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나노튜브의 분산과 길이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나노튜브의 길이감소에 따라 분산도가 향상되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기존자료에서도 언급되었구요) 나노튜브가 긴형태로 구부러져있어 당연히 응집현상이 심하고 그 길이를 짧게해준다면 분산도가 당연히 좋아질꺼라 생각됩니다... 그렇다면 기존의 긴 형태를 짧게 만드는것이 과연 고유의 나노튜브물성을 유지하는데 좋은영향을 주는지 나쁜영향을 미치는지 궁금합니다... 쉽게 생각해서 튜브의 길이가 긴것이 좋은지 짧은것이 좋은지를 논할수 있는것인지요?? 분산을 생각한다면 당연히 짧은게 좋겠지만 임의적인 처리를 통해 짧게 만드는게 긍정적인 부분으로만 볼수 있는것인지 모르겠습니다... 예를 들어 카본파이버의 경우라면 긴게 좋겠지만 나노튜브는 글쎄요... 길이제어가 분산의 측면말고 다른 장점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나노튜브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나노튜브의 길이감소에 따라 분산도가 향상되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기존자료에서도 언급되었구요) >나노튜브가 긴형태로 구부러져있어 당연히 응집현상이 심하고 그 길이를 짧게해준다면 >분산도가 당연히 좋아질꺼라 생각됩니다... > >그렇다면 기존의 긴 형태를 짧게 만드는것이 과연 고유의 나노튜브물성을 유지하는데 >좋은영향을 주는지 나쁜영향을 미치는지 궁금합니다... > >쉽게 생각해서 튜브의 길이가 긴것이 좋은지 짧은것이 좋은지를 논할수 있는것인지요?? >분산을 생각한다면 당연히 짧은게 좋겠지만 임의적인 처리를 통해 짧게 만드는게 >긍정적인 부분으로만 볼수 있는것인지 모르겠습니다... > >예를 들어 카본파이버의 경우라면 긴게 좋겠지만 나노튜브는 글쎄요... >길이제어가 분산의 측면말고 다른 장점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굳이 탄소나노튜브의 길이를 짧게 만들 필요는 없을거 같군요. 왜냐하면 길이를 특정 물리,화학반응으로 짧게 만든다면 고유의 나노튜브의 물리,화학적 성질이 바뀔 가능성이 매우 크기 때문이죠. 이런 문제를 극복하기위한 대안으로 고유의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을 물리,화학적인 방법으로 개질을 시킴으로서 분산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고 현재 실제로 적용되고 있습니다. 자세한 방법에 관한 내용은 첨부 파일을 참고해 보세요. 도움이 되실 것으로 생각됩니다.
    >나노튜브의 길이감소에 따라 분산도가 향상되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기존자료에서도 언급되었구요) >나노튜브가 긴형태로 구부러져있어 당연히 응집현상이 심하고 그 길이를 짧게해준다면 >분산도가 당연히 좋아질꺼라 생각됩니다... > >그렇다면 기존의 긴 형태를 짧게 만드는것이 과연 고유의 나노튜브물성을 유지하는데 >좋은영향을 주는지 나쁜영향을 미치는지 궁금합니다... > >쉽게 생각해서 튜브의 길이가 긴것이 좋은지 짧은것이 좋은지를 논할수 있는것인지요?? >분산을 생각한다면 당연히 짧은게 좋겠지만 임의적인 처리를 통해 짧게 만드는게 >긍정적인 부분으로만 볼수 있는것인지 모르겠습니다... > >예를 들어 카본파이버의 경우라면 긴게 좋겠지만 나노튜브는 글쎄요... >길이제어가 분산의 측면말고 다른 장점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굳이 탄소나노튜브의 길이를 짧게 만들 필요는 없을거 같군요. 왜냐하면 길이를 특정 물리,화학반응으로 짧게 만든다면 고유의 나노튜브의 물리,화학적 성질이 바뀔 가능성이 매우 크기 때문이죠. 이런 문제를 극복하기위한 대안으로 고유의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을 물리,화학적인 방법으로 개질을 시킴으로서 분산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고 현재 실제로 적용되고 있습니다. 자세한 방법에 관한 내용은 첨부 파일을 참고해 보세요. 도움이 되실 것으로 생각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나노튜브의 길이감소에 따라 분산도가 향상되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기존자료에서도 언급되었구요) >나노튜브가 긴형태로 구부러져있어 당연히 응집현상이 심하고 그 길이를 짧게해준다면 >분산도가 당연히 좋아질꺼라 생각됩니다... > >그렇다면 기존의 긴 형태를 짧게 만드는것이 과연 고유의 나노튜브물성을 유지하는데 >좋은영향을 주는지 나쁜영향을 미치는지 궁금합니다... > >쉽게 생각해서 튜브의 길이가 긴것이 좋은지 짧은것이 좋은지를 논할수 있는것인지요?? >분산을 생각한다면 당연히 짧은게 좋겠지만 임의적인 처리를 통해 짧게 만드는게 >긍정적인 부분으로만 볼수 있는것인지 모르겠습니다... > >예를 들어 카본파이버의 경우라면 긴게 좋겠지만 나노튜브는 글쎄요... >길이제어가 분산의 측면말고 다른 장점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첨부 자료 참고 바랍니다.
    >나노튜브의 길이감소에 따라 분산도가 향상되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기존자료에서도 언급되었구요) >나노튜브가 긴형태로 구부러져있어 당연히 응집현상이 심하고 그 길이를 짧게해준다면 >분산도가 당연히 좋아질꺼라 생각됩니다... > >그렇다면 기존의 긴 형태를 짧게 만드는것이 과연 고유의 나노튜브물성을 유지하는데 >좋은영향을 주는지 나쁜영향을 미치는지 궁금합니다... > >쉽게 생각해서 튜브의 길이가 긴것이 좋은지 짧은것이 좋은지를 논할수 있는것인지요?? >분산을 생각한다면 당연히 짧은게 좋겠지만 임의적인 처리를 통해 짧게 만드는게 >긍정적인 부분으로만 볼수 있는것인지 모르겠습니다... > >예를 들어 카본파이버의 경우라면 긴게 좋겠지만 나노튜브는 글쎄요... >길이제어가 분산의 측면말고 다른 장점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첨부 자료 참고 바랍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