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수용성 버퍼 용액내에서의 지질의 용해도(lipids solubility in aqueous buffer solution)

지질관련 DSC 실험을 하고 있습니다. 사용하는 지질은 1,2-dipalmitole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16:1)PE 이구요, 흔히들 DiPoPE라고 합니다. 크게 head group은 PE 이고, Tail group은 unsaturated 된 dipalmitoleoyl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사용하는 버퍼는 Tris 10mM, NaCl 100mM, EDTA 1mM, pH 7.3 을 사용하였습니다. 물론 수용성 버퍼용액이기 때문에 지질이 잘 녹지는 않겠지만, 지질의 용해도를 좀 더 높이기 위한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가능하다면 pH는 7.35~7.45로 큰 변화가 없으면 좋겠구요, 혹시나 Tris, NaCl, EDTA의 몰 농도를 바꾸면 더 잘 녹을까요? 지질의 용해도와 관련된 pH 조건이나, 이온세기에 대한 전문가 님들의 조언을 기다립니다.
  • lipid
  • solubility
  • aqueous buffer solutio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지질관련 DSC 실험을 하고 있습니다. >사용하는 지질은 1,2-dipalmitole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16:1)PE >이구요, 흔히들 DiPoPE라고 합니다. >크게 head group은 PE 이고, Tail group은 unsaturated 된 dipalmitoleoyl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그리고 사용하는 버퍼는 Tris 10mM, NaCl 100mM, EDTA 1mM, pH 7.3 을 사용하였습니다. > >물론 수용성 버퍼용액이기 때문에 지질이 잘 녹지는 않겠지만, 지질의 용해도를 좀 더 >높이기 위한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가능하다면 pH는 7.35~7.45로 큰 변화가 없으면 >좋겠구요, 혹시나 Tris, NaCl, EDTA의 몰 농도를 바꾸면 더 잘 녹을까요? >지질의 용해도와 관련된 pH 조건이나, 이온세기에 대한 전문가 님들의 조언을 기다립니다. 우선 사용하시는 DiPoPE의 극성도를 고려할때, Tris, NaCl, EDTA의 몰 농도를 조절해도 용해도는 크게 변화가 없을 것입니다. pH가 산성이거나 알칼리 조건에서는 오히려 지질이 산 또는 알카리 가수분해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만약 계면활성제가 실험조건하에서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경우 적절한 양을 선택해서 지질을 녹여보시는건 어떨런지요?..
    >지질관련 DSC 실험을 하고 있습니다. >사용하는 지질은 1,2-dipalmitole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16:1)PE >이구요, 흔히들 DiPoPE라고 합니다. >크게 head group은 PE 이고, Tail group은 unsaturated 된 dipalmitoleoyl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그리고 사용하는 버퍼는 Tris 10mM, NaCl 100mM, EDTA 1mM, pH 7.3 을 사용하였습니다. > >물론 수용성 버퍼용액이기 때문에 지질이 잘 녹지는 않겠지만, 지질의 용해도를 좀 더 >높이기 위한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가능하다면 pH는 7.35~7.45로 큰 변화가 없으면 >좋겠구요, 혹시나 Tris, NaCl, EDTA의 몰 농도를 바꾸면 더 잘 녹을까요? >지질의 용해도와 관련된 pH 조건이나, 이온세기에 대한 전문가 님들의 조언을 기다립니다. 우선 사용하시는 DiPoPE의 극성도를 고려할때, Tris, NaCl, EDTA의 몰 농도를 조절해도 용해도는 크게 변화가 없을 것입니다. pH가 산성이거나 알칼리 조건에서는 오히려 지질이 산 또는 알카리 가수분해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만약 계면활성제가 실험조건하에서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경우 적절한 양을 선택해서 지질을 녹여보시는건 어떨런지요?..

    답변 감사합니다. 메일 남겼습니다 ^^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지질관련 DSC 실험을 하고 있습니다. >사용하는 지질은 1,2-dipalmitole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16:1)PE >이구요, 흔히들 DiPoPE라고 합니다. >크게 head group은 PE 이고, Tail group은 unsaturated 된 dipalmitoleoyl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그리고 사용하는 버퍼는 Tris 10mM, NaCl 100mM, EDTA 1mM, pH 7.3 을 사용하였습니다. > >물론 수용성 버퍼용액이기 때문에 지질이 잘 녹지는 않겠지만, 지질의 용해도를 좀 더 >높이기 위한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가능하다면 pH는 7.35~7.45로 큰 변화가 없으면 >좋겠구요, 혹시나 Tris, NaCl, EDTA의 몰 농도를 바꾸면 더 잘 녹을까요? >지질의 용해도와 관련된 pH 조건이나, 이온세기에 대한 전문가 님들의 조언을 기다립니다. 첨부자료
    >지질관련 DSC 실험을 하고 있습니다. >사용하는 지질은 1,2-dipalmitole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16:1)PE >이구요, 흔히들 DiPoPE라고 합니다. >크게 head group은 PE 이고, Tail group은 unsaturated 된 dipalmitoleoyl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그리고 사용하는 버퍼는 Tris 10mM, NaCl 100mM, EDTA 1mM, pH 7.3 을 사용하였습니다. > >물론 수용성 버퍼용액이기 때문에 지질이 잘 녹지는 않겠지만, 지질의 용해도를 좀 더 >높이기 위한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가능하다면 pH는 7.35~7.45로 큰 변화가 없으면 >좋겠구요, 혹시나 Tris, NaCl, EDTA의 몰 농도를 바꾸면 더 잘 녹을까요? >지질의 용해도와 관련된 pH 조건이나, 이온세기에 대한 전문가 님들의 조언을 기다립니다. 첨부자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