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3-30
org.kosen.entty.User@4377b17e
조동제(starks)
- 3
pH에따라서 물리적특성이 변하는 유기물이 있을때,
이물질을 pH responsive or dependant or sensitive물질(or pH indicator 등)으로
부르던데, pH감응의 원리는 어떻게 되는지 알려주세요.
원리가 잘 설명된 참고논문도 좋으니 좀 알려주세요
감사합니다.
- pH
- 감응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09-04-01- 0
>pH에따라서 물리적특성이 변하는 유기물이 있을때, >이물질을 pH responsive or dependant or sensitive물질(or pH indicator 등)으로 >부르던데, pH감응의 원리는 어떻게 되는지 알려주세요. >원리가 잘 설명된 참고논문도 좋으니 좀 알려주세요 >감사합니다. 물질 자체에 NH2나 coo-같은 ionizable group을 많이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pH에 따라서 ionic repulsion이나 attraction이 일어나서 구조적으로 conformational change가 일어날수 있습니다. 구체적인 예로 첨부되는 문헌을 참고하세요.. -
답변
손재운님의 답변
2009-04-01- 0
>pH에따라서 물리적특성이 변하는 유기물이 있을때, >이물질을 pH responsive or dependant or sensitive물질(or pH indicator 등)으로 >부르던데, pH감응의 원리는 어떻게 되는지 알려주세요. >원리가 잘 설명된 참고논문도 좋으니 좀 알려주세요 >감사합니다. PH는 산염기 반응을 잘 아신다면 유기물은 자체로 pKa값을 가집니다. 유사한 pH에 잘 녹아 액상을 유지하죠. 산성 유기물은 산성에 염기성 유기물은 염기성에 잘 녹습니다. 반대로 된다면 녹지 않아 고체상을 유지합니다. 이러한 특성을 민감하게 구조를 치환한 것이 pH 감응성 고분자입니다. 주로 아민그룹을 많이 사용하며 이를 이용하여 pH에 따라 고상으로 투입한 뒤 액상으로 전환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암세포의 경우 급격한 혈관생성으로 pH가 낮아져서 그곳을 타겟으로 하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었습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10-01-22- 0
첨부파일
>pH에따라서 물리적특성이 변하는 유기물이 있을때, >이물질을 pH responsive or dependant or sensitive물질(or pH indicator 등)으로 >부르던데, pH감응의 원리는 어떻게 되는지 알려주세요. >원리가 잘 설명된 참고논문도 좋으니 좀 알려주세요 >감사합니다. 참고자료 첨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