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zymogram

첨부파일


제가 논문을 읽고 공부하다가 모르는 부분이 있는데요 zymogram의 원리를 이해하질 못해서 알고 싶습니다. SDS-PAGE 에서 단백질을 전기영동하면 denaturing하게 되는데 다시 activity를 갖게 되는 원리가 무엇인지가 궁금합니다. 실험의 원리를 잘 모르고 protocol을 알지 못하여 이렇게 물어봅니다.. 많은 답변 기다립니다. 밑에 참고 논문에 있는 zymogram 내용이 있는데 이해하질 못하겠습니다.
  • zymogram
  • zymography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장성재님의 답변

    우선, zymogram의 원리는 잘 아시다시피 원하는 단백질을 전기영동으로 분리하고, 동시에 이동상인 gel에 기질을 첨가하여 분리된 목적 단백질 (효소)의 활성을 in situ로 확인하기 위한 실험법입니다. 주로 metalloproteinase를 연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많이 사용되어 왔지요. 물론 단백질 (효소)의 활성을 유지해주기 위해서 별도의 가열처리나 reducing agent의 첨가를 배제한 상태로 SDS-PAGE를 수행한 후 효소의 활성을 gel에 포함된 기질의 분해정도를 측정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입니다만, 님께서 첨부해주신 논문 상의 내용은 cellulose 분해 효소를 타겟으로 zymogram을 적용시킨 것 입니다. 따라서, Material and Methods를 보시면 PIPES buffer 등을 이용하여 re-foldling 반응을 시킨 후에 효소의 활성을 측정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제가 논문을 읽고 공부하다가 모르는 부분이 있는데요 > >zymogram의 원리를 이해하질 못해서 알고 싶습니다. > >SDS-PAGE 에서 단백질을 전기영동하면 denaturing하게 되는데 > >다시 activity를 갖게 되는 원리가 무엇인지가 궁금합니다. > >실험의 원리를 잘 모르고 protocol을 알지 못하여 > >이렇게 물어봅니다.. > >많은 답변 기다립니다. > >밑에 참고 논문에 있는 zymogram 내용이 있는데 이해하질 못하겠습니다.
    우선, zymogram의 원리는 잘 아시다시피 원하는 단백질을 전기영동으로 분리하고, 동시에 이동상인 gel에 기질을 첨가하여 분리된 목적 단백질 (효소)의 활성을 in situ로 확인하기 위한 실험법입니다. 주로 metalloproteinase를 연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많이 사용되어 왔지요. 물론 단백질 (효소)의 활성을 유지해주기 위해서 별도의 가열처리나 reducing agent의 첨가를 배제한 상태로 SDS-PAGE를 수행한 후 효소의 활성을 gel에 포함된 기질의 분해정도를 측정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입니다만, 님께서 첨부해주신 논문 상의 내용은 cellulose 분해 효소를 타겟으로 zymogram을 적용시킨 것 입니다. 따라서, Material and Methods를 보시면 PIPES buffer 등을 이용하여 re-foldling 반응을 시킨 후에 효소의 활성을 측정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제가 논문을 읽고 공부하다가 모르는 부분이 있는데요 > >zymogram의 원리를 이해하질 못해서 알고 싶습니다. > >SDS-PAGE 에서 단백질을 전기영동하면 denaturing하게 되는데 > >다시 activity를 갖게 되는 원리가 무엇인지가 궁금합니다. > >실험의 원리를 잘 모르고 protocol을 알지 못하여 > >이렇게 물어봅니다.. > >많은 답변 기다립니다. > >밑에 참고 논문에 있는 zymogram 내용이 있는데 이해하질 못하겠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