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7-20
org.kosen.entty.User@28596d28
동완재(netwj63)
- 2
진공상태의 컨테이너 안에 있는 물체는 등방압을 받을까요?
1. 고진공상태
2. 저진공상태
예를 들면,, 계란을 주먹으로 움켜쥐면 깨지지 않는 이유가.. 유체안에서의 반발력때문인걸로 알고 있는데요,,
알고 있으신 분들 답변좀 달아주세요 ~
- 진공
- 압력
- 등방압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이응신님의 답변
2009-07-21- 0
아무리 진공 상태라고 해도 중력은 작용할테니까 물체는 중력에 의한 힘을 받아 아래로 눌리는 압력을 받겠지요. 중력에 의해 물체가 받는 압력은 (더 정확하게는 중력에 대항하여 물체가 모양을 유지하려는 응력) 아래로 작용하니까 물체를 구성하는 입자는 압축력으로 작용할 것이고... (중력을 고려한 건축물의 형태 중 엔타시스형이 대표적인 예) 공기가 조금이라도 있다면 공기분자는 정지한 상태에서 (공기를 가두어 둔 컨테이너 속에서 공기의 유동이 없을 때) 층밀림힘(shear force)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등방압만 존재합니다. 그러나 이 상태에서 구분을 해야 할 것은 공기 자체에 존재하는 압력인가 아니면 공기가 물체에 작용하는 압력인가를 구분해야 합니다. 공기가 물체의 표면에 작용한다면 표면의 수직 방향으로만 작용합니다... 그러나 이런 가정도 공기의 밀도가 높아서 연속체로 가정할 때 나오는 것이고 밀도가 매우 낮다면 그렇게 할 수 없습니다. 유체역학에서 유체가 연속이라고 가정할 때 등방압에 대한 유도를 할 수 있습니다. 대략적인 한계는 1 mm^3 당 분자의 개수가 3*10^7 개 이상일 때 유체로 봅니다. 그 이하의 개수일 때는 연속으로 가정하지 않습니다. 또는 그 이하의 개수일 때 공간을 좁히면 연속이라고 가정할 수 없습니다. 즉, 공간적인 한계도 3*10^7개 정도가 되는 크기라고 보고 있습니다. 그런 한계 이하일 때는 통계역학적으로 압력을 구하거나 등방압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유체역학책을 참고하면... 밀도와 연속체 한계에 대하여 설명한 부분이 있습니다. >진공상태의 컨테이너 안에 있는 물체는 등방압을 받을까요? > > > >1. 고진공상태 > >2. 저진공상태 > > > > > >예를 들면,, 계란을 주먹으로 움켜쥐면 깨지지 않는 이유가.. 유체안에서의 반발력때문인걸로 알고 있는데요,, > > > > > >알고 있으신 분들 답변좀 달아주세요 ~ > -
답변
김진철님의 답변
2009-07-22- 0
>진공상태의 컨테이너 안에 있는 물체는 등방압을 받을까요? > > > >1. 고진공상태 > >2. 저진공상태 > > > > > >예를 들면,, 계란을 주먹으로 움켜쥐면 깨지지 않는 이유가.. 유체안에서의 반발력때문인걸로 알고 있는데요,, > > > > > >알고 있으신 분들 답변좀 달아주세요 ~ > 압력~?! 압력은 압력이죠~ 워난 미미한 압력이어서 압력이라고 하기는 그렇네요~~ 다만 분자의 밀도 차에 따른 것으로 보면 등방이라고는 할 수 없어요~ 왜냐하면 분자가 활발히 아무 제약없이 운동 한다면 등방 밀도 이지만 고진공으로 갈 수록 분자의 자유 행로가 제약 받을 곳이 많으니까요~ 온도, 용기의 표면, 입자의 아웃가스, 분자들의 충돌, 많은 광자 등에 의한 제약이 많으므로 분자 운동에 제약을 받는다면 꼭 등방이라고는 할 수 없는데 우리가 지구상에서 경험하는 압력이라면 미미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