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7-20
org.kosen.entty.User@737ee0b3
이장한(hanymir)
- 1
제타 포텐셜을 찍었는데요 궁금한것이 있어서 질문올립니다
제가 알기론 particle의 surface charge에 대해 값을 나타내어 particle간 안정성을
논하는 값이라고 생각 되는데요
data 값이 -30 mV, 0 mV, +30 mV 이렇게 세 개가 나왔다 치면
어떤 ?에서 particle안정성이 더안정되어 있다고 말을하나요?
아니면 어느 일정한 범위 내에서 측정된것이면 다 안정하다고보는건가요?
- nano particle
- zeta potential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09-07-20- 0
zeta potential값이 좌우되는 요인으로 입자의 크기, 형태 등에 따라서 변동이 있는데, 입자의 형상을 모르기 때문에 일반적인 사항으로 +30 또는 -30이 0에비하여 비교적 안정적입니다. +/-는 이온의 양/음에 따라 좌우됩니다. 입자의 응집 및 colloid상태를 판단할 때 zeta potential을 많이 적용하는데, 이는 입자 표면의 전기적인 내부 Helmholtz층(IHP),외부 Helmholtz층(OHP) 다음으로 확산층이 나오는데 확산층 외부에서의 전기적인 힘을 zeta potential로 나타냅니다. zeta potential값이 0 ~ ±5 : 입자의 응집력이 매우 높음 " " ±10 ~ ± 30 : 불안정한 상태 " " ±30 ~ ± 40 : 비교적 안정한 상태 " " ±40 ~ ± 60 : 양호한 안정상태 " " ±61이상 : 대단히 한정한 상태 이상과 같이 나눌 수 있습니다. 몇가지 참고자료를 첨부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