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8-19
org.kosen.entty.User@472dc5f9
장윤영(nimana)
- 1
세포에서 cytokine이 분비되는데 soluble type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사이토 카인을 변형하여 세포에서
membrane bound cytokine으로 바꾸면 어떻게 됩니까?
- souluble
- membrane bound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장성재님의 답변
2009-08-20- 0
재미있는 질문을 하셨네요. 유전자공학 및 단백질공학을 이용하여 분비형 cytokine을 막통과형 cytokine으로 변형시켰을 때 어떤 일들을 예상할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이신 것 같군요. 일단, cytokine이나 chemokine 중에는 막결합형이었던 것이 특정 protease에 의해 절단되어 분비형으로 바뀐 후 receptor-mediated signaling을 유도한다고 보고된 것들도 있습니다. 의도적으로 특정 protease에 인식되어 절단되는 사이트를 삽입할 경우 위와 유사한 결과를 유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지속적으로 막에 결합된 상태가 지속된다고 가정한다면 막에 존재하는 세포에 따라서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만, cytokine에 대한 수용체에 지속적으로 signal을 전할 수 도 있을 텐데, 이 경우, 세포가 스트레스에 의해서 사멸이 유도될 수도 아니면 다른 signal transductiond이 유도될 수도 있다고 봅니다. 결론은 우선 목적 cytokine의 종류와 발현시킬 세포를 선택해서 결과를 예상해보신 후, 직접 실험을 통해서 검증해나가는 절차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세포에서 cytokine이 분비되는데 soluble type으로 알고 있습니다. > >그런데 이런 사이토 카인을 변형하여 세포에서 > >membrane bound cytokine으로 바꾸면 어떻게 됩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