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김치에서 미생물 동정시 질문.

여러종류 김치와 저장방법 별로 균을 동정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Lactobacilli MRS broth (Difco)를 이용하여 액체배양후 평판배양으로 균을 배양하고 Api Kit(50 CHL)로 동정한 결과 거의 모든 시료에서 Leuconostoc mesenteroides가 99%나왔습니다. 제가 알기론 이 균주는 초기숙성시 우세균으로 알고있는데요. 6월~8개월이면 꽤 오랜 기간 숙성된 김치인데 Leconostoc이 전부 나올수 있나여? 아님 제가 무엇을 잘못한 걸까요? 다른 균주를 얻으려면 어떤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정확하게 균을 동정할 수 있을까요? 미생물에 문외한인 저로선 너무 어렵네요. 좋은 답변 부탁드릴께요.
  • 김치
  • 미생물
  • 동정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여러종류 김치와 저장방법 별로 균을 동정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Lactobacilli MRS broth (Difco)를 이용하여 액체배양후 평판배양으로 균을 배양하고 >Api Kit(50 CHL)로 동정한 결과 거의 모든 시료에서 Leuconostoc mesenteroides가 99%나왔습니다. >제가 알기론 이 균주는 초기숙성시 우세균으로 알고있는데요. >6월~8개월이면 꽤 오랜 기간 숙성된 김치인데 Leconostoc이 전부 나올수 있나여? >아님 제가 무엇을 잘못한 걸까요? >다른 균주를 얻으려면 어떤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정확하게 균을 동정할 수 있을까요? >미생물에 문외한인 저로선 너무 어렵네요. >좋은 답변 부탁드릴께요. 다른 균주를 얻기 위해서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모니터일 해야 됩니다. 물론 김치 종류에 따라서 초기부터 숙성 말까지 시간에 따른 우세균이 다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질문자분께서 동정하신 방법이 틀리지 않을 수 있는 것이 Leuconostoc sp.이 숙성기간의 말기가 되더라도 이 균이 우세균이 될 수는 있습니다. 숙성환경에 따라서 말이죠. 그리고 Leuconostoc mesenteroides가 우세균일 경우, 김치의 숙성액이 점도가 매우 높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렇다면 이 균이 우세종일 가능성이 큽니다. 이 균이 만드는 alteran이라는 다당류 때문에 그런거죠..
    >여러종류 김치와 저장방법 별로 균을 동정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Lactobacilli MRS broth (Difco)를 이용하여 액체배양후 평판배양으로 균을 배양하고 >Api Kit(50 CHL)로 동정한 결과 거의 모든 시료에서 Leuconostoc mesenteroides가 99%나왔습니다. >제가 알기론 이 균주는 초기숙성시 우세균으로 알고있는데요. >6월~8개월이면 꽤 오랜 기간 숙성된 김치인데 Leconostoc이 전부 나올수 있나여? >아님 제가 무엇을 잘못한 걸까요? >다른 균주를 얻으려면 어떤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정확하게 균을 동정할 수 있을까요? >미생물에 문외한인 저로선 너무 어렵네요. >좋은 답변 부탁드릴께요. 다른 균주를 얻기 위해서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모니터일 해야 됩니다. 물론 김치 종류에 따라서 초기부터 숙성 말까지 시간에 따른 우세균이 다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질문자분께서 동정하신 방법이 틀리지 않을 수 있는 것이 Leuconostoc sp.이 숙성기간의 말기가 되더라도 이 균이 우세균이 될 수는 있습니다. 숙성환경에 따라서 말이죠. 그리고 Leuconostoc mesenteroides가 우세균일 경우, 김치의 숙성액이 점도가 매우 높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렇다면 이 균이 우세종일 가능성이 큽니다. 이 균이 만드는 alteran이라는 다당류 때문에 그런거죠..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여러종류 김치와 저장방법 별로 균을 동정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Lactobacilli MRS broth (Difco)를 이용하여 액체배양후 평판배양으로 균을 배양하고 >Api Kit(50 CHL)로 동정한 결과 거의 모든 시료에서 Leuconostoc mesenteroides가 99%나왔습니다. >제가 알기론 이 균주는 초기숙성시 우세균으로 알고있는데요. >6월~8개월이면 꽤 오랜 기간 숙성된 김치인데 Leconostoc이 전부 나올수 있나여? >아님 제가 무엇을 잘못한 걸까요? >다른 균주를 얻으려면 어떤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정확하게 균을 동정할 수 있을까요? >미생물에 문외한인 저로선 너무 어렵네요. >좋은 답변 부탁드릴께요. 첨부자료
    >여러종류 김치와 저장방법 별로 균을 동정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Lactobacilli MRS broth (Difco)를 이용하여 액체배양후 평판배양으로 균을 배양하고 >Api Kit(50 CHL)로 동정한 결과 거의 모든 시료에서 Leuconostoc mesenteroides가 99%나왔습니다. >제가 알기론 이 균주는 초기숙성시 우세균으로 알고있는데요. >6월~8개월이면 꽤 오랜 기간 숙성된 김치인데 Leconostoc이 전부 나올수 있나여? >아님 제가 무엇을 잘못한 걸까요? >다른 균주를 얻으려면 어떤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정확하게 균을 동정할 수 있을까요? >미생물에 문외한인 저로선 너무 어렵네요. >좋은 답변 부탁드릴께요. 첨부자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