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반도체 소자에서 밴드갭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은 어떤 것을 의미하나요?

그라펜시트를 이용해 밴드갭을 조절할 수 있는 소자가 개발되었다는 뉴스를 봤습니다. 밴드갭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 어떤 장점을 가지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물리학이나 전기 전자 쪽엔 아는 것이 없어 쉽게 풀어서 설명 부탁드립니다.
  • band gap
  • graphen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유영재님의 답변

    >그라펜시트를 이용해 밴드갭을 조절할 수 있는 소자가 개발되었다는 뉴스를 봤습니다. > >밴드갭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 어떤 장점을 가지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물리학이나 전기 전자 쪽엔 아는 것이 없어 쉽게 풀어서 설명 부탁드립니다. 혹시 그라핀 아닌가요? 그라핀을 이용해 밴드갭을 조절할 수 있다는 얘기는 말 그대로 반도체가 아닌 그라핀을 이용해 반도체소자를 제조할 수 있다는 말이죠... 밴드갭이 없다면 반도체소자를 만들어 구동시 멈출수 없다는 얘기가 됩니다.
    >그라펜시트를 이용해 밴드갭을 조절할 수 있는 소자가 개발되었다는 뉴스를 봤습니다. > >밴드갭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 어떤 장점을 가지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물리학이나 전기 전자 쪽엔 아는 것이 없어 쉽게 풀어서 설명 부탁드립니다. 혹시 그라핀 아닌가요? 그라핀을 이용해 밴드갭을 조절할 수 있다는 얘기는 말 그대로 반도체가 아닌 그라핀을 이용해 반도체소자를 제조할 수 있다는 말이죠... 밴드갭이 없다면 반도체소자를 만들어 구동시 멈출수 없다는 얘기가 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김쌍조님의 답변

    >그라펜시트를 이용해 밴드갭을 조절할 수 있는 소자가 개발되었다는 뉴스를 봤습니다. > >밴드갭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 어떤 장점을 가지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물리학이나 전기 전자 쪽엔 아는 것이 없어 쉽게 풀어서 설명 부탁드립니다. 밴드갭(에너지)은 일반적으로 반도체에서 나타나는 특징으로 가전자대에서 전도대로 전자를 여기시키는 공간(에너지)을 의미합니다. 갭이 클수록 에너지가 높아 전자을 이동시켜 전류 흐름을 원할히 하는 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그라펜시트가 정확히 어떤건지 잘 모르겠으나, 반도체의 경우 금속등의 dopant를 첨가하여 이 갭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금속의 경우 밴드갭이 없으며, 절연체의 경우 5이상입니다. 일반 반도체는 중간정도구요. 밴드갭 조절을 통하여 기존보다 낮은 전압에서 구동되는 device를 제작할 수 있겠죠. 너무 두서가 없네요...죄송^^;
    >그라펜시트를 이용해 밴드갭을 조절할 수 있는 소자가 개발되었다는 뉴스를 봤습니다. > >밴드갭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 어떤 장점을 가지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물리학이나 전기 전자 쪽엔 아는 것이 없어 쉽게 풀어서 설명 부탁드립니다. 밴드갭(에너지)은 일반적으로 반도체에서 나타나는 특징으로 가전자대에서 전도대로 전자를 여기시키는 공간(에너지)을 의미합니다. 갭이 클수록 에너지가 높아 전자을 이동시켜 전류 흐름을 원할히 하는 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그라펜시트가 정확히 어떤건지 잘 모르겠으나, 반도체의 경우 금속등의 dopant를 첨가하여 이 갭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금속의 경우 밴드갭이 없으며, 절연체의 경우 5이상입니다. 일반 반도체는 중간정도구요. 밴드갭 조절을 통하여 기존보다 낮은 전압에서 구동되는 device를 제작할 수 있겠죠. 너무 두서가 없네요...죄송^^;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