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pcDNA3.1이 항염증효과가 있나요?

pcDNA3.1을 vector로 사용하여 실험을 하였는데, 저의 불찰로 대조군으로 empty vector를 사용하지 않고 그냥 PBS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습니다. 제 생각으로는 분명히 review분들이 이점을 질문하실 것 같은데, 좋은 답변 방법이나 아니면 실험을 다시 해야 할까요? 실험 내용은 항염증효과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좋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 pcDNA3.1
  • 대조군
  • 항염증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전정용님의 답변

    pcDNA3.1 은 expression vector로 많이 사용하는데요, 구조를 보면 Neomycin과 Ampicillin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Ampicillin 같은 경우는 Ecoli에서 대량 배양시킬테 항생제로 사용이 되구요, Neomycin같은 경우는 원하는 세포내로 유전자를 도입시킨후 유전자가 도입되지 않는 세포들을 제거하기 위한 selection factor로 사용합니다. 이외에는 특별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게 아니어서 염증반응을 일으키지는 않을것 같습니다만, 실험자체가 어떻게 수행된것인지 알 수가 없어서 확실히 일어나지 않는다라고 말씀드리기가 모호합니다. (세포내로 유전자를 도입시키는 과정에 있어서 어떤 방법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세포가 손상을 입는경우도 있거든요. 저는 lipofectamin을 사용해서 transfection시키는데 그 시간이 너무 길경우 세포가 damage를 많이 받거든요. 이때문에 염증반응이 생길수도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드네요) >pcDNA3.1을 vector로 사용하여 실험을 하였는데, 저의 불찰로 대조군으로 empty vector를 사용하지 않고 그냥 PBS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습니다. 제 생각으로는 분명히 review분들이 이점을 질문하실 것 같은데, 좋은 답변 방법이나 아니면 실험을 다시 해야 할까요? >실험 내용은 항염증효과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좋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
    pcDNA3.1 은 expression vector로 많이 사용하는데요, 구조를 보면 Neomycin과 Ampicillin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Ampicillin 같은 경우는 Ecoli에서 대량 배양시킬테 항생제로 사용이 되구요, Neomycin같은 경우는 원하는 세포내로 유전자를 도입시킨후 유전자가 도입되지 않는 세포들을 제거하기 위한 selection factor로 사용합니다. 이외에는 특별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게 아니어서 염증반응을 일으키지는 않을것 같습니다만, 실험자체가 어떻게 수행된것인지 알 수가 없어서 확실히 일어나지 않는다라고 말씀드리기가 모호합니다. (세포내로 유전자를 도입시키는 과정에 있어서 어떤 방법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세포가 손상을 입는경우도 있거든요. 저는 lipofectamin을 사용해서 transfection시키는데 그 시간이 너무 길경우 세포가 damage를 많이 받거든요. 이때문에 염증반응이 생길수도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드네요) >pcDNA3.1을 vector로 사용하여 실험을 하였는데, 저의 불찰로 대조군으로 empty vector를 사용하지 않고 그냥 PBS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습니다. 제 생각으로는 분명히 review분들이 이점을 질문하실 것 같은데, 좋은 답변 방법이나 아니면 실험을 다시 해야 할까요? >실험 내용은 항염증효과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좋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

    감사합니다.

  • 답변

    장성재님의 답변

    pcDNA3.1 vector 자체가 항염증 효과를 보일리는 없습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실험을 진행하실 때에는 negative control과 positive control을 설정해서 실험을 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전에는 transfection 실험에서 blank 즉, negative control의 개념이 plasmid DNA를 사용하지 않은 cationic liposome (예로 lipofectamine 등) 만을 처리한 경우를 그냥 사용하곤 했습니다만, double-stranded DNA 의 경우 면역관련 실험의 경우 특히, 비특이적으로 세포 자체를 자극하거나 signal transduction을 유도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siRNA 실험의 경우에도 non-targeting siRNA를 사용한 실험 또한, plasmid DNA의 경우 mock (target DNA sequence를 포함하지않는 empty vector) 실험군을 기준으로 실험을 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을 언급해주신 것이 아니라서 확신은 서지 않습니다만, 님께선 특정 유전자의 plasmid DNA를 세포에 처리해주신 후 항염증과 관련된 실험을 하신 것이므로, mock 실험군이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논문의 그레이드에 따라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Mock 실험군 (empty vector)을 포함하여 실험의 재현성을 확인하실 것을 권해드립니다. >pcDNA3.1을 vector로 사용하여 실험을 하였는데, 저의 불찰로 대조군으로 empty vector를 사용하지 않고 그냥 PBS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습니다. 제 생각으로는 분명히 review분들이 이점을 질문하실 것 같은데, 좋은 답변 방법이나 아니면 실험을 다시 해야 할까요? >실험 내용은 항염증효과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좋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
    pcDNA3.1 vector 자체가 항염증 효과를 보일리는 없습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실험을 진행하실 때에는 negative control과 positive control을 설정해서 실험을 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전에는 transfection 실험에서 blank 즉, negative control의 개념이 plasmid DNA를 사용하지 않은 cationic liposome (예로 lipofectamine 등) 만을 처리한 경우를 그냥 사용하곤 했습니다만, double-stranded DNA 의 경우 면역관련 실험의 경우 특히, 비특이적으로 세포 자체를 자극하거나 signal transduction을 유도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siRNA 실험의 경우에도 non-targeting siRNA를 사용한 실험 또한, plasmid DNA의 경우 mock (target DNA sequence를 포함하지않는 empty vector) 실험군을 기준으로 실험을 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을 언급해주신 것이 아니라서 확신은 서지 않습니다만, 님께선 특정 유전자의 plasmid DNA를 세포에 처리해주신 후 항염증과 관련된 실험을 하신 것이므로, mock 실험군이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논문의 그레이드에 따라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Mock 실험군 (empty vector)을 포함하여 실험의 재현성을 확인하실 것을 권해드립니다. >pcDNA3.1을 vector로 사용하여 실험을 하였는데, 저의 불찰로 대조군으로 empty vector를 사용하지 않고 그냥 PBS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습니다. 제 생각으로는 분명히 review분들이 이점을 질문하실 것 같은데, 좋은 답변 방법이나 아니면 실험을 다시 해야 할까요? >실험 내용은 항염증효과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좋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