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6-11
org.kosen.entty.User@30e6c915
김해리(hlhj23)
- 1
연료전지 고수님들께 문의드립니다.
연료전지 활성 분석시 RDE 를 측정하는데 RDE가 의미하는게 무엇있지
(일반적으로 말하는 V-I curve랑은 뭐가 다른지..),
분석을 어떤식으로 해야 하는지, 어떻게 비교를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또한 데이터 중 IR-free라는 말이 나오는데요, 저항을 보정한 값이라고
대략적으로만 알고 있어서 자세한 내용을 여쭙고자 합니다.
IR-free라는 조건이 어떤 상태에서 적용되는 조건이며,
IR-free 조건에서 측정을 따로 해주어야 되는 값인지?
아니면 계산식이 이용된 값이면 어떻게 대입을 하여 계산하는 값인지 궁금합니다.
고수님들의 답변을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연료전지
- RDE
- IR-fre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전민구님의 답변
2009-06-12- 0
RDE는 rotating disk electrode입니다. 이는 연료전지에서 보통 산소 환원 반응 활성 측정에 주로 이용됩니다. 산소가 전해질에 용해되는 농도가 낮기 때문에 전극을 고속으로 회전시켜서 전해질 용액의 circulation을 통해 전극 표면에 산소를 공급해주는 방법입니다. I-V는 보통 단위 전지 측정에서 사용합니다. 논문들 보시면 나오는 전류 증가시켜가면서 전압 측정하는 경우죠. RDE는 반전지 측정에서 사용하고요. 산소 환원 RDE 실험을 말씀하시는 것이라면, 보통 비교할 때 특정 전압에서의 (0.9-0.8 V정도) 전류 값 혹은 half current density에서의 전압을 표시합니다. 추가로 Tafel slope를 보여주어도 되고 (high potential range), 반응 mechanism은 보통 Koutecky-Levich equation을 사용해서 봅니다. IR-free는 따로 측정하지 않고 얻으실 수 있습니다. RDE에서 말하는 mass-transport corrected current density를 말씀하시는 것이라면 1/j = 1/j_k + 1/j_d 로 구하시면 됩니다. (j = current density, j_k = kinetic current density, j_d = diffusion limiting current density) 단위전지에서 IR-free 를 말씀하시는 것이라면 I-V curve에서 구하시면 됩니다. >연료전지 고수님들께 문의드립니다. > >연료전지 활성 분석시 RDE 를 측정하는데 RDE가 의미하는게 무엇있지 >(일반적으로 말하는 V-I curve랑은 뭐가 다른지..), >분석을 어떤식으로 해야 하는지, 어떻게 비교를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 >또한 데이터 중 IR-free라는 말이 나오는데요, 저항을 보정한 값이라고 >대략적으로만 알고 있어서 자세한 내용을 여쭙고자 합니다. >IR-free라는 조건이 어떤 상태에서 적용되는 조건이며, >IR-free 조건에서 측정을 따로 해주어야 되는 값인지? >아니면 계산식이 이용된 값이면 어떻게 대입을 하여 계산하는 값인지 궁금합니다. > > >고수님들의 답변을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