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6-15
org.kosen.entty.User@48199d8d
이현정(endeavor821)
- 1
첨부파일
안녕하세요.
논문을 읽다가 궁금한 점이 있어 이렇게 글 올립니다.
GSH/GSSG assay 결과 분석이 이해가 잘 안되서요...
우선, 제가 이해한 내용을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β-NADPH + GSSG -----> β-NADP + GSH
여기서 산화적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GSSG 수치가 올라가게 됨으로 GSSG는 산화적
스트레스 indicator로도 쓰여짐.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해 GSSG 가 증가하면 이를 환원시켜주기 위해 Reductase가 작용하게 되고 이로써 환원된 형태의 GSH가 생성.
위 내용에서 제가 궁금한 것은 GHS/GSSG ratio에 관한 것인데요.
현재 제가 읽고 있는 논문에서는 ABCG2 [ATP-binding cassette (ABC) transporters
의 subfamily]가 과발현되면 ABCG2가 발현하지 않는 세포에 비해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해 저항성을 가지게 되고 Cell death도 줄어든다고 하는데요.
그러면 GSH/GSSG ratio가 증가해야 되지 않나요??
논문에서는 ABCG2가 과발현되는 세포에서 GSH/GSSG ratio가 발현되지 않는 세포에 비해 줄어들거든요.
이 점이 이해가 안됩니다.
산화적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산화적 스트레스의 indicator인 GSSG수치가 증가하게 되고
산화된 형태를 항상성 유지를 위해 환원된 형태로 바꿔주기 위해 Reductase가 작용하게
되고 이로써 환원된 형태인 GSH가 늘어나게 되니깐 ratio가 감소하는게 아니라 증가해야 되는게 아닌가 해서요....
이해가 잘 안되네요....
논문 첨부할게요. [Figure 3-B] 데이터 입니다.
제가 어디서부터 잘못 이해한건지 잘 모르겠어요.
그럼 속시원한 답변 부탁 드립니다.
- GSH/GSSG
- Oxidative stress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장성재님의 답변
2009-06-15- 0
본문의 내용을 차근히 읽어보시면, 이들의 가설은 Acbg2의 발현으로 인해 C2C12 세포의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신호전달이 증가하였다고 설명하며, 이를 "priming"이라고 표현한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즉, Acbg2의 발현으로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이 증가하는 것은 미리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priming에 의해 세포가 미리 대비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산화스트레스가 없는 정상적인 상태에서 MP에 비해서 SP의 경우가 환원/산화 ratio가 감소하였다고 나와있는 것입니다. 즉, 그림 3B는 priming에 의해 세포 내의 산화도가 증가한 상태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 >논문을 읽다가 궁금한 점이 있어 이렇게 글 올립니다. > >GSH/GSSG assay 결과 분석이 이해가 잘 안되서요... > >우선, 제가 이해한 내용을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 >β-NADPH + GSSG -----> β-NADP + GSH > >여기서 산화적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GSSG 수치가 올라가게 됨으로 GSSG는 산화적 > >스트레스 indicator로도 쓰여짐. >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해 GSSG 가 증가하면 이를 환원시켜주기 위해 Reductase가 작용하게 되고 이로써 환원된 형태의 GSH가 생성. > >위 내용에서 제가 궁금한 것은 GHS/GSSG ratio에 관한 것인데요. > >현재 제가 읽고 있는 논문에서는 ABCG2 [ATP-binding cassette (ABC) transporters > >의 subfamily]가 과발현되면 ABCG2가 발현하지 않는 세포에 비해 산화적 스트레스에 > >대해 저항성을 가지게 되고 Cell death도 줄어든다고 하는데요. > >그러면 GSH/GSSG ratio가 증가해야 되지 않나요?? > >논문에서는 ABCG2가 과발현되는 세포에서 GSH/GSSG ratio가 발현되지 않는 세포에 비해 줄어들거든요. > >이 점이 이해가 안됩니다. > >산화적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산화적 스트레스의 indicator인 GSSG수치가 증가하게 되고 > >산화된 형태를 항상성 유지를 위해 환원된 형태로 바꿔주기 위해 Reductase가 작용하게 > >되고 이로써 환원된 형태인 GSH가 늘어나게 되니깐 ratio가 감소하는게 아니라 증가해야 되는게 아닌가 해서요.... > >이해가 잘 안되네요.... > >논문 첨부할게요. [Figure 3-B] 데이터 입니다. > >제가 어디서부터 잘못 이해한건지 잘 모르겠어요. > >그럼 속시원한 답변 부탁 드립니다. > >
거참... 어렵네요... 암튼 답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