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YBCO 초전도체에 AC전압을 인가하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YBCO 초전도체를 실험에 이용해보려고 하는데 모르는 점이 많아 질문드립니다. 제가 하려는 실험은, YBCO를 초저온상태에 두고 AC전압을 인가하려고 합니다. 전압은 수백V~2KV 정도이고, frequency는 10kHz 정도로 생각중입니다. 초전도체가 외부 자극에 쉽게 물성변화가 일어난다고 하던데요. 위에 적어놓은 바와 같이 극한 상황(?)을 초전도체 필름에 적용해도 문제가 없을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transition temperature 이전과 이후 모두 실험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아시는 분의 답변이나, 참고 논문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초전도체
  • YBCO
  • 초저온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전기가 초기에 에디슨에 의하여 실용화되었을 때, 송전 방식은 DC였습니다. DC의 단점은 장거리 송전에 부적합하다는 것입니다. 이에따라 AC로 바뀌어서 송전하게 되었는데, 초전도체를 사용하게 된다면 장거리 송전에 따른 전력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DC를 사용함이 좋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습니다. AC의 단점은 와전류(eddy current)의 발생으로 인하여 송전선에 열이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열=전력=전기 손실 이라는 관계가 이루어 지므로 초전도체에서는 DC를 사용함이 원칙입니다. 즉 AC---> DC로 변환하여 송전하게 되며, 초전도체이므로 장거리 송전에 따른 문제점이 해경됩니다.
    전기가 초기에 에디슨에 의하여 실용화되었을 때, 송전 방식은 DC였습니다. DC의 단점은 장거리 송전에 부적합하다는 것입니다. 이에따라 AC로 바뀌어서 송전하게 되었는데, 초전도체를 사용하게 된다면 장거리 송전에 따른 전력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DC를 사용함이 좋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습니다. AC의 단점은 와전류(eddy current)의 발생으로 인하여 송전선에 열이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열=전력=전기 손실 이라는 관계가 이루어 지므로 초전도체에서는 DC를 사용함이 원칙입니다. 즉 AC---> DC로 변환하여 송전하게 되며, 초전도체이므로 장거리 송전에 따른 문제점이 해경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안녕하세요. >YBCO 초전도체를 실험에 이용해보려고 하는데 모르는 점이 많아 질문드립니다. > >제가 하려는 실험은, >YBCO를 초저온상태에 두고 AC전압을 인가하려고 합니다. >전압은 수백V~2KV 정도이고, frequency는 10kHz 정도로 생각중입니다. > >초전도체가 외부 자극에 쉽게 물성변화가 일어난다고 하던데요. >위에 적어놓은 바와 같이 극한 상황(?)을 초전도체 필름에 적용해도 문제가 없을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transition temperature 이전과 이후 모두 실험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 >아시는 분의 답변이나, 참고 논문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YBCO 초전도체를 실험에 이용해보려고 하는데 모르는 점이 많아 질문드립니다. > >제가 하려는 실험은, >YBCO를 초저온상태에 두고 AC전압을 인가하려고 합니다. >전압은 수백V~2KV 정도이고, frequency는 10kHz 정도로 생각중입니다. > >초전도체가 외부 자극에 쉽게 물성변화가 일어난다고 하던데요. >위에 적어놓은 바와 같이 극한 상황(?)을 초전도체 필름에 적용해도 문제가 없을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transition temperature 이전과 이후 모두 실험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 >아시는 분의 답변이나, 참고 논문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참고하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