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천연물 구조분석 및 동정

천연물 구조분석중인데요..순수하게 분리를 하였고.. 질량값을 얻었습니다. low resolution으로요.. 질량값만 가지고 비슷한 범위의 천연물을 동정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요? 육상천연물에 대한 데이타베이스 같은거요.. 예를들어 질량값 범위를 입력하면 가능한 천연물 리스트가 나오는..방법좀 부탁드립니다.
  • 천연물
  • 구조분석
  • MASS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우선 무료 DB론 다음이 있습니다. 1. NIST Chemistry WebBook 2. SDBS Integrated Spectral Data Base System for Organic Compounds 조금만 검색해 보시면 찾으실 수 있을 겁니다. 하지만 생각처럼 쉽지 않을 겁니다. 대부분 합성 물질들에 대한 것이기 때문이죠. 유료 DB도 여러 가지 있지만. .....Wiley 출판사에서 만든 ffnsc라는 DB가 화합물 분류별로 잘 되어 있는 편입니다. 수록 목록을 첨부 합니다. 참고하세요. 분자량 순으로 되어 있으니 데이터와 한번 비교해 보시면 찾을 수 있을지도 모르죠. 하지만 천연물 중에서 MS 데이터가 확보되어 있는 물질이 몇 %나 될까요? 또 DB에 수록된 물질은 얼마나 될까요? 행운이 따르길 기원합니다.
    우선 무료 DB론 다음이 있습니다. 1. NIST Chemistry WebBook 2. SDBS Integrated Spectral Data Base System for Organic Compounds 조금만 검색해 보시면 찾으실 수 있을 겁니다. 하지만 생각처럼 쉽지 않을 겁니다. 대부분 합성 물질들에 대한 것이기 때문이죠. 유료 DB도 여러 가지 있지만. .....Wiley 출판사에서 만든 ffnsc라는 DB가 화합물 분류별로 잘 되어 있는 편입니다. 수록 목록을 첨부 합니다. 참고하세요. 분자량 순으로 되어 있으니 데이터와 한번 비교해 보시면 찾을 수 있을지도 모르죠. 하지만 천연물 중에서 MS 데이터가 확보되어 있는 물질이 몇 %나 될까요? 또 DB에 수록된 물질은 얼마나 될까요? 행운이 따르길 기원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DELETED님의 답변

    Chapman hill 사의 천연물 사전이 있고 그뒤에 인덱스 기능이 있어 분자량으로 찾을 수 있을 듯 합니다. 제생각으로 NMR을 찍으면 더 좋을 듯합니다. 그리고 만일 분리하신 천연물의 학명을 알고 어느정도 감을 잡으실 수 있습니다. 천연물 사전이 있는데 그것을 활용하면 거의 유사한 것을 찾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우선 학명상의 그 식물이나 미생물에서 나오는 화합물의 구조를 다 조사합니다. 그래서 유사한 것이 없으면 속명으로만 다시 조사합니다. 만일 물리적인 특성 즉 물질이 비극성 인지 극성이 강한지 UV 흡수는 어떤지 등을 염두에 두고 사전에나온 구조에서 후보를 고른 다음 분자량에 더하여 NMR 특히 13C-NMR까지 구 할 수 있으면 거의 80-90% 골격을 확인 할 수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더 세세한 구조 는 2D NMR을 찍어야 결정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렇게 해도 정말 없다면 진짜로 새로운 물질을 얻었을 가능성이 높으니 비록 구조 결정이 어렵더라도 희망을 가져볼만 하겠죠......... >천연물 구조분석중인데요..순수하게 분리를 하였고.. >질량값을 얻었습니다. low resolution으로요.. >질량값만 가지고 비슷한 범위의 천연물을 동정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요? >육상천연물에 대한 데이타베이스 같은거요.. > >예를들어 질량값 범위를 입력하면 가능한 천연물 리스트가 나오는..방법좀 부탁드립니다.
    Chapman hill 사의 천연물 사전이 있고 그뒤에 인덱스 기능이 있어 분자량으로 찾을 수 있을 듯 합니다. 제생각으로 NMR을 찍으면 더 좋을 듯합니다. 그리고 만일 분리하신 천연물의 학명을 알고 어느정도 감을 잡으실 수 있습니다. 천연물 사전이 있는데 그것을 활용하면 거의 유사한 것을 찾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우선 학명상의 그 식물이나 미생물에서 나오는 화합물의 구조를 다 조사합니다. 그래서 유사한 것이 없으면 속명으로만 다시 조사합니다. 만일 물리적인 특성 즉 물질이 비극성 인지 극성이 강한지 UV 흡수는 어떤지 등을 염두에 두고 사전에나온 구조에서 후보를 고른 다음 분자량에 더하여 NMR 특히 13C-NMR까지 구 할 수 있으면 거의 80-90% 골격을 확인 할 수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더 세세한 구조 는 2D NMR을 찍어야 결정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렇게 해도 정말 없다면 진짜로 새로운 물질을 얻었을 가능성이 높으니 비록 구조 결정이 어렵더라도 희망을 가져볼만 하겠죠......... >천연물 구조분석중인데요..순수하게 분리를 하였고.. >질량값을 얻었습니다. low resolution으로요.. >질량값만 가지고 비슷한 범위의 천연물을 동정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요? >육상천연물에 대한 데이타베이스 같은거요.. > >예를들어 질량값 범위를 입력하면 가능한 천연물 리스트가 나오는..방법좀 부탁드립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