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철강 공정시 이슬점과 압력(진공)의 관계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실제 철강 공정 중에 냉연후 소둔을 하게 되는데 이때 온도,가스 분위기,이슬점 등이 제품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높은 온도를 이용해 재결정을 시키고, 가스 분위기(N2+H2)를 이용해 이슬점을 낮추어서 표면에 산화물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게 됩니다. 그래서 이러한 공정을 실험실에서 모사하기위해 장비를 제작중인데 이슬점 관련해서 질문을 드리고자 합니다. 먼저 이슬점이라는게 수증기가 포화하여 이슬이 맺히는 온도를 말하는데 이러한 정의는 보통 대기압 상태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저희가 실험을 할때에는 진공상태에 가스를 흘려줘서 대기압보다는 낮은 압력 상태에서 열처리를 하고자 합니다. 그런데 이때 측정되는 이슬점이 신뢰할 수 있는 값인지 의문이 들어 여쭈고자 합니다. 다시 말하면 진공상태에서의 이슬점과 대기압 상태에서의 이슬점을 매치 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이슬점의 정확한 의미와 함께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리고 만약 신뢰할 수 있는 값이라면 진공상태에서 소둔하는 것이 의미가 있는지에 대해 의견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실제 소둔 공정에서는 진공상태에서 하는지 아니면 대기압 상태에서 가스를 흘려주는지 대기압 상태라면 N2+H2만의 분위기 조성이 어떻게 가능하지 또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약간 어렵고 난해한 질문 일 수 도 있지만, 잘아시는 분들은 그렇게 어렵지 않다고 생각됩니다. 그럼 바쁘시겠지만 답변 부탁드립니다.
  • 이슬점
  • 소둔
  • 분위기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황현두님의 답변

    전문분야는 아니라 이슬점과 기압과의 관계만 간단하게 말씀드리겠습니다. 이슬점은 공기중 수증기의 양에 의해 결정됩니다. 기압이 떨어질수록, 공기의 부피가 커져, 상대적으로 공기중 수증기의 양도 감소하게 되고, 따라서 응결이 잘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슬점도 떨어질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실제 철강 공정 중에 냉연후 소둔을 하게 되는데 이때 온도,가스 분위기,이슬점 등이 제품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높은 온도를 이용해 재결정을 시키고, 가스 분위기(N2+H2)를 이용해 이슬점을 낮추어서 표면에 산화물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게 됩니다. >그래서 이러한 공정을 실험실에서 모사하기위해 장비를 제작중인데 이슬점 관련해서 질문을 드리고자 합니다. >먼저 이슬점이라는게 수증기가 포화하여 이슬이 맺히는 온도를 말하는데 이러한 정의는 보통 대기압 상태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저희가 실험을 할때에는 진공상태에 가스를 흘려줘서 대기압보다는 낮은 압력 상태에서 열처리를 하고자 합니다. 그런데 이때 측정되는 이슬점이 신뢰할 수 있는 값인지 의문이 들어 여쭈고자 합니다. 다시 말하면 진공상태에서의 이슬점과 대기압 상태에서의 이슬점을 매치 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이슬점의 정확한 의미와 함께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리고 만약 신뢰할 수 있는 값이라면 진공상태에서 소둔하는 것이 의미가 있는지에 대해 의견 부탁드립니다.
    전문분야는 아니라 이슬점과 기압과의 관계만 간단하게 말씀드리겠습니다. 이슬점은 공기중 수증기의 양에 의해 결정됩니다. 기압이 떨어질수록, 공기의 부피가 커져, 상대적으로 공기중 수증기의 양도 감소하게 되고, 따라서 응결이 잘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슬점도 떨어질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실제 철강 공정 중에 냉연후 소둔을 하게 되는데 이때 온도,가스 분위기,이슬점 등이 제품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높은 온도를 이용해 재결정을 시키고, 가스 분위기(N2+H2)를 이용해 이슬점을 낮추어서 표면에 산화물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게 됩니다. >그래서 이러한 공정을 실험실에서 모사하기위해 장비를 제작중인데 이슬점 관련해서 질문을 드리고자 합니다. >먼저 이슬점이라는게 수증기가 포화하여 이슬이 맺히는 온도를 말하는데 이러한 정의는 보통 대기압 상태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저희가 실험을 할때에는 진공상태에 가스를 흘려줘서 대기압보다는 낮은 압력 상태에서 열처리를 하고자 합니다. 그런데 이때 측정되는 이슬점이 신뢰할 수 있는 값인지 의문이 들어 여쭈고자 합니다. 다시 말하면 진공상태에서의 이슬점과 대기압 상태에서의 이슬점을 매치 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이슬점의 정확한 의미와 함께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리고 만약 신뢰할 수 있는 값이라면 진공상태에서 소둔하는 것이 의미가 있는지에 대해 의견 부탁드립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