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사료됩니다. >안녕하세요. > >항체생산시 production cell 로서, CHO cell 이나 SP2/0를 사용하던데, 각 세포들을 선정할때 고려하는 factor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 >그리고, 각 세포들의 장단점이 무엇인지 알고싶습니다. > >답변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
답변
신재욱님의 답변
2009-01-24- 0
동물세포나 미생물을 이용하여 재조합 단백질을 생산할 때 중요한 것이 안전성입니다. 따라서 생산 세포주에 대하여 MCB, MWCB, EPC, PPCB와 같은 cell substrate characterization을 수행하게 됩니다. 예로, CHO cell line의 경우는 tunorigenicity가 면제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여러 연구개발 과정을 통하여 안전성이 확보되었다는 것이죠..따라서 많이 사용되어지는 세포주이구요. 물론 다른 세포주를 개발하셔서 사용하셔도 됩니다. 다만 그럴 경우 안전성 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cell substrate characterization은 좀 더 많이 하셔야 합니다. 이러한 이유가 가장 큰 이유가 되지 않을까 싶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