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유기산과 아민

유기산(C6H8O7)+NMP(n-Methylpyrrolidone)+DI 혼합액을 만들려고 하는데 썩는 순서에 따라 용액이 달라지는 현상이 발견됩니다. 1) NMP+유기산을 녹이고 +DI 썩는 방식 2) DI+유기산을 녹이고 + NMP를 썩는 방식 두가지 용액에 대해 타 알코올류를 썩을시 2번 방식은 석출됩니다. 이민형성과 염생성과 연관성이 있을것으로 판단됩니다.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 유기산
  • 아민
  • 이민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유기산(C6H8O7)+NMP(n-Methylpyrrolidone)+DI 혼합액을 만들려고 하는데 > >썩는 순서에 따라 용액이 달라지는 현상이 발견됩니다. > >1) NMP+유기산을 녹이고 +DI 썩는 방식 >2) DI+유기산을 녹이고 + NMP를 썩는 방식 > >두가지 용액에 대해 타 알코올류를 썩을시 2번 방식은 석출됩니다. > >이민형성과 염생성과 연관성이 있을것으로 판단됩니다. >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 NMP는 N-methyl-2-pyrrolidone으로서 다양한 화합물들을 녹이는데 사용되는 solvent입니다. N-Methylpyrrolidone (NMP)은 4-methylaminobutyric acid의 lactam이며, 매우 약염기이다. NMP은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powerful한 극성 용매입니다. 그런데 이러한 특징에도 불구하고, 일부 반응에서 hydrolysis, oxidation, condensation 같은 화학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며, polymerization, chlorinating agents 또는 o-alkylation같은 반응에 관여하기도 합니다. 아마도 석출되는 이유가 이러한 이유중에 하나가 아닐까 싶습니다. 도움이 될런지 모르겠네요..
    >유기산(C6H8O7)+NMP(n-Methylpyrrolidone)+DI 혼합액을 만들려고 하는데 > >썩는 순서에 따라 용액이 달라지는 현상이 발견됩니다. > >1) NMP+유기산을 녹이고 +DI 썩는 방식 >2) DI+유기산을 녹이고 + NMP를 썩는 방식 > >두가지 용액에 대해 타 알코올류를 썩을시 2번 방식은 석출됩니다. > >이민형성과 염생성과 연관성이 있을것으로 판단됩니다. >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 NMP는 N-methyl-2-pyrrolidone으로서 다양한 화합물들을 녹이는데 사용되는 solvent입니다. N-Methylpyrrolidone (NMP)은 4-methylaminobutyric acid의 lactam이며, 매우 약염기이다. NMP은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powerful한 극성 용매입니다. 그런데 이러한 특징에도 불구하고, 일부 반응에서 hydrolysis, oxidation, condensation 같은 화학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며, polymerization, chlorinating agents 또는 o-alkylation같은 반응에 관여하기도 합니다. 아마도 석출되는 이유가 이러한 이유중에 하나가 아닐까 싶습니다. 도움이 될런지 모르겠네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유기산(C6H8O7)+NMP(n-Methylpyrrolidone)+DI 혼합액을 만들려고 하는데 > >썩는 순서에 따라 용액이 달라지는 현상이 발견됩니다. > >1) NMP+유기산을 녹이고 +DI 썩는 방식 >2) DI+유기산을 녹이고 + NMP를 썩는 방식 > >두가지 용액에 대해 타 알코올류를 썩을시 2번 방식은 석출됩니다. > >이민형성과 염생성과 연관성이 있을것으로 판단됩니다. >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 > 유기산(기타산 포함)과 용제(NMP등)와 물을 썩을 경우의 원칙은 산을 용제에 먼저 혼합하여 줍니다. 다음에 물로 희석하는 과정을 거칩니다.먼저 물로 희석을 하여 버리면 산이 희석되면서 용제에 제대로 반응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유기산(C6H8O7)+NMP(n-Methylpyrrolidone)+DI 혼합액을 만들려고 하는데 > >썩는 순서에 따라 용액이 달라지는 현상이 발견됩니다. > >1) NMP+유기산을 녹이고 +DI 썩는 방식 >2) DI+유기산을 녹이고 + NMP를 썩는 방식 > >두가지 용액에 대해 타 알코올류를 썩을시 2번 방식은 석출됩니다. > >이민형성과 염생성과 연관성이 있을것으로 판단됩니다. >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 > 유기산(기타산 포함)과 용제(NMP등)와 물을 썩을 경우의 원칙은 산을 용제에 먼저 혼합하여 줍니다. 다음에 물로 희석하는 과정을 거칩니다.먼저 물로 희석을 하여 버리면 산이 희석되면서 용제에 제대로 반응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